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Led Zeppelin II)] ||<#FFF5EE> ''' Whole Lotta Love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명예의 전당, 연도=2007)]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곡, 순위=452)]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순위=75, 연도=2010, 순위2=128, 연도2=2021)]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68)]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60년대 최고의 노래, 순위=53)] ---- [include(틀: 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록을 형성한 500곡)]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레드 제플린 40대 명곡)] ---- [include(틀:기타 월드 선정 100대 기타 솔로 명곡)] ---- [include(틀:BBC 선정 가장 위대한 기타 리프)] ---- }}} || ||<-2><#FFF5EE> '''{{{+1 Whole Lotta Love}}}''' || ||<-2> {{{#!wiki style="margin: -6px -11px" [youtube(HibBnC6SVk8, width=100%, height=200)]}}} || || '''싱글 발매일''' ||[[1969년]] [[11월 7일]] || || '''싱글 B면''' ||[[Living Loving Maid (She's Just a Woman)]] || || '''앨범 발매일''' ||[[1969년]] [[10월 22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4638; font-size: .9em" [[Led Zeppelin II|'''{{{#f5a276 Led }}} {{{#ea81c3 Zeppelin }}} {{{#000 II}}}''']]}}} || || '''스튜디오''' ||올림픽 || || '''장르''' ||[[하드 록]], [[블루스 록]] || || '''작사/작곡''' ||[[플랜트-페이지]], [[존 폴 존스]], [[존 본햄]] || || '''원작자''' ||윌리 딕슨|| || '''프로듀서''' ||[[지미 페이지]] || || '''러닝 타임''' ||5:33 (앨범 및 1차 싱글)[br]3:10 (1997년 영국 싱글) || || '''싱글 판매량''' ||1,450,000장[* 이는 미국, 영국, 이탈리아의 판매량을 합산한 것으로 당연히 인증 판매량이 아닌 추정 판매량은 이것의 몇배는 된다.] || || '''차트 성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영국]] ||21위[* 1997년 싱글 발매 기준.] || ||[[빌보드 핫 100|[[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4위 || ||[[서독|[[파일:독일 국기.svg|width=28]] 서독]] ||<#ffcc00>'''1위''' || ||[[오스트리아|[[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28]] 오스트리아]] ||3위 || ||[[스위스|[[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0]] 스위스]] ||5위 || ||[[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8]] 네덜란드]] ||4위 || ||[[벨기에|[[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8]] 벨기에]] ||2위 || ||[[덴마크|[[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8]] 덴마크]] ||2위 || ||[[핀란드|[[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8]] 핀란드]] ||7위 ||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8]] 캐나다]] ||2위 || ||[[호주|[[파일:호주 국기.svg|width=28]] 호주]] ||<#ffcc00>'''1위''' || ||[[뉴질랜드|[[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8]] 