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배틀로봇]] [include(틀: 상위 문서, top1=Battlebots/수직 회전체 무기형)] [include(틀:수직 회전체 무기형)]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C8E04 20%,#0C8E04 80%)" {{{#ffffff '''수상 이력'''}}}}}}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Battlebots|[[파일:New-BB-Logo.png|height=3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B0719; font-size: 0.9em" [[Battlebots|{{{#ffffff '''Pro Championship Winner'''}}}]]}}} ||<-3>'''BattleBots IQ 2010''' || || [[Battlebots|[[파일:New-BB-Logo.png|height=3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B0719; font-size: 0.9em" [[Battlebots|{{{#ffffff '''Pro Championship Winner'''}}}]]}}} ||<-3>'''BattleBots IQ 2011''' || || [[Battlebots|[[파일:New-BB-Logo.png|height=3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B0719; font-size: 0.9em" [[Battlebots|{{{#ffffff '''Best Engineered Robot'''}}}]]}}} ||<-3>'''BattleBots IQ 2011''' || || [[Battlebots|[[파일:New-BB-Logo.png|height=3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B0719; font-size: 0.9em" [[Battlebots|{{{#ffffff '''Coolest Robot'''}}}]]}}} ||<-3>'''BattleBots IQ 2011''' || || [[Battlebots|[[파일:New-BB-Logo.png|height=3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B0719; font-size: 0.9em" [[Battlebots|{{{#ffffff '''BattleBots: Bounty Hunters'''}}}]]}}} ||<-3>'''Bounty Winner''' || || [[Battlebots|[[파일:New-BB-Logo.png|height=3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B0719; font-size: 0.9em" [[Battlebots|{{{#ffffff '''re:MARS all:STARS BattleBots Challenge'''}}}]]}}} ||<-3>'''2019''' || || [[Battlebots|[[파일:New-BB-Logo.png|height=3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B0719; font-size: 0.9em" [[Battlebots|{{{#ffffff '''Golden Tournament'''}}}]]}}} ||<-3>'''Sin City Slugfest Winner'''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itch_Doctor_BB2022.jpg|width=100%]]}}} || ||<-2> {{{#000000,#e5e5e5 ''' 이름 ''' }}} || {{{+1 '''Witch Doctor'''}}} || ||<-2> {{{#000000,#e5e5e5 '''국적''' }}} || Miami, FL [br] 마이애미,플로리다 [br]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000000,#e5e5e5 '''무게''' }}} || 120lbs / 54.4kg [br] (BBIQ 2010-BBIQ 2011) [br] '''250lbs / 113.4kg [br] (ABC 시즌 1~)''' || ||<-2> {{{#000000,#e5e5e5 '''소속팀''' }}} || Team Witch Doctor[* 구 Busted Nuts Robotics] || ||<-2> {{{#000000,#e5e5e5 '''팀 멤버''' }}} || '''Andrea Gellatly''' [br] '''Mike Gellatly''' [br] Paul Grata [br] Jennifer Villa [br] (World Championship 시즌 1 - 시즌 4) [br] Brian