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include(틀:대한민국의 4대 대형 기획사)] [include(틀:YG엔터테인먼트)] ||<-2> '''{{{+1 YG 엔터테인먼트}}}[br]YG Entertainment''' || ||<-2> [[파일:YG엔터테인먼트 로고.svg|width=90%&theme=light]][[파일:YG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width=90%&theme=dark]] || ||<|2> '''기업명''' ||㈜와이지엔터테인먼트 || ||YG Entertainment Inc.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업종명''' ||음악 및 기타 오디오물 출판업 || || '''설립일''' ||[[1998년]] [[2월 24일]][* [[모체 기업]]인 '현기획'은 [[1996년]] [[3월]]에 설립되었다.] || || '''설립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color: #fff" '''설립자'''}}} [[양현석]] || || '''임원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color: #fff" '''이사회 의장'''}}} [[양민석]][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color: #fff" '''대표이사'''}}} [[양민석]], [[황보경]][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color: #fff" '''사내이사'''}}} [[양민석]], [[황보경]], 김성회 ||}}}}}} || || '''상장 여부''' ||상장기업 || || '''상장 시장''' ||[[코스닥]] {{{-2 (2011 ~ 현재)}}} || || '''기업 규모''' ||[[중견기업]] || || '''시가총액''' ||1조 4,493억 {{{-2 (2023. 08. 06.)}}} || ||<|2> '''소재지''' ||[[서울특별시]] [[마포구]] 희우정로1길 7 ([[합정동(서울)|합정동]])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마포구 희우정로1길 YG엔터테인먼트, 너비=100%, 높이=100%)]}}} || ||<-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000" {{{#!folding 기업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상장시장''' ||[[코스닥]] || || '''종목 코드''' ||122870 || || '''직원 수''' ||415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 || '''자본금''' ||94억 8,767만 6,500원^^([[2022년]] 기준)^^ || || '''매출액''' ||연결: 3,911억 7,451만 2,956원^^([[2022년]] 기준)^^[br]별도: 2,819억 5,090만 3,406원^^([[2022년]] 기준)^^ || || '''영업이익''' ||연결: 466억 3,944만 9,138원^^([[2022년]] 기준)^^[br]별도: 398억 3,039만 8546원^^([[2022년]] 기준)^^ || || '''순이익''' ||연결: 467억 7,463만 7,912원^^([[2022년]] 기준)^^[br]별도: 290억 5,800만 5,654원^^([[2022년]] 기준)^^ || || '''자산총액''' ||연결: 7,128억 7,250만 384원^^([[2022년]] 기준)^^[br]별도: 5,014억 2,091만 66원^^([[2022년]] 기준)^^ || || '''부채총액''' ||연결: 1,865억 8,444만 5,794원^^([[2022년]] 기준)^^[br]별도: 924억 3,677만 6,799원^^([[2022년]] 기준)^^ || || '''부채비율''' ||연결: 28.73%^^([[2021년]] 기준)^^[br]별도: 14.03%^^([[2021년]] 기준)^^ ||}}}}}}}}} || || '''링크'''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YG FAMILY''' {{{-3 (아티스트 채널)}}} || ||[[http://ygfamily.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instagram.com/yg_ent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facebook.com/ygfamily|[[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ygent_official, 크기=20)] [[https://www.youtube.com/@YGEntertainment|[[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soundcloud.com/yg-entertainment|[[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width=20]]]] [[https://post.naver.com/officialygfamily|[[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width=20]]]] [[https://tv.naver.com/ygfamily|[[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http://weibo.com/ygfamilyofficial|[[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0]]]] || ||'''YG STAGE''' {{{-3 (배우 채널)}}} || ||[[http://ygstage.