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기계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VWXYZ)]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XYZDragonCannon-JP-Manga-DM-NC.png|width=500]] 원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결선 편|배틀 시티 결선 편]]에서 [[카이바 세토]]가 [[어둠의 유우기]]와의 4차전 듀얼 중 사용. 카이바가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의 제물을 마련하기 위해 투입한 XYZ 몬스터의 최종 합체 형태로, 원작에서는 3장의 합체 몬스터였기에 합체 상태에서도 3장 제물로서의 사용이 가능했다. 작중에서는 [[VWXYZ#XY-드래곤 캐논|XY-드래곤 캐논]]에 [[VWXYZ#Z-메탈 캐터필러|Z-메탈 캐터필러]]를 합체시켜 등장했으며, 유우기의 [[빅 실드 가드너]]를 공격해 파괴하고 압도적 우위를 취하는 듯 싶었으나, [[영혼의 줄]]의 콤보로 유우기가 [[트럼프의 삼총사]]를 전개해버리면서 [[오시리스의 천공룡]]을 먼저 소환해버렸다. 그러나 다음 오시리스의 공격을 [[아공간 물질 전송장치]]로 피해가면서 무사히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의 소환 제물이 되었다. 원작에서는 여기서 등장이 끝이지만,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오리지널 에피소드를 통해 OCG 사양으로 등장하면서 비중이 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도마 편|도마 편]]에서는 [[아멜다]]와의 듀얼 중 사용했으며, [[아멜다#역전의 전차부대|역전의 전차부대]]에 의해 특수 소환된 전차 토큰 3장을 전부 파괴하고 [[아멜다#KC1 크레이톤|KC1 크레이톤]]을 전투로 파괴했으나 아멜다가 발동한 [[아멜다#솔저 리볼트|솔저 리볼트]]의 효과로 파괴되었다. 오레이칼코스의 신과의 최종 결전에서는 소환 후 [[죠노우치 카츠야]]가 소환한 [[로켓 전사]]를 발사하는 퍼포먼스를 보이기도 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KC 그랑프리 편|KC 그랑프리 편]]에서는 [[지크 로이드]]와의 듀얼 중 등장했으나, 지크의 [[니벨룽의 반지(유희왕)|니벨룽의 반지]]에 의해 효과 발동도 공격도 막혀버렸다. 그래도 필드를 계속 버텨서 벽 역할을 해준 끝에, 끝내 카이바가 불러낸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의 효과로 묘지로 보내졌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빛의 피라미드]]에서는 [[카이바 세토]]가 [[페가수스 J. 크로포드]]와의 듀얼 중 사용. [[블랙 코어]], [[영혼의 해방]]으로 제외시킨 XY 파츠를 [[이차원으로부터의 귀환]]으로 되살리고 합체 소환한 뒤 페가수스의 [[툰 월드]]를 파괴하고 피니셔가 되었다. 공격명은 'XYZ 하이퍼 캐논(X・Y・Z ハイパー・キャノン / XYZ Hyper Cannon)'. 효과명은 '하이퍼 디스트럭션(ハイパー・ディストラクション / Hyper Destruction)'.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빛의 피라미드|극장판]] 한정 '캐논 파이어 스톰(Cannon Fire Storm)'. [[파일:XYZDragonCannon-JP-Anime-GX-NC.png]]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만죠메 쥰]]이 사용. [[크로노스 데 메디치]]의 사재기를 통해 입수한 레어 카드로, [[유우키 쥬다이]]와의 2차전 듀얼에서 처음 등장했다. [[요술망치]]와 [[유니온(유희왕)#전선기지|전선기지]]의 콤보로 금세 전개해서 [[VWXYZ#VW-타이거 캐터펄트|VW-타이거 캐터펄트]]와 함께 [[VWXYZ-드래곤 캐터펄트 캐논]]으로 융합 합체했다. 이후 만죠메가 [[방해꾼]] 카드를 입수하고나서부터는 [[방해꾼#방해꾼 겟 라이드!|방해꾼 겟 라이드!]]의 콤보를 통해 합체해내기도 했다. [[아몬 가람]]과의 듀얼에서도 역시 [[VWXYZ-드래곤 캐터펄트 캐논]]의 융합 소재가 되었다. [[듀얼 아카데미아]] 학원 축제 때는 만죠메가 이 몬스터를 [[코스프레]]하고 등장했으며, 이 상태로 [[마루후지 쇼]]와 함께 [[유우키 쥬다이]]와 [[블랙 매지션 걸]]의 듀얼을 생중계했다. 근데 [[대사신 조크 네크로파데스|드래곤 헤드가 영 좋지 않은 곳에 붙어있고]], 다리에는 캐터필러를 그대로 신고 다녀서 걸음거리가 굉장히 불편해보인다. [[파일:XYZDragonCannon-JP-Anime-AV-NC.png]] [[유희왕 ARC-V]]에서는 [[유리(유희왕)|유리]]에게 맞선 [[사카키 유우쇼]]의 제자 중 1명이 듀얼 중 사용. 첫 턴부터 [[유니온(유희왕)#전선기지|전선기지]], [[어리석은 매장]], [[아이언콜]]로 소재를 전부 모아 합체 소환한 뒤, 같이 참여한 형이 펠로우즈 기프트의 효과로 넘겨준 [[VWXYZ#VW-타이거 캐터펄트|VW-타이거 캐터펄트]]와 함께 [[VWXYZ-드래곤 캐터펄트 캐논]]으로 융합 합체했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XYZDragonCannon-GB8-JP-VG.png]] ||<#F8B848> {{{#000 한글판 명칭}}} ||<-4>'''XYZ-드래곤 캐논''' (비공식 번역명)|| ||<#F8B848> {{{#000 일어판 명칭}}} ||<-4>'''[ruby(XYZ, ruby=エックスワイゼット)]-ドラゴン・キャノン'''|| ||<#F8B848> {{{#000 영어판 명칭}}} ||<-4>'''XYZ-Dragon Cannon'''|| ||<#F8B848><-5> {{{#000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8 || 백마족 || 기계족 || 2800 || 2600 || ||<-5>자신의 제일 왼쪽 패를 버리고 적의 필드의 몬스터를 1장 파괴하는 효과.