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Welcome to Bloxburg)] [목차] == 개요 == [[Welcome to Bloxburg]]의 평가를 설명하는 문서. == 평가 == === 장점 === ==== 고급적인 빌드 시스템 ==== Bloxburg 이전에도 집을 꾸미거나 만드는 여러 게임들은 있었다. [* 대표적으로 Work at a pizza place 등등.] 그러나 보통은 전부 가구 설치, 벽 색칠만 가능하였다. 하지만 Bloxburg는 외형도 직접 만들 수 있고, 실력이 따라준다면 고급스러운 건축물도 건설이 가능하다. 인게임에서 [[기생충(영화)|기생충]]에 나오는 집을 영화를 몇십번 돌려보면서 지은 사람도 있고 엘리자베스 2세가 사는 궁전을 짓는 사람도 있었다 ==== 다양한 가구들 ==== Bloxburg에는 수 백개의 다양한 가구들이 있다. 이를 이용해서 매우 다양한 장르의 건축물을 만들 수 있는 점도 강력한 장점으로 꼽히고 있다. ==== 다양한 컨텐츠 ==== Bloxburg에서는 요리, 집안일, 연주, 컴퓨터 등 여러 활동이 가능하고, 바깥에도 글라이딩, 회전차 타기, 캠핑, 썰매 타기와 스케이트 타기[* 겨울 한정.] 등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다. 이 덕분에 롤플레잉에 상당히 최적화된 게임으로 평가된다. ==== 플레이어 커뮤니티 및 팬덤 ==== 타 Roblox 게임 팬층과 비교하면 비교적 성숙한 플레이어들이 많다. 이 점도 장점으로 언급된다.[* 이유라면 이 게임이 베타여서이다. 25 로벅스를 지불해야 하기에, 연령대가 낮은 사람들은 대부분 걸러진다.] ==== 핵 방지 ==== 해커 방지가 상당히 잘 되는 게임이다. 스피드핵이나 플라이같은 탐지하기 쉬운 핵부터, 탐지를 막고 자동으로 돈을 버는 핵까지 패치를 하고있다.[* 유료게임인지라 핵 테스트도 쉽지않은데다가 대부분 핵은 오토핵이다(미용실 오토핵)] ==== 세세한 묘사 ==== 중요하지 않은 것도 자연스럽게 묘사할 정도로 세세하다. 이게 로블록스 게임이 맞나? 라는 생각이 들 정도. 일부 유저들은 현재 인기 게임보다 낫다며 호평하고 있다. === 단점 === ==== 소통 ==== 다수의 팬들이 원하지 않는 가구들만 계속 추가하고 있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는 소통의 부재로 인한 것이다. 실제로 트위터에서 DM에 버그 문제 등 게임에 관한 문제 또는 질문의 경우는 답변은 해 주지만, 딱 거기까지다. 그걸 고쳐준다는 보장도 없고. 그리고 제작자 중 한 명인 Froggyhopz는 그나마 개방적이지만, 그마저도 대부분은 게임 업데이트와 관련된 건 아니다. 메인 제작자인 Coeptus는 한술 더 떠서, 위의 경우를 제외하고 대외적으로 소통을 거의 안하는 편이다. 그래도 여론에 관심은 있는지 2020년 6월부터 유저들이 원하던 업데이트가 서서히 되고있다. ==== 가구 재탕 ==== 최근 할로윈, 크리스마스 때는 신규 장식품을 거의 추가하지 않고 옛날 장식품만 재탕한다는 이유로 팬들에게 비판을 받고 있다. 이게 날이 지날 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 갈수록 뜸해지는 업데이트 ==== 최근 들어서 점점 더 업데이트의 주기가 늘어나고 있다. 초창기에는 1,2주마다 업데이트했지만, 2019년 때는 한 달마다 한 번 업데이트를 했었고, 2020년 들어서는 '''두 달이 지나도 업데이트를 안 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물론 이 사례는 매우 이례적인 사례지만 확실히 업데이트가 점점 더 느려지고 있다.] 다만 최근에는 다시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를 하고 있지만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을 거 같다. ==== 유저들이 원하지 않는 업데이트 ==== 유저들이 원하지 않는 기능을 추가하기도 한다. 2018년 중반엔 뜬금없이 침대에서 잠을 자면 이불을 개야하는 기능을 추가했으며, 2020년 초에는 음식을 먹은 후 접시가 남는 기능, 요리를 할 때 '''플레이어가 직접 조작해야 요리가 되는''' 기능까지 추가했다.[* 근데 롤플레잉 하는 사람들은 더 현실적이라고 좋아한다.] 또한 대부분 이를 무시하면 패널티를 받는 경우가 대다수.