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www.instagram.com/yg_stag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ygstageoffici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yg_stage, 크기=20)] [[https://www.youtube.com/@ygstageofficia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post.naver.com/ygstage|[[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width=20]]]] [[https://weibo.com/ygstageofficial|[[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000,#fff '''VIBE THE NEW FLOW.''' }}} || [[대한민국]]의 [[연예 기획사]]. == 특징 == [[1996년]] [[3월]], [[양현석]]이 [[서태지와 아이들]] 해체 이후 설립한 [[연예 기획사]]로,[* 당시 사명은 현 YG의 모체인 "현기획".] 설립 이후 아이돌 그룹 [[킵식스]]를 데뷔시켰다. [[1997년|이듬해]] [[5월]], 사명을 "MF기획"으로 변경하고 [[지누션]]을 데뷔시키게 되며,[* 사명의 경우, [[션(지누션)|션]]의 패션 브랜드 'Majah Flavah'와 같은 로고 디자인을 사용하였으며, [[지누션]]의 1집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1998년]] [[2월]], [[서태지와 아이들]] 시절 [[서태지]]가 [[양현석]]에게 붙여준 별명 '[[양군]]'에서 이름을 따온 "[[양군기획]]"을 설립하며 [[원타임(그룹)|1TYM]]을 데뷔시키고 'YG FAMILY'를 결성한다. 이후 [[2001년]] [[5월]], 사명을 현재의 "YG엔터테인먼트"로 변경한다.[* 지금도 [[Mnet]]에서 당시 발표된 곡들의 M/V를 상영하면 옛 사명들을 찾아볼 수 있다.] 음악적으로는 [[대한민국]]의 [[SM엔터테인먼트|연예]] [[JYP엔터테인먼트|기획사]] 중에서 '''블랙 뮤직'''을 가장 추종하고, 특히 [[랩 음악|랩]]/[[힙합 음악|힙합]] 음악에 강하다는 평을 받고 있는 기획사이다.[* 이를 가장 잘 보여주는 예시가 산하 레이블이였던 [[THEBLACKLABEL]]이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블랙 뮤직을 추종하는 레이블"이다.] 정확히는 [[미국]]의 [[힙합 음악|힙합]], [[R&B]], [[록 음악|록]] 장르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과거 2000년대까지는[* 정확히는 [[BIGBANG]]이 [[거짓말(BIGBANG)|거짓말]], [[마지막 인사]] 등으로 활동할 시절까지이다.] 대한민국 고유의 아이돌 음악이나 일본 음악의 영향도 꽤 받았던 시절이 있었으나, 2009년 [[2NE1]]의 데뷔를 기점으로, 영미권 음악의 주류를 따르는 경향으로 확고하게 바뀌었다. 그러나 2010년대 후반부터는 '''아티스트 고유의 음악색'''을 중요시하는 분위기로 변화하고 있다. YG 특유의 힙합 스타일을 바탕으로 각팀의 프로듀서들이 자신의 팀이 추구하는 음악 스타일로 이끌어나가고 있다. 20년대를 기준으로 [[BIGBANG]]과 [[BLACKPINK]]의 경우 "YG 고유의 스타일"을 추종하고 있으며, [[WINNER]]는 "청량한 여름 스타일", [[TREASURE]]는 "밝고 희망찬 스타일", [[젝스키스]]는 "따뜻한 옛 가요 스타일"을 중점적으로 추종하고 있다.[* [[AKMU]]의 경우 다양한 장르를 소화해내기 때문에 한 단어로 정의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해당 스타일을 중점적으로 추종할 뿐, 해당 장르 외에 다른 장르를 하지 않는다는 뜻은 아니다.[* 스타일을 정확히 정의하기 보다는, 각 팀의 프로듀서들의 음악적 스타일이 나타난다고 보면 편할 것 같다. [[BIGBANG]]은 [[G-DRAGON]], [[WINNER]]는 [[강승윤]], [[AKMU]]는 [[이찬혁]]의 스타일이 나타난다. 