뉴질랜드]] ||4위 || ||[[남아프리카 공화국|[[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width=28]] 남아공]] ||6위 || }}}}}}}}} || || '''레이블''' ||[[애틀랜틱 레코드|[[파일:애틀랜틱 레코드.png|width=6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07B03506-EDA8-4C8D-8CD1-9087A2E9FE23.png|width=100%]]}}}|| ||<-2><#FFF5EE>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FFF5EE,#fff,#fff,#FFF5EE)" '''프랑스판 커버'''}}}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HQmmM_qwG4k,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fIQMktyP90s,height=200)]}}} || || '''공식 MV''' || '''1970년 라이브[br](로열 앨버트 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NrUHvPgxlcw,height=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r87COQl6Qno,height=200)]}}} || || '''1973년 라이브[br](매디슨 스퀘어 가든)''' || '''2007년 라이브[br](O2 아레나)''' || [[영국]]의 록밴드 [[레드 제플린]]이 1969년 발매한 2집 [[Led Zeppelin II]]의 첫번째 트랙에 수록된 곡이자 이들의 싱글이다. == 상세 == [[하드 록]]과 [[메탈(음악)|헤비 메탈]] 역사상 가장 중요한 곡 중 하나로 손꼽히는 곡으로, [[Stairway to Heaven]], [[Kashmir(노래)|Kashmir]], [[Immigrant Song]], [[Dazed and Confused(레드 제플린)|Dazed and Confused]] 등과 함께 레드 제플린을 대표하는 히트곡이다. 윌리 딕슨이 작곡하고 [[머디 워터스(음악가)|머디 워터스]]가 1962년에 녹음해서 발표한 [[https://youtu.be/y1yu488vnzw|You Need Love]]라는 곡을 [[하드 록]], [[메탈(음악)|헤비 메탈]]로 재해석한 곡이다. 원곡과의 분위기 차이가 정말 많이 나며, 가사는 [[스몰 페이시스]]가 커버한 [[https://youtu.be/E2B2Ik02LIM|You Need Loving]]을 참조하였다. 스몰 페이시스 버전의 가사는 원곡과 꽤 다른데, 스몰 페이시스의 보컬인 스티브 매리어트의 음역대가 머디 워터스와 다르기 때문에 그에 맞춰서 가사 내용도 수정했다고. 다만 윌리 딕슨 측과의 저작권 문제가 완전히 해결이 되지 않은 채로 발매를 하여 [[1985년]] 딕슨 측이 레드 제플린을 고소해서 크레딧을 주기로 하는 합의를 보았다.[* 스몰 페이시스의 멤버인 스티브 매리어트와 로니 레인도 당시 그들의 매니저의 권유로 이 곡의 크레딧을 본인들 이름만 기재했다. 다만 레드 제플린의 상황과는 다르게 작곡가인 윌리 딕슨이 그들의 존재를 몰랐기 때문에(…) 고소를 하지 않았다고 한다.] 인트로의 기타 리프가 헤비 메탈의 역사에 길이 남을 정도의 의의가 있는데, 이 리프는 [[지미 페이지]]가 [[1968년]] 여름 [[영국]] [[버크셔]] 주 팡본의 [[템스강]]에 있는 보트에서 작곡한 것이다. 이 리프는 BBC에서 선정한 역사상 최고의 리프 순위에서 1위를 기록하였다. [[Led Zeppelin II]]가 전체적으로 뛰어난 앨범이지만, 역사적으로 이 앨범이 회자될 만한 건 이 'Whole Lotta Love'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곡에서 지미 페이지는 다양한 음향을 다 실험하는데, 특히 중간 부분에 [[테레민]]을 사용하여 [[사이키델릭]] 음향을 넣었다. 또한 기타 솔로 자체는 짧은 편이지만, 평가는 상당히 좋다. 그리고 [[로버트 플랜트]] 역시 단순한 보컬 외에 신음소리 같은 것들을 즉흥적으로 넣는데다[* 라이브에선 [[마이크]]로 [[펠라치오]] 비슷한 짓을 하며 이 소리를 낸다(...).] 여기에 앞서 말한 테레민까지 스테레오로 좌우로 왔다갔다하는 방식으로 믹싱을 했는데, 이건 나중에 레드 제플린의 선배격인 [[더 후]]의 보컬리스트 [[로저 달트리]]가 오히려 배워서 '[[Who's Next]]' 앨범에서 꽤 많이 써먹는다. 