Lepley [br] Carolina de Freitas [br] (World Championship 시즌 2) [br] Christian Chiriboga [br] Steven Sharp [br] Katheryn Sharp [br] (World Championship 시즌 3~) [br] Rick Pease [br] (World Championship 시즌 4~) [br] Andrew Rudolph [br] Kurtis Wanner [br] (World Championship 시즌 6~) [br] Brett Heininger [br] (World Championship 시즌 7~) [br] Adam Bercu [br] (BBIQ 2010-BBIQ 2011) || ||<-2> {{{#000000,#e5e5e5 '''차체 형태''' }}} || 수직회전 디스크형[* Shemen이라는 화염방사 미니봇도 존재한다.] || ||<|3> {{{#000000,#e5e5e5 '''출전''' }}} || {{{#000000,#e5e5e5 ''' Battlebots ''' }}} ||World Championship 시즌 1 [br] World Championship 시즌 2 [br] World Championship 시즌 3 [br] World Championship 시즌 4 [br] World Championship 시즌 5 [br] World Championship 시즌 6 [br] World Championship 시즌 7 || || {{{#000000,#e5e5e5 '''BotsIQ''' }}} ||'''BattleBots IQ 2010''' [br] '''BattleBots IQ 2011''' || || {{{#000000,#e5e5e5 '''기타''' }}} ||'''re:MARS all:STARS [br] BattleBots Challenge (2019)''' [br] '''BattleBots: Bounty Hunters''' [br] BattleBots: Champions 시즌 1|| [목차] [clearfix] == 개요 == Team Witch Doctor가 제작한 헤비급 배틀로봇이다. 2010년 미들급으로 처음 출전하여 2년 연속 빼어난 성적을 거둔 후, [[Battlebots]] 시즌 1을 대비해 헤비급으로 차체 규격을 올린 케이스이다. 기복있는 경기력에도 Battlebots 최고의 성적을 올리는 수직회전 로봇의 강자로 헤비급 메이저 우승만 없는 [[콩라인]] 배틀로봇으로도 유명하다. == 플레이 스타일 == 수직 회전체 무기형 로봇의 정석과도 같은 차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시즌 1부터 참가해오면서 꾸준히 업그레이드를 받아왔고, 그 덕분에 현재까지도 강력한 공격력과 기동성을 자랑하는 최상위권 로봇으로 평가받고 있다. 시즌 2부터 차체가 전복될 시 복구할 수 있도록 차체 상판에 리프터를 부착했다. 무기 역시 단일 디스크에서 두 개의 디스크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형태의 무기로 교체하였다.[* Driscs라고 불리는 형태로, 드럼과 디스크의 특징을 융합한 형태의 무기이나 일반적으로는 수직 회전체 무기형 로봇으로 분류한다.] 분명 모든 부분에서 강력한 모습을 보이는 육각형 로봇이지만 시즌 6까지는 전면전에 큰 투자를 하지 않아 패하는 경기가 더러 있었다. [* 이는 Witch Doctor 선수진들이 전면에 노골적인 빗면을 부착하는 것이 배틀로봇 경기력을 저해한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Minotaur 또한 이러한 이유로 전면부에 빗면을 주력적으로 두지 않는다.] 시즌 7부터 전면전을 강화하기 위해 빗면의 지상고가 낮아졌고, 포크식 빗면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무기 역시 단일 디스크 구성을 다시 사용한다. == 출전 경력 == === 미들급 (2010~2011) === ==== BattleBots IQ 2010 ==== ||<-15> {{{#ffffff 기록}}} || || 유형 || 상대 || 판정 || 결과 || || 승자조 8강 || PanDEMONium || K.O. || 승 || || 승자조 4강 || Bear Tooth || K.O. || 승 || || 승자조 결승 || Fuchsia Fusion || K.O. || '''승''' || ||<-100> 최다연승 : '''3연승''' || ||<-100> 최다연패 : - || ||<-100> '''3전 3승 승률 1.000''' || 미들급 시절부터 수직회전 차체를 정립하여 경기 내내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강력한 무기로 상대 로봇들을 수없이 타격함으로써 메이저 대회 첫 우승을 차지했다. ==== BattleBots IQ 2011 ==== ||<-15> {{{#ffffff 