||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에서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4716_1.jp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XYZDragonCannon-DP2-EN-R-1E.jpg|width=98%]] || || 내수판[* [[파일:XYZDragonCannon-JP-Manga-DM-NC.png]][br]이 카드의 구도는 원작 29권의 77페이지에 있는 구도] || 수출판 ||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7156_1.jpg|width=100%]] || [[파일:XYZDragonCannon-SBCB-EN-C-1E.png|width=98%]] || || 내수판[* [[파일:스캔ohnoreno-33.jpg]][br]이 카드의 구도는 원작 29권의 76페이지에 있는 구도] || 수출판 ||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1089_1.jp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XYZDragonCannon-DPKB-EN-SR-1E.png|width=98%]]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융합=, 한글판명칭=XYZ-드래곤 캐논, 일어판명칭=XYZ(エックスワイゼット)-ドラゴン・キャノン, 영어판명칭=XYZ-Dragon Cannon, 속성=빛, 레벨=8, 공격력=2800, 수비력=2600, 종족=기계족, 소재="X-헤드 캐논" + "Y-드래곤 헤드" + "Z-메탈 캐터필러", 효과외1=자신 필드의 상기 카드를 제외했을 경우에만\,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는 묘지에서의 특수 소환은 할 수 없다., 효과1=①: 패를 1장 버리고\,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의 카드를 파괴한다.)] {{{#!wiki style="width: 100%;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background-color:#FFFFFF; border: rgba(255,165,0,1) solid 1px;" 무한궤도와 공중기동에 더해 캐논포까지 손에 넣은 완전 합체 몬스터. 고출력 및 자유자재의 기동력을 살린 공격을 펼친다. ▶[[유희왕 크로스 듀얼|{{{#FFA500 유희왕 크로스 듀얼}}}]]의 [[플레이버 텍스트|{{{#FFA500 플레이버 텍스트}}}]] }}} >'''"XYZ-드래곤 캐논을 특수 소환한다!"''' >---- >[[카이바(유희왕 듀얼링크스)|카이바]],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XYZ 합체! XYZ-드래곤 캐논!"''' >---- >[[카이바(DSOD)(유희왕 듀얼링크스)|카이바(DSOD)]],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XYZ를 합체! XYZ-드래곤 캐논!''' >---- >[[만죠메(유희왕 듀얼링크스)|만죠메]],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패 코스트 1장으로 상대 필드의 카드를 대상 지정 파괴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기동 효과|기동 효과]]를 가진 융합 효과 몬스터. [[융합(마법 카드)|융합]]처럼 [[융합 소환]]을 따로 실행하는 카드 없이 특수 소환할 수 있는 융합 몬스터의 원조이기도 하다. 필드에 갖춰진 소재 3장을 제외하고 꺼내야 하지만, 서포트 카드가 충실한 만큼 특수 소환 난이도가 그리 높지만은 않다. 가장 단순한 방법은 [[유니온 격납고]]와 [[VWXYZ#X·Y·Z 컴바인|X·Y·Z 컴바인]]을 같이 써주는 것이 있으며, 그밖에는 융합 소재를 [[예상외]]나 [[융합파병]]으로 리크루트하거나, 그 턴 특수 소환을 포기하고 [[동포의 연]]으로 소재부터 갖추고 보는 방법도 있다. [[사이버 네트워크]]나 [[VWXYZ#스크램블 유니온|스크램블 유니온]]으로 융합 소재를 다같이 귀환시키는 구축도 고려해볼 수 있다. [[세리온즈 "킹" 레귤러스]]로 융합 소재를 장착 카드로 만들어놓는 방법도 있으며, 이 카드 자신도 한 번 특수 소환하고 나서 장착 카드로 만들면 [[밸리언츠#VV-진라만상|VV-진라만상]]으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파괴 효과는 턴 제한이 없으며, 1:1 교환으로 단일 제거가 가능하지만, 한 번 쓸 때마다 패가 소모되어 버린다. 능력치도 최상급치고는 평균 수준에 머물러 있고, 유니온 상태와는 달리 아무런 내성도 없어서 제거당하기가 쉽다. 패를 소비해서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소환 난이도가 더 낮고 프리 체인 제외가 가능한 [[ABC-드래곤 버스터]]를 쓰는 편이 낫고, 같은 소재로 엑시즈 몬스터를 꺼내는 편이 유용한 경우도 많다. [[VWXYZ-드래곤 캐터펄트 캐논]]의 융합 소재로 사용할 경우 이 카드를 직접 꺼내느니 [[퓨전 태그]]로 카드명을 복사하는 쪽이 효율이 더 좋다. 한 편 [[AtoZ-드래곤 버스터캐논]]의 특수 소환을 노린다면 결국 이 카드를 직접 꺼낼 필요가 있다. 파괴 효과에 턴 제한이 없다 보니, 에라타 이전 [[심연의 암살자]]가 준제한이던 시절에는 이 카드의 효과 코스트로 사용해서 다시 심연의 암살자를 회수해 오는 [[무한 루프]] 콤보로 상대 필드의 카드를 전부 파괴하는 콤보가 가능했다. 현 시점에서는 [[볼캐닉#볼캐닉 불릿|볼캐닉 불릿]]으로 비슷한 짓이 가능하다. [[미래융합-퓨처 퓨전]], [[오버로드 퓨전]]을 활용하는 덱에서는 제법 실용적인 카드로서 투입되기도 했다. [[차원 융합]], [[이차원으로부터의 귀환]]으로 소재를 단번에 차려놓은 다음 이 카드를 꺼내서 상대 필드의 카드를 날려버리고, [[키메라테크 오버 드래곤]]으로 마무리를 짓는 전법으로 활용되었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2-07-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302-052 | '''ユニオンの降臨'''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 || ||<(> 2003-05-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LE5-006 | [[리미티드 에디션|LIMITED EDITION 5 - 海馬パック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3-12-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K2-042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海馬編 - Volume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4-09-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E1-JP107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5-10-2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P2-JP014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 - 万丈目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0-09-2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MFC3-JP002 | モンスターフィギュアコレクション Volume 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5-01-1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15AX-JPY40 | [[듀얼리스트의 영광|15周年記念商品 決闘者の栄光 - 記憶の断片 - side:闇遊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M)] || ||<(> 2016-06-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KS-JP042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海馬瀬人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21-09-2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WPP2-JPS01 | [[엑스트라 팩|WORLD PREMIERE PACK 202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SE)] || ||<(> 2022-04-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KC01-JP034 | 25th ANNIVERSARY ULTIMATE KAIBA SE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3-09-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BPT-010 | '''BOOSTER PACK TIN 200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03-10-1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FC-052 | '''[[매지션의 힘|MAGICIAN'S FORC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5-03-1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R1-EN107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6-02-0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P2-EN014 | [[듀얼리스트 팩|DUELIST PACK - CHAZZ PRINCETON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0-04-2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PKB-EN025 | [[듀얼리스트 팩|DUELIST PACK - KAIBA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6-04-1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IL1-EN040 | [[밀레니엄 팩|MILLENNIUM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6-10-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KS-EN042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STRUCTURE DECK : SETO KAIBA]]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8-03-0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CKC-EN061 | LEGENDARY COLLECTION KAIBA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20-11-2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BCB-EN084 | Speed Duel: Battle City Box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11-2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MFC-KR052 | '''[[매지션의 힘]]'''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6-05-2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HGP1-KR107 | [[하이 그레이드 팩|하이 그레이드 팩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7-05-0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P2-KR014 |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 - 만죠메 편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6-10-0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KS-KR042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스트럭처 덱 - 카이바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20-03-2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15AX-KRY40 | [[듀얼리스트의 영광|듀얼리스트의 영광 -기억의 단편- side: 어둠의 유희]]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21-12-2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WPP2-KRS01 | [[엑스트라 팩|월드 프리미어 팩 202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SE)] || == 관련 카드 == === 융합 소재 몬스터 === ==== [[VWXYZ#X-헤드 캐논|X-헤드 캐논]] ==== ==== [[VWXYZ#Y-드래곤 헤드|Y-드래곤 헤드]] ==== ==== [[VWXYZ#Z-메탈 캐터필러|Z-메탈 캐터필러]] ==== === 기타 관련 카드 === ==== [[VWXYZ-드래곤 캐터펄트 캐논]] ==== XYZ-드래곤 캐논을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1. ==== [[AtoZ-드래곤 버스터캐논]] ==== XYZ-드래곤 캐논을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2.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VWXYZ, version=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