[* 이불을 개지 않고 자면 자고난 후 에너지와 재미 수치가 떨어진다거나, 요리를 할때 잘못된 키를 입럭하면 진행 속도가 떨어진다거나.] 아마도 개발자는 편리함을 포기하고 최대한 현실적이게 게임을 만들려고 하는것 같다. ==== 구걸, 트롤링 유저 및 저연령층 유저 등 ==== Roblox 게임답게 여기서도 비교적 덜하는 편이지만 미성숙한 유저들이 다소 있는 편이다. 집을 지어준답시고 집 전체를 파괴하고 돈 낭비를 한 뒤 튀는 유저들도 있고, 외국에서는 대표적으로 [[Lisa Gaming ROBLOX]]가 이 때문에 악명이 자자하다.[* 해당유튜버는 두개의 영상에서만 약 10개~20개가량의 유저의 집을 테러했고, 거기에 변기을 놓거나 쓰레기통을 놓고, 아예 없어지거나 남겨지는 등등으로 테러를 하기도 했다.] 악행을 한것도 모자라 피해자에게 폭언도 한 행적이 드러났다. 2020년 4월 28일부터 밴 당한 상태지만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긴 커녕 죄가없다며 밴을 풀어달라 호소하고있다. 그 뒤 2021년 1월 14일부터 Roblox에서 밴 당했다. 그리고 또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긴 커녕 죄가 없다며 밴을 풀어달라 호소하고 있다. 끊임없이 [[롤플레이]]를 요구하는 유저들도 많으며, 시도때도없이 구걸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일을 하러 가거나, 그 유저를 차단하거나 집을 짓는 척이라도 하자. ==== 현질 유도 ==== 상당히 현질유도가 심하다는 점이 자주 지적된다. 자그마치 6년째 beta에 머물러 있으므로 하기 위해서는 로벅스가 필수로 필요하고, 그나마 25로벅스라서 상당히 싸기는 하다는 이유로 이 점을 지나치더라도 여러 현질 유도 게임 패스들이 존재한다. 복층 게임패스가 있냐 없냐에 따라서 격차가 상당해진다. 후자의 경우 1층밖에 짓지 못하지만 전자의 경우 5층까지 지을 수 있다. --다른거는 몰라도 2층까지는 무료로 짓게 해주지-- 훌륭한 직원 게임패스도 벌이 격차를 두 배로 벌릴 정도로 상당한 현질유도 게임패스이고, 그 외에도 게임패스를 사지 않으면 한계에 부딪히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블럭스벅스도 현질을 많이 요구하는데, 특별한 아이템을 얻고, 플롯 수와 아바타 수를 늘리는데 필요한 이 화폐는 '''5일에 고작 20B$ 밖에 안 준다.'''[* 프리미엄 소유자의 경우 40B$. 그래도 너무 적다.] 이쯤되면 사실상 안 주는 거나 다름없어 얻고 싶다면 현질이 필수다. ==== 번역 문제 ==== 사실 한국어 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 번역도 문제이다. 번역가를 구하지 않고 번역해서 생긴 문제인 듯 하며[* 한 유저가 직접 번역에 참여하겠다고 개발팀에게 메세지를 보냈지만, 돌아온 답변은 게임 번역에 참여할 방법은 없다고 한다. 그러나 뭔가 이상하지 않은가? [[https://www.roblox.com/localization/games/185655149/translations|해당 사이트]]에서 허가를 받을 시 번역을 할 수 있으며, 애초에 번역 참여 방법이 없다 하더라도 인게임에 한국어 번역이 있는건 뭘까? 또한, '''한 유저가 직접 번역에 참여한 [[Work at a Pizza Place]]는 뭘까?'''], 영어에 비해 폰트(간판)[* 피자플래닛, 비트나이트클럽 같은경우 3D 간판인데 번역 과정에서 해당국가의 언어로 대충 바꿔버렸다. 다만 이 점은 '''Roblox에서 한국어 폰트는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도 감안해야한다.], 맞춤법이 확실히 차이가 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일반 번역기를 사용해서 발생한 문제인듯 하다. 따라서 일부 유저는 영어로 플레이하기도 한다. Roblox에서 자동 번역을 추가한 뒤로는 더욱 심해졌는데, '''단어의 일부만 번역되어 있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었다.''' [[분류:나무위키 Roblox 프로젝트]][[분류:Welcome to Bloxburg]]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Welcome to Bloxburg, version=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