기록}}} || || 유형 || 상대 || 판정 || 결과 || || 승자조 16강 || PanDEMONium || K.O. || 승 || || 승자조 8강 || D-Mora-Lizer || - || 승 || || 승자조 4강 || Grasshopper || K.O. || 승 || || 승자조 결승 || Blue Flame || K.O. || 패[* 이후 최종 결승전에 진출함] || || 결승전 || Blue Flame || K.O. || '''승''' || || 이벤트전 || Fuchsia Fusion || K.O. || 패 || ||<-100> 최다연승 : '''3연승''' || ||<-100> 최다연패 : 1패 || ||<-100> 6전 4승 2패 승률 0.667 || 지난 대회의 기세를 그대로 이어간 시즌 승자조 결승에서 Blue Flame에게 K.O. 패배 당하지만, 다시 최종 결승전에 진출해 K.O. 승리로 되갚았다. 대회 2연패임과 동시에 각종 부문 상들을 휩쓸어 미들급 최고의 로봇으로 군림했다. 이벤트전은 Fluffy DeLarge와의 경기 중, 경기장 벽에 끼어 K.O 패를 당했다. === 헤비급 (2015~) === ==== World Championship 시즌 1 (2015) ==== ||<-15> {{{#ffffff 기록}}} || || 유형 || 상대 || 판정 || 결과 || ||<-100> '''2015 Championship / 9시드''' || || 24강 || Bronco || K.O. || 패[* 와일드카드 진출] || || 16강 || OverDrive(8) || K.O. || 승 || || 8강 || Tombstone(1) || K.O. || 패 || || 럼블전 || Overhaul, Nightmare || K.O. || 패 || ||<-100> 최다연승 : 2연승 || ||<-100> 최다연패 : 2연패 || ||<-100> 3전 2승 2패 승률 0.500 || 헤비급으로 차체를 개량한 첫 시즌 24강에서 Bronco와의 경기 도중, 모호한 경기룰[* 경기장 장벽 위에 차체가 올라갈 시, '''경기 시작 1분 내에''' 한해 차체를 원상복귀하고 경기를 재개한다.]에 대한 착오로 패배했다. 다행히 와일드카드 4장 중 하나를 따내 16강에 진출, 상대인 Overdrive를 제압해 8강에 진출했다. 8강 상대인 [[Tombstone]]과는 경기 초반 압도적인 공격으로 Tombstone의 차체를 계속해서 위협해냈다. 그러나, Tombstone의 블레이드를 파손하는 결정적인 타격에서 반동으로 차체가 뒤집어져 그대로 구동불능으로 K.O.패배를 당했다. 럼블전은 Nightmare와 Overhaul의 협공으로 쐐기판에 올려져 Nightmare의 최종 승리를 지켜봐야만 했다. ==== World Championship 시즌 2 (2016) ==== ||<-15> {{{#ffffff 기록}}} || || 유형 || 상대 || 판정 || 결과 || ||<-100> '''2016 Championship / 3시드''' || || 48강 || ROTATOЯ || K.O. || 승 || || 32강 || Red Devil(29) || K.O. || 패 || || 럼블전 || Bite Force, Wrecks || K.O. || 패 || ||<-100> 최다연승 :1승 || ||<-100> 최다연패 : 2연패 || ||<-100> 3전 1승 2패 승률 0.333 || 지난 시즌에서의 인상적인 모습과 함께 상위 시드를 획득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32강에서 Red Devil에게 졸전 끝에 K.O.패배했다. 다시 치르는 럼블전에서는 [[Bite Force]]와 Wrecks의 연이은 공격끝에 경기장 밖으로 내쫓겨 패배했다. ==== World Championship 시즌 3 (2018) ==== ||<-15> {{{#ffffff 기록}}} || || 유형 || 상대 || 판정 || 결과 || ||<-100> '''정규 시즌''' || || 1차전 || Yeti || K.O. || 패 || || 2차전 || Blacksmith || 심사위원 판정 || 승 || || 3차전 || Ultimo Destructo || K.O. || 승 || || 4차전 || Overhaul || K.O. || 승 || ||<-100> '''2018 Championship / 13시드''' || || 16강 || Minotaur(4) || K.O. || 패 || ||<-100> 최다연승 : 3연승 || ||<-100> 최다연패 : 1패 || ||<-100> '''5전 3승 2패 승률 0.600''' || 정규시즌 첫경기 Yeti와의 경기에서 접전 끝에 패배한 것 이후로 3연승을 달리며 조금씩 폼을 찾아갔다. 그러나, 또다시 토너먼트라는 큰 경기에서 [[Minotaur]]를 16강에서 만나 구동부에 여러 타격을 받고 전복된 채 K.O.