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Windows 10]], [[Windows 11]]을 탑재한 노트북, UMPC 등 휴대용 기기에 적용되는 신규 절전모드 시스템. == 상세 == 2010년대 무렵, 애플의 [[iPhone]], [[iPad]], 구글의 [[안드로이드]] 기반 저전력 휴대용 기기들이 항상 인터넷에 접속하여 알림이나 전화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게 일상화되자 마이크로소프트가 이에 대응하여 윈도우 노트북에 사용되던 기존의 S3 절전모드를 대체하기 위해 S0 절전모드, 일명 Windows Modern Standby를 도입한다. == 문제점 == [[https://www.youtube.com/watch?v=OHKKcd3sx2c]] S0 절전모드가 이론상 좋게 들릴지는 모르나 이는 ARM 기반의 저전력 모바일 기기에서나 해당되는 내용이며 전력을 많이 잡아먹고 발열이 심한 X86기반의 인텔, AMD 탑재 노트북의 경우 절전모드에서도 노트북이 절전상태로 있지 않고 계속 백그라운드에서 돌아가서 배터리가 방전되어 있거나 심지어 가방 안에 방치된 경우 열이 빠져나오지 못해 노트북이 뜨거워져 있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한다. 과한 발열은 노트북 내부 부품들을 빨리 노화시킬 뿐만 아니라 [[배터리 스웰링]]을 유발할 수 도 있다. 과거에는 S0 절전모드가 어디까지나 옵션이었고 기존에 있던 정상 작동하는 S3 절전모드를 쓸 수 있었는데 2020년부터 해당 옵션이 사라져서 Windows 노트북 사용자들은 울며 겨자먹기로 S0 슬립을 사용해야만 한다. 2024년, 현재 그나마 거론되는 해결책으로는 S0 절전모드 대신 Hibernate로 두는건데 이는 SSD 수명을 빨리 닳게 하기에 좋은 솔루션은 아니다. 그래도 심각한 발열 때문에 CPU나 배터리에 무리를 주는 것보다는 추후 교체 가능한 SSD를 갈구는게 낫다는게 중론. 해외에 비해 데스크탑 점유율이 높은 한국에서는 아직까지는 이슈화되지 않은 듯하다. 애플의 [[MacBook]] 제품군의 경우 평상 시에는 S3 절전모드가 적용되고 충전 중에만 S0 절전모드가 적용될 뿐만 아니라 설정 앱에서 사용자의 입맛에 맞춰 변경 가능하다. 해외에서는 이거 하나 때문에 윈도우 노트북 사용자들이 맥북으로 갈아타는 경우도 종종 있다. [[Steam Deck]]이 월등한 절전모드 덕분에 Windows를 탑재한 타 UMPC에 비해 우위를 점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 [[배터리 스웰링]] [[분류:Microsoft Windo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