[목차] == 개요 == [youtube(91p4Ck3qvF4)] 한국의 하드코어 프로듀서 Titancube가 작곡한 테크 댄스 계열의 곡으로, [[Czarte]], [[FUSE(Rayark)|FUSE]]와 함께 [[VOEZ]]에 수록되었다. 출시 이전, 중국 베타 버전에서 플레이 가능한 8곡 중 한 곡이기도 했다. 이후 정식 출시때 기본 40곡에 포함되어 출시되었고, 스위치 버전 PV에도 등장하는 등 동 작곡가의 FUSE와 함께 대표곡으로 자리매김한 듯. == [[VOEZ]] == * [[VOEZ/수록곡]] === 채보 === ||<-4> '''Warp Drive''' || ||<-4> 이미지 링크?width=300 || || 작곡 ||<-3> Titancube || || 보컬 ||<-3> - || || BPM ||<-3> 170 || || || Easy || Hard || Special || || 레벨 || 4 || 8 || 13 || || 노트 수 || 69 || 161 || 278 || 전반적으로 난이도마다 레벨에 비해 쉬운 편이다. ==== Easy ==== [youtube(0BShlVGxR3Y)] AP 영상. 플레이어는 える. 4렙 채보 중에서도 최약체라는 평가가 많다. ==== Hard ==== [youtube(OTW9_AU7Zs4)] AP 영상. 플레이어는 える. ==== Special ==== [youtube(grBH0fAuwmA)] AP 영상. 플레이어는 える. 전반적으로 가장 호불호가 갈리는 채보 중 하나이다. VOEZ의 장점인 레인 연출을 살렸다기에는 애매하고, 그러자니 훨씬 고밀도에 적당한 채보가 나올 수 있었던 곡에 붙기에는 단순한 채보이기 때문. 물론 초심자 입장에서는 13레벨 적응하기에는 적절한 채보지만, 기존에 리듬 게임을 많이 접한 하드코어 유저에게는 게임성 문제를 비판하는 근거로 제시되는 채보이기도 하다. 물론 곡 자체가 양질의 리듬 게임 하드코어라는 것은 대부분 동의하는 대목이지만... === 기타 === 작곡가가 제일 먼저 투고한 곡이며, 사운드클라우드에 데모가 올라오기도 했었다. 작곡가는 [[NeLiME]], Presti(Sound of Spring)와 함께 [[대학수학능력시험/필적확인란 문구#s-2.1.2|"꽃씨들은 흙을 뚫고 얼음을 뚫고"]]라는 컴필레이션에 참여한 Cu.B.E이다. [[분류:VOEZ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