패배를 당했다. ==== World Championship 시즌 4 (2019) ==== ||<-15> {{{#ffffff 기록}}} || || 유형 || 상대 || 판정 || 결과 || ||<-100> '''정규 시즌''' || || 1차전 || Shatter! || 심사위원 판정 || 승 || || 2차전 || Captain Shrederator || K.O. || 승 || || 3차전 || Whiplash || 심사위원 판정 || 승 || || 4차전 || Gigabyte || K.O. || 승 || ||<-100> '''2019 Championship / 2시드''' || || 16강 || Blacksmith(15) || K.O. || 승 || || 8강 || SawBlaze(7) || K.O. || 승 || || 4강 || DeathRoll(6) || 심사위원 우세 판정 || 승 || || 결승 || Bite Force(1) || K.O. || 패 || ||<-100> 최다연승 : '''7연승''' || ||<-100> 최다연패 : 1패 || ||<-100> 8전 7승 1패 승률 0.875 || 부활에 성공한 시즌 문제점을 극복해 정규 시즌을 전승으로 이끌어, 최고 기록인 2시드를 차지해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토너먼트 또한 [[DeathRoll]]과의 4강전에서 잠깐 차체가 멈춰 작동 중지 위기에 놓였던 걸 제외하면 압도적인 공격력으로 경기 점유를 이어가 큰 위기 없이 헤비급으로는 첫 결승전에 진출했다. Bite Force와의 결승전에서 경기 초반 Bite Force의 빗면들을 벗겨내며 우세를 점하다 중반에 연이어 타격을 받아 전복된 채 K.O.패배를 당했다. ==== re:MARS all:STARS BattleBots Challenge (2019) ==== ||<-15> {{{#ffffff 기록}}} || || 유형 || 상대 || 판정 || 결과 || || 이벤트전 || Tombstone || K.O. || 승 || || 결승전 || Bronco || K.O. || '''승''' || ||<-100> 최다연승 : 2연승 || ||<-100> 최다연패 : - || ||<-100> '''2전 2승 승률 1.000''' || Tombstone과의 설욕전 성공과 함께 결승전에서 Bronco마저 제압하며 외전 우승 타이틀을 획득했다. ==== World Championship 시즌 5 (2020-21) ==== ||<-15> {{{#ffffff 기록}}} || || 유형 || 상대 || 판정 || 결과 || ||<-100> '''정규 시즌''' || || 1차전 || Hydra || 심사위원 우세 판정 || 패 || || 2차전 || Kraken || 심사위원 판정 || 패 || || 3차전 || SlamMow! || K.O. || 승 || ||<-100> '''2020-21 Championship / 23시드''' || || 32강 || Skorpios(10) || 심사위원 판정 || 승 || || 16강 || SawBlaze(7) || K.O. || 패 || ||<-100> 최다연승 : 2연승 || ||<-100> 최다연패 : 2연패 || ||<-100> 5전 2승 3패 승률 0.400 || Witch Doctor의 커리어 로우 시즌 정규 시즌 1차전 [[Hydra(배틀로봇)|Hydra]]와의 명승부로 석패당한 후로 Kraken에게 무기력하게 패배해 처음으로 탈락 위기에 몰리고 말았다. 그후 3차전 SlamMow!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어 23시드라는 초라한 성적으로 토너먼트에 겨우 진출했다. 토너먼트에서 32강 상대인 Skorpios를 상대로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었으나, 다시 만난 SawBlaze와 16강에서 연이어 유효 포인트를 내준 끝에 K.O.패배했다. ==== Bounty Hunters (2021) ==== ||<-15> {{{#ffffff 기록}}} || || 유형 || 상대 || 판정 || 결과 || || 방어전 || SubZero || K.O. || 승 || ||<-100> 최다연승 : 1승 || ||<-100> 최다연패 : - || ||<-100> 1전 1승 승률 1.000 || 예선을 뚫고 올라온 Subzero를 상대로 구동부를 파괴하여 K.O. 