영국에서는 싱글 발매가 안 되었지만[* 레드 제플린의 매니저인 피터 그랜트가 앨범 판매에 지장이 간다는 이유로 반대했다고 한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제한적으로 싱글 발매가 되었다. 미국에서 발매된 싱글 음반은 제한적으로 발매됐음에도 [[빌보드 핫 100]]에서 4위를 기록하며 미국에서 유일하게 탑 10에 오른 싱글이 되었으며, [[1970년]] [[4월 13일]] 100만 장이 팔리며 골드 인증을 받았다. 또한 서독과 호주에서는 1위에 올랐고 네덜란드에서 4위에 오르는 등 대성공을 하며 레드 제플린의 가장 성공한 싱글 중 하나가 되었다. == 가사[* 가사는 2012년 부클릿을 참조했다.] == || ---- '''{{{+2 Whole Lotta Love}}}''' ---- You need cooling 넌 좀 침착해야겠어 Baby I'm not fooling 자기야, 속이는게 아니야 I'm gonna send ya 넌 다시 좀 Back to schooling 배워와야겠어 A-way down inside 아주 깊숙히까지 A-honey you need it 자기야, 너도 필요하잖아 I'm gonna give you my love 내 사랑을 줄거야 I'm gonna give you my love 내 사랑을 줄거야 Wanna whole lotta love 그 많은 사랑을 원해 Wanna whole lotta love 그 많은 사랑을 원해 Wanna whole lotta love 그 많은 사랑을 원해 Wanna whole lotta love 그 많은 사랑을 원해 You've been learning 넌 배워왔지 Um baby I been learning 자기야, 나도 배워왔지 All them good times baby, baby 그 모든 좋은 시간들을 I've been year-yearning 난 잘못 써왔어 A-way, way down inside 아주 깊숙히까지 A-honey you need-ah 자기야, 너도 필요하잖아 I'm gonna give you my love 내 사랑을 줄거야 I'm gonna give you my love 내 사랑을 줄거야 Wanna whole lotta love 그 많은 사랑을 원해 Wanna whole lotta love 그 많은 사랑을 원해 Wanna whole lotta love 그 많은 사랑을 원해 Wanna whole lotta love 그 많은 사랑을 원해 And I want love 난 사랑을 원해 Love love love me, love me, love Oh oh oh No no no no Love You've been cooling 넌 쿨하게 굴었지 And baby I've been drooling 자기야, 난 침을 흘렸고 All the good times, baby 그 모든 좋은 시간들을 I've been misusing 나는 그리워했어 A-way, way down inside 아주 깊숙히까지 I'm gonna give ya my love 내 사랑을 줄거야 I'm gonna give ya every inch of my love 내 모든 사랑을 1인치도 남김없이 줄거야 I'm gonna give ya my love 내 사랑을 줄거야 Hey! Alright! Let's go! Wanna whole lotta love 그 많은 사랑을 원해 Wanna whole lotta love 그 많은 사랑을 원해 Wanna whole lotta love 그 많은 사랑을 원해 Wanna whole lotta love 그 많은 사랑을 원해 Way down inside 내면 깊은 곳에서 Woman, you need it 그대여, 너는 필요해 Love 사랑이 My, my, my, my My, my, my, my Lord Shake for me girl 날 위해 흔들어줘 자기야 I wanna be your backdoor man 네 [[내연남]]이 되고 싶어 Hey, oh, hey, oh Hey, oh, hey, oh Ooh Oh, oh, oh, oh Cool, my, my baby A-keep it cooling baby 게속 쿨하게 굴어줘, 자기야 A-keep it cooling baby 게속 쿨하게 굴어줘, 자기야 Ah-keep it cooling baby 게속 쿨하게 굴어줘, 자기야 Ah-keep it cooling baby 게속 쿨하게 굴어줘, 자기야 Ah-keep it cooling baby 게속 쿨하게 굴어줘, 자기야 ---- [[레드 제플린|[[파일:레드 제플린.png|width=130]]]] ---- || == 연주자 == * [[지미 페이지]] : 기타, 백킹 보컬, 테레민 * [[로버트 플랜트]] : 리드 보컬 * [[존 폴 존스]] : 베이스 기타 * [[존 본햄]] : 드럼, 퍼커션 == 기타 == * 가사를 보면 알겠지만, 레드 제플린 1, 2집의 다른 곡들처럼 [[네토라레|가사가 상당히 야하다(…).]] 