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XK13}}}'''[br]''S&T Dynamics XK13''}}}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bemil.chosun.com/20091021004438_1.jpg|width=100%]]}}}|| ##이미지가 없을 경우 생략,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000,#ddd {{{-1 사진에 나온 것은 완성품이 아닌 [[목업]]으로 추정된다.}}}}}} || ##이미지에 대한 적합한 설명이 없을 경우 생략, 삭제할 수 있습니다. || '''종류''' ||[[자동유탄발사기]]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2009년]]~현재 || || '''개발년도''' ||[[2009년]] || || '''생산''' ||SNT중공업 || ||<-2> {{{#White '''세부사항'''}}} || || '''탄약''' ||25mm HEAB(공중폭발탄)[br]25mm AP(대전차고폭탄)[br]25mm TP(연습탄) || || '''급탄''' ||탄띠식[* 이중송탄, 링크식] || || '''작동방식''' ||[[가스 작동식]] || || '''총열길이''' ||?? || || '''전장''' ||1100mm 이하 || || '''중량''' ||25kg[* 여기에 [[사격통제장치]]까지 추가하면 5kg 더 추가된다.] || || '''발사속도''' ||200~300RPM || || '''탄속''' ||400m/s || || '''유효사거리''' ||2000m 이상 (지상)[br]300m 이상 (공중) ||}}}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external/pds18.egloos.com/d0128101_4ea3a422c878a.jpg]] [[대한민국 육군]]이 차기 [[중기관총]] 겸 차기 [[자동유탄발사기]]로 도입하려 했었던 화기. [[SNT중공업]](구 통일중공업)[* 절대 [[SNT모티브]](구 대우정밀)이 아니다. '통일'이란 이름에서 짐작가듯이 [[통일교]] 계열 회사였다. 허나 SNT라는 이름이 붙은 것에서 짐작할 수 있겠지만, 현재는 같은 모기업, SNT홀딩스의 자회사가 되어있긴 하다.]에서 연구, 개발을 하였다.[* 사진에 잘보면 S&T Dynamics 라고 써있다. S&T 중공업(현 SNT중공업)의 영어 회사명]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091022601005|개발이 완료된 듯 내부구조를 공개하고]] 분위기도 좋았는데 대공기능의 기준미달로 인해 정식 도입에는 실패했다. 구경이 [[20mm]]가 넘으면 '''포'''로 취급되어야 하지만 '''총'''으로 취급된 것은 이것이 [[대포]]가 아닌 자동유탄발사기였기 때문이다. [[유탄발사기]]는 구경이 20mm를 넘더라도 예외적으로 총으로 취급하기 때문. == 설명 == [[파일:external/file.agora.media.daum.net/pcp_download.php?fhandle=OFpMbFRAZmlsZS5hZ29yYS5tZWRpYS5kYXVtLm5ldDovSzE2Mi8xLzExMi5qcGc=&filename=PYH2009082502590001300_P2.jpg]] 25mm 신형탄을 사용할 예정으로 공중폭발탄인 데다 경우에 따라 대전차고폭탄을 쓸 수 있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에 상당한 화력 지원이 가능해졌다. 간단히 말하자면 한국형 [[XM307 ACSW|OCSW]]라고 할 수 있다.[* 주ㆍ야간 운용하는 사격통제장치 부착되어있고 CCD, LRF(레이저 거리 측정장치), 열영상 조준기도 부착되어있다.] || SNT중공업 관계자는 “지난해(2009년)부터 [[K6 중기관총]]을 대체할 25㎜ 차기 중기관총을 개발하고 있다”며 “2015년 실전 배치될 이 중기관총은 사격통제장치를 장착해 주ㆍ야간 정밀사격을 가능케 한다”고 말했다. || * 출처 [[http://kookbang.dema.mil.kr/kdd/GisaView.jsp?menuCd=3004&menuSeq=1&menuCnt=&writeDate=20100913&kindSeq=11&writeDateChk=20100913|국방일보(2010.09.13 - 군수품 돋보기-K6 중기관총 기사 中)]] == 이야기 거리 == * [[K16 기관총|XK12]]가 한때 XK13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해서 지금도 혼동하는 사람이 많다. * [[2013년]] 10월을 기점으로 XK13은 실패 판정을 받았고 사업이 전면 백지화, 또는 사업 목표 재설정에 들어가게 되었다. 야전 시험평가 중에 탄약 안정성에 관한 문제가 도마에 올랐고, 비싼 조달비용 또한 회의론에 일조를 한 듯. 향후 전면 백지화되거나, 혹은 [[40mm]] [[자동유탄발사기]]로의 설계변경이 유력하다고 하는데...과연? 일단은 XK13의 [[https://www.thefirearmblog.com/blog/2013/12/09/st-dynamics-xk13-ocsw-project-cancelled/|실패 판정]] 이후, [[미국]]의 [[Mk.47 고속유탄기관총|Mk.47]]을 참고해서 기존의 [[40mm]] [[자동유탄발사기]]에 [[XM307 ACSW|OCSW]]의 개념을 이식해 [[FCS]]와 40mm 에어버스트 [[유탄]]을 [[https://milidom.net/index.php?mid=miliboard&document_srl=300686&cpage=1|적용시키는 쪽]][* 링크에서 보듯 이미 공중폭발형 40mm 유탄의 개념을 내놓은 상황이었다.]으로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yanagi0221&logNo=220485924307&proxyReferer=&proxyReferer=http%3A%2F%2Fblog.naver.com%2Fyanagi0221%2F220485924307|선회한 상황]]. 밀리터리 매니아들은 대략 2016~2021년쯤 나올 것으로 예상했으나 아직 실물로 결과가 나온 적은 없으나 [[https://m.blog.naver.com/mnd9090/221202203122|기술 수준 분석이 2017년 끝났다고 S&T 모티브에서 생존을 확인해 줬다.]] 그리고 2022년 DX KOREA 에서 안티 드론 체계 중 하나로 40mm 공중 폭발 고속 유탄이 확인 되었다. 2023년 첨단 국방 산업전에서 40mm 고속 유탄 기관총-II 라는 이름으로 드디어 공개가 되었다. * K-13이란 제식명칭을 이미 [[K13 기관단총|다른 총기]]가 물려받은 상황이라 앞으로 업체에서 임의로 부여된 명칭과 제식명칭을 엄격히 분리할 예정으로 보인다. == 관련 문서 == * [[국산무기]] * [[XM307 ACSW]] [[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유탄발사기]][[분류:대한민국/개발 총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