승리를 따냈다. ==== World Championship 시즌 6 (2021-22) ==== ||<-15> {{{#ffffff 기록}}} || || 유형 || 상대 || 판정 || 결과 || ||<-100> '''정규 시즌''' || || 1차전 || DUCK! || 심사위원 판정 || 승 || || 2차전 || End Game || K.O. || 패 || || 3차전 || Rusty || K.O. || 승 || ||<-100> '''2020-21 Championship / 24시드''' || || 32강 || Mammoth (9)[* 본래 9시드인 Glitch의 차체 결함으로 기권을 선언하며 Mammoth로 대체됨] || K.O. || 승 || || 16강 || Copperhead (8) || K.O. || 승 || || 8강 || Minotaur (16) || 심사위원 판정 || 승 || || 4강 || SawBlaze (4) || K.O. || 승 || || 결승전 || Tantrum (11) || K.O. || 패 || ||<-100> 최다연승 : 5연승 || ||<-100> 최다연패 : 1패 || ||<-100> 8전 6승 2패 승률 0.667 || 정규 시즌 2승 1패로 나쁘지 않았으나, 하위 시드 로봇들을 상대한 탓에 24시드로 저번 시즌보다도 못한 시드로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토너먼트에서 다시 한번 시즌4의 기세를 몰아가며 Mammoth는 바퀴를 파괴, [[Copperhead]]는 정면 승부로 압도, SawBlaze는 전면부의 빗면을 피하고 기동성을 살려 측면을 공략해 K.O. 승리로 우승 후보로 거론되는 로봇들을 모두 제압해 결승에 진출했다. 그러나, Minotaur와의 8강에서 태업성 플레이로 크나큰 야유를 받아 오점을 남겼다. 두번째 결승전, [[Tantrum]]과의 경기에서 제대로 된 유효타를 주지 못한 채 구동부에 문제가 발행해 그대로 Tantrum의 측면 공격에 속수무책으로 당해 K.O. 패배를 당했다. ==== Battlebots: Champions 시즌 1 (2022) ==== ||<-15> {{{#ffffff 기록}}} || || 유형 || 상대 || 판정 || 결과 || ||<-100> '''Sin City Slugfest''' || || 방어전 || Whiplash || K.O. || 승 || ||<-100> '''Golden Bolt Tournament''' || || 8강 || Glitch || K.O. || 승 || || 4강 || HyperShock || K.O. || 승 || || 결승전 || End Game || K.O. || 패 || ||<-100> 최다연승 : 3연승 || ||<-100> 최다연패 : 1패 || ||<-100> 4전 3승 1패 승률 0.750 || 토너먼트 진출을 위한 [[Whiplash]]와의 방어전에서 경기 초반 Whiplash에게 끌려다니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이후 타격한 유효타로 K.O. 승리를 따내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토너먼트에서 [[Glitch(배틀로봇)|Glitch]]를 압도하고 [[HyperShock]]와 난전을 벌인 끝에 모두 K.O. 승리를 거두어 결승전에 진출했다. 그러나, 또다시 End Game에게 지난 경기와 비슷한 흐름으로 경기 중반 큰 유효타를 당한 채 K.O.패배당했다. ==== World Championship 시즌 7 (2023) ==== ||<-15> {{{#ffffff 기록}}} || || 유형 || 상대 || 판정 || 결과 || ||<-100> '''정규 시즌''' || || 1차전 || Ribbot || K.O. || 승 || || 2차전 || Fusion || 심사위원 우세 판정 || 승 || || 3차전 || Gruff || K.O. || 승 || || 4차전 || Minotaur || 심사위원 판정 || 패 || ||<-100> '''2023 Championship / 3시드''' || || 32강 || Jackpot (30) || K.O. || 승 || || 16강 || Lock-Jaw (14) || K.O. || 승 || || 8강 || HUGE(6) || 심사위원 판정 || 패 || ||<-100> 최다연승 : 3연승 || ||<-100> 최다연패 : 1패 || ||<-100> 7전 5승 2패 승률 0.714 || '''프리 시즌 파워 랭킹 3위''' 정규 시즌 1차전 Ribbot을 상대로 경기 초반부터 Ribbot의 바퀴 하나를 떼어내며 한쪽 포크식 빗면을 파괴했다. 뒤이은 힘싸움으로 Ribbot을 계속해서 밀어붙이다가 일격으로 Ribbot을 뒤집었고, 연이어 수 차례 큰 타격을 먹이며 K.O.승리를 거뒀다. 2차전 Fusion을 상대하기 전 수평 무기를 경계한 빗면을 장착하고 등장했으나 경기 초반부터 Fusion의 드럼 부분을 앞세운 공격에 여러 차례 정면충돌에서 밀려나며 열세를 보였다. Fusion의 드럼이 멈춘 후 우세를 잡나 싶더니 오히려 수평 무기를 이용한 반격에 빗면이 박살나고, 바퀴 하나가 파손된 채 무기까지 멈추면서 위기에 처했다. 하지만 Fusion 역시 반동으로 인해 한쪽 바퀴가 멈췄고, 이로 인한 기동성 차이를 이용해 경기 후반 수평 무기까지 작동이 멈춘 Fusion을 밀어붙이면서 리드를 가져간 덕분에 심사위원 우세 판정으로 간신히 승리했다. 3차전 Gruff를 상대로 경기 내내 일방적으로 타격했고, 차체에 불까지 붙은 Gruff의 작동이 멈추면서 3승을 달성, 32강 진출을 사실상 확정지었다. 