웃기게도 이 곡은 당시 한국 심의에 걸릴만한 꽤 야한 가사를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심의에 걸리지 않아 금지곡 지정도 되지 않았다. 9년 후인 1978년에 대한민국에서도 Led Zeppelin II 앨범을 오아시스 레코드를 통해 정식 라이센스 발매하였을때도 금지곡 지정이 되지 않은 Whole Lotta Love를 포함 9곡이 전부 수록되었다. * 워낙 유명하고 영향력이 막대한 곡인 만큼 장르를 가리지 않고 수많은 아티스트들에 의해 커버되었다. * [[퀸(밴드)|퀸]]의 커버 버전. [[https://youtu.be/L26FDDW2I60|#]][* 프레디 머큐리 사후에 커버한 것이다.] * [[에어로스미스]]의 커버 버전. [[https://youtu.be/gGG_QOGAQQk|#]] * [[프린스(음악가)|프린스]]의 커버 버전. [[https://youtu.be/sMVFYGYr76A|#]] * [[마돈나(가수)|마돈나]]의 커버 버전. [[https://www.instagram.com/p/4GW08JmEQJ/|#]] * [[KISS(밴드)|KISS]]의 커버 버전. [[https://youtu.be/dDI6xUYhUF4|#]] * [[슬래시(기타리스트)|슬래시]]의 커버 버전. [[https://youtu.be/Vz2bIsXuo4I|#]][* 보컬은 ‘베스 하트’가 맡았다.] * [[티나 터너]]의 커버 버전. [[https://m.youtube.com/watch?v=0xAXkmo-HTI|#]] * [[레니 크래비츠]]의 커버 버전. [[https://youtu.be/K3M3nDfK9Ts|#]] * [[리오나 루이스]]의 커버 버전. [[https://youtu.be/tyjamio4bk8|#]] * [[아담 램버트]]의 커버 버전. [[https://youtu.be/BhjixkuKYVo|#]] * [[오아시스(밴드)|오아시스]]의 커버 버전. [[https://youtu.be/utHm3PMWzmY?si=G-JdPgQn4P4Okavf|#]] * [[코난 오브라이언]]이 TV 쇼에서 [[Immigrant Song]]을 부르며 지식을 과시하던 [[조던 슐랜스키]]를 골려주려고 이 노래를 [[https://youtu.be/3gLwkEwTT_E|부른 적이 있다.]][* 영상의 5분 36초부터.] ~~기타와 드럼부터 테레민 소리까지 흉내냈다~~ --그와중에 Immigrant Song이 [[러시(밴드)|러시]] 노래냐고 묻는 코난은 덤-- * [[건즈 앤 로지스]]의 기타리스트인 [[슬래시(기타리스트)|슬래시]]가 자신에게 가장 영향을 끼친 곡이자 가장 좋아하는 레드 제플린의 노래로 이 곡을 꼽았다. * [[2008 베이징 올림픽]]의 폐회식에서 위의 [[리오나 루이스]]와 [[지미 페이지]]가 이 노래를 연주하였다. 리오나의 보컬은 라이브였지만, 지미 페이지의 기타는 핸드싱크였다. *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에서도 언급된다. [[바넬로피 본 슈위츠]]가 노스모어에게 “Whole…”이라고 했을 때 노스모어는 자동 검색 기능으로 “혹시 Whole Lotta Love라는 노래를 찾니?”라고 응답했다(…). * [[영국]]의 록밴드 [[오아시스(밴드)|오아시스]]는 라이브 공연에서 [[Cigarettes & Alcohol]] 연주 후 이 노래의 기타 리프를 길게 늘려서 연주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2000년 웸블리 공연이 있다. * [[영국]]의 일렉트로니카 그룹인 [[The Prodigy]]는 Voodoo people에 이 곡의 중후반부 기타 리프를 [[샘플링]]하였다. * [[제프 버클리]]가 죽기전에 친구와 마지막으로 부른 곡이 이 노래라고 한다. * 매우 유명한 곡임에도 불구하고 TJ노래방에 없다.[* 사실 TJ노래방에 있는 레드 제플린의 곡은 [[Stairway to Heaven]], [[Rock and Roll(노래)|Rock and Roll]], [[Babe I'm Gonna Leave You]] 세 곡 밖에 없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Led Zeppelin II,version=59)] [[분류:Led Zeppelin II]][[분류:1969년 노래]][[분류:1969년 싱글]][[분류:레드 제플린 노래]][[분류:하드 록]][[분류:블루스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