4차전 Minotaur를 상대로 경기 초반 벽으로 밀리다 강력한 타격으로 Minotaur의 차체를 날려버리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경기 중반부터 두 로봇 모두 무기와 구동부 하나가 멈추어 밀기 싸움이 되었다. Witch Doctor의 차체에서는 연기까지 피어올랐고, 밀기 싸움에서도 Witch Doctor가 계속해서 밀리는 양상을 보인 끝에 판정패했다. 토너먼트 32강 Jackpot을 상대로 경기 초반 전면전으로 Jackpot의 무기를 무력화시킨 뒤 맹타로 Upper Deck와 Screws로 차체를 날려버리며 경기를 주도했다. 이후 추가 타격으로 Jackpot의 우측 차체를 크게 파손시키며 작동 중지로 K.O.승리를 거두었다. 16강 Lock-Jaw[* 두 로봇은 시즌 1부터 참가해온 베테랑 팀들이지만 서로간의 대결은 이번 경기가 처음이다.]를 상대로 초반 Lock-Jaw의 바퀴를 날려버리며 주도권을 가져왔고, 연이은 타격으로 Lock-jaw의 무기 구동부 벨트를 떼어내는 치명적인 유효타를 가져간 뒤, 경기장 구석으로 몰아붙인 이후[* 이 때 Lock-Jaw의 드론 Spitfire가 공중으로 나가떨어지던 Lock-Jaw의 차체와 부딪히며 격추(...)당하기도 했다.] 마무리 일격으로 외피를 날려버리면서 K.O.승리한다. 8강 상대는 [[HUGE]]로, 초반부터 공격을 견디며 밀어붙이려 했으나 결국 무기가 멈추어 열세에 접어들었다. 이후 HUGE의 타격에 상판의 절반과 자가복구 리프터가 파손되는 데미지를 입은 채 판정패한다. == 누적 기록 == === 미들급 === ||<-15> {{{#ffffff 기록}}} || || 유형 || 상대 || 판정 || 결과 || ||<-100> '''BattleBots IQ 2010''' || || 승자조 8강 || PanDEMONium || K.O. || 승 || || 승자조 4강 || Bear Tooth || K.O. || 승 || || 승자조 결승 || Fuchsia Fusion || K.O. || 승 || ||<-100> '''BattleBots IQ 2011''' || || 승자조 16강 || PanDEMONium || K.O. || 승 || || 승자조 8강 || D-Mora-Lizer || - || 승 || || 승자조 4강 || Grasshopper || K.O. || 승 || || 승자조 결승 || Blue Flame || K.O. || 패[* 이후 최종 결승전에 진출함] || || 결승전 || Blue Flame || K.O. || 승 || || 이벤트전 || Fuchsia Fusion || K.O. || 패 || ||<-100> 최다연승 : '''6연승''' || ||<-100> 최다연패 : 1패 || ||<-100> 9전 7승 2패 승률 0.778 || === 헤비급 === ||<-15> {{{#ffffff 기록}}} || || 유형 || 상대 || 판정 || 결과 || ||<-100> '''World Championship 시즌 1 (2015)''' || || 24강 || Bronco || K.O. || 패[* 와일드카드 진출] || || 16강 || OverDrive(8) || K.O. || 승 || || 8강 || Tombstone(1) || K.O. || 패 || || 럼블전 || Overhaul, Nightmare || K.O. || 패 || ||<-100> '''World Championship 시즌 2 (2016)''' || || 48강 || ROTATOR || K.O. || 승 || || 32강 || Red Devil(29) || K.O. || 패 || || 럼블전 || Bite Force, Wrecks || K.O. || 패 || ||<-100> '''World Championship 시즌 3 (2018)''' || ||<-100> '''정규 시즌''' || || 1차전 || Yeti || K.O. || 패 || || 2차전 || Blacksmith || 심사위원 판정 || 승 || || 3차전 || Ultimo Destructo || K.O. || 승 || || 4차전 || Overhaul || K.O. || 승 || ||<-100> '''2018 Championship / 13시드''' || || 16강 || Minotaur(4) || K.O. || 패 || ||<-100> '''World Championship 시즌 4 (2019)''' || ||<-100> '''정규 시즌''' || || 1차전 || Shatter! || 심사위원 판정 || 승 || || 2차전 || Captain Shrederator || K.O. || 승 || || 3차전 || Whiplash || 심사위원 판정 || 승 || || 4차전 || Gigabyte || K.O. || 승 || ||<-100> '''2019 Championship / 2시드''' || || 16강 || Blacksmith(15) || K.O. || 승 || || 8강 || SawBlaze(7) || K.O. || 승 || || 4강 || DeathRoll(6) || 심사위원 우세 판정 || 승 || || 결승 || Bite Force(1) || K.O. || 패 || ||<-100> '''re:MARS all:STARS BattleBots Challenge (2019)''' || || 이벤트전 || Tombstone || K.O. || 승 || || 결승전 || Bronco || K.O. || 승 || ||<-100> '''World Championship 시즌 5 (2020-21)''' || ||<-100> '''정규 시즌''' || || 1차전 || Hydra || 심사위원 우세 판정 || 패 || || 2차전 || Kraken || 심사위원 판정 || 패 || || 3차전 || SlamMow! || K.O. || 승 || ||<-100> '''2020-21 Championship / 23시드''' || || 32강 || Skorpios(10) || 심사위원 판정 || 승 || || 16강 || SawBlaze(7) || K.O. || 패 || ||<-100> '''Bounty Hunters (2021)''' || || 방어전 || SubZero || K.O. || 승 || ||<-100> '''World Championship 시즌 6 (2021-22)''' || ||<-100> '''정규 시즌''' || || 1차전 || DUCK! || 심사위원 판정 || 승 || || 2차전 || End Game || K.O. || 패 || || 3차전 || Rusty || K.O. || 승 || ||<-100> '''2020-21 Championship / 24시드''' || || 32강 || Mammoth (9)[* 본래 9시드인 Glitch의 차체 결함으로 기권을 선언하며 Mammoth로 대체됨] || K.O. || 승 || || 16강 || Copperhead (8) || K.O. || 승 || || 8강 || Minotaur (16) || 심사위원 판정 || 승 || || 4강 || SawBlaze (4) || K.O. || 승 || || 결승전 || Tantrum (11) || K.O. || 패 || ||<-100> '''Battlebots: Champions - Golden Bolt Tournament (2022)''' || ||<-100> '''Sin City Slugfest''' || || 방어전 || Whiplash || K.O. || 승 || ||<-100> '''Golden Bolt Tournament''' || || 8강 || Glitch || K.O. || 승 || || 4강 || HyperShock || K.O. || 승 || || 결승전 || End Game || K.O. || 패 || ||<-100> '''World Championship 시즌 7 (2023)''' || ||<-100> '''정규 시즌''' || || 1차전 || Ribbot || K.O. || 승 || || 2차전 || Fusion || 심사위원 우세 판정 || 승 || || 3차전 || Gruff || K.O. || 승 || || 4차전 || Minotaur || 심사위원 판정 || 패 || ||<-100> '''2023 Championship / 3시드''' || || 32강 || Jackpot (30) || K.O. || 승 || || 16강 || Lock-Jaw (14) || K.O. || 승 || || 8강 || HUGE(6) || 심사위원 판정 || 패 || ||<-100> 최다연승 : '''7연승''' || ||<-100> 최다연패 : 2연패 || ||<-100> 47전 31승 16패 승률 0.660 || == 여담 == Battlebots: Champions 이전 까지는 Battlebots의 고착된 방식인 4륜 구동 수직 회전체의 모습을 따랐지만, 빗면과 같은 추가 무장은 부착하지 않았다. 그러나 Hypershock와의 경기에서 처음으로 조그마한 포크식 빗면를 장착하고 등장했다. [* 그 전까지는 빗면이 얼마나 배틀로봇을 망치고 있는지 Hypershock 팀과 함께 불평했다고 한다(...).] HEXBUG RC 장난감 최초 모델로 Witch Doctor 모델이 사용되었다. Witch Doctor는 Battlebots 헤비급 역사상 두번째로 2번 준우승에 머물렀다.[* 첫번째는 comdey central의 원조 Battlebots에서 시즌 1과 시즌 5의 준우승을 차지한 voltronic(voltarc).] 시즌 7 로스터 이미지의 Witch Doctor의 빗면 밑부분에 직사각형 형태의 조그만 구멍이 많은데, 레딧 등지에서는 이것이 포크식 빗면을 부착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었고 실제로 Gruff와의 경기에서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