그 외 [[BLACKPINK]]는 [[테디(원타임)|TEDDY]], [[TREASURE]]는 [[CHOICE37]]과 [[FUTURE BOUNCE]]가 프로듀싱을 맡고 있다.] === 로고 === ||<-2> {{{#fff,#000 {{{+1 '''YG ENTERTAINMENT CI'''}}}}}}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G엔터테인먼트 로고.svg|width=80%&theme=light]][[파일:YG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width=80%&theme=dark]]}}} || ||<-2> '''로고'''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G엔터테인먼트 워드마크.svg|width=80%&theme=light]][[파일:YG엔터테인먼트 워드마크 화이트.svg|width=80%&theme=dark]]}}} || ||<-2> '''워드마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G엔터테인먼트 심볼.svg|width=80%&theme=light]][[파일:YG엔터테인먼트 심볼 화이트.svg|width=80%&theme=dark]]}}}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G엔터테인먼트 슬로건.svg|width=80%&theme=light]][[파일:YG엔터테인먼트 슬로건 화이트.svg|width=80%&theme=dark]]}}} || || '''심볼''' || '''슬로건''' || === 사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G엔터테인먼트 신사옥.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G엔터테인먼트 사옥.jpg|width=100%]]}}} || 본사 사옥은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서울)|합정동]]에 위치해있으며, 왼쪽 건물은 구사옥이며 오른쪽 건물이 신사옥이다. 사옥의 전체 디자인과 연습실 등이 다크한 디자인이며, 소속사 건물 외부 및 내부 시설이 근사하기로 유명하다. 한때 국내 3대 기획사 중 가장 세련됨을 자랑하였으며, 그 점을 잘 살려서 방송에서도 자주 건물 내부를 공개해서 이미지를 각인시켰다. 실제로 [[양현석]]은 소속사 건물에 신경을 많이 쓰며 YG 직원들 편의에 공을 들인다고 인터뷰에서 밝혔다. 회사 내부에서 제공되는 식사만 해도 배달음식이 아니라 집밥같이 제대로 차려먹기 위해 전용 식당이 있으며 음식 솜씨 좋은 아주머니 네 분을 채용했다고 한다. [[2020년]]에는 기존 사옥 10배 규모의 신사옥이 바로 옆에 완공되었다.[* 오래된 빌라를 매입해 헐고 지은 자리다.] 실내 면적은 6,000평에 달하고, 복층 높이의 대강당을 비롯해 대형 댄스 연습실 7실, 대형 녹음 스튜디오 7실, 전속 작곡가와 아티스트를 위한 개인 음악 작업실 30개가 설치됐다. 또한 메이크업룸, 헬스장, 탁구장, 당구장 등의 편의시설이 설치되어있다. 기존 사옥과는 지상 다리로 연결되어있다고 한다. [[2020년]] [[12월]]부터 신사옥으로 이사를 시작하였다.[* 참고로 [[TREASURE]]의 [[THE FIRST STEP : CHAPTER THREE]]의 수록곡 '음 (MMM)'의 뮤직비디오의 일부 장면과 [[WINNER]]의 [[HOLIDAY(WINNER)|HOLIDAY]] 콘셉트 티저가 신사옥 내부에서 촬영되었다.] 구사옥은 [[2021년]] [[6월]]부터 [[THEBLACKLABEL]]이 사용하고 있다. === 자체 작사·작곡 === 주로 [[SM엔터테인먼트]]가 외부에서 OEM 방식으로 외부 프로듀서들에게서 곡을 사오는 방식이라면, YG엔터테인먼트는 자칭 타칭 '''[[가내수공업]]'''이라 하여 내부 프로듀서들을 키워 내는 데에 투자가 많은 회사이다. 최근 신사옥으로 이전하면서 스튜디오를 많이 짓고 새 프로듀서들을 많이 영입하였으며, 프로듀서 오디션까지 진행하고 있다.[* 프로듀서 로빈의 인터뷰에 따르면 인하우스 프로듀서에게 YG엔터테인먼트는 거의 천국이라고 한다. 다만 엄청난 경쟁을 뚫고 들어와서 다시 엄청난 경쟁을 뚫어서 트랙을 수면 위에 올리는게 문제일뿐... [[DJ 투컷]]의 말에 따르면 데드라인이 없는 것을 넘어서서 뭐든 간에 완성된 걸 들고 오지 못하면 아무도 관심을 가져주지 않는다고 한다.] 과거에 [[양현석]]이 밝히기를 YG의 메인 프로듀서는 [[PERRY]], [[테디(원타임)|TEDDY]], [[G-DRAGON]], [[KUSH]] 이렇게 네 명이라고 하였으나, 현재 YG의 메인 프로듀서는 [[FUTURE BOUNCE]]와 [[CHOICE 37]] 등으로 보인다.[* [[THEBLACKLABEL]]이 2020년을 기점으로 독립하였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테디(원타임)|TEDDY]]와 [[KUSH]]는 YG엔터테인먼트 소속이 아니다.] 현재 소속 프로듀서의 경우 [[CHOICE37]][* 미국 언더그라운드에서 활동하다 [[테디(원타임)|TEDDY]]와의 인연으로 영입되었다.], [[FUTURE BOUNCE]] ([[최필강|P.K]] & [[DEE.P]])[* 2015년, [[최필강|최필강 (PK)]]과 [[DEE.P|박한범 (DEE.P)]]이 힘을 합쳐 만든 작곡팀으로, [[iKON]]의 [[WELCOME BACK(하프앨범)|WELCOME BACK]]에 참여하며 데뷔하였다.], 강욱진, Diggy, [[AiRPLAY]], [[ROVIN]], iHwak, [[BIGTONE]][* 번외로 HAPPY FACE라는 팀이 있었는데, 최필강 (PK)이 [[FUTURE BOUNCE]]라는 팀을 만들기 전에 [[BIGTONE]]과 결성했던 그룹이다.], [[MILLENNIUM]] 등이 있다. 또한 YG엔터테인먼트 아티스트들이 갖추고 있는 가장 큰 장점은 자체 작사, 작곡 능력이다. [[YG FAMILY|YG엔터테인먼트 소속 그룹]]에서는 자기 그룹을 스스로 프로듀싱하는 싱어송라이터가 한 명 이상씩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G-DRAGON]] ([[BIGBANG]]), [[이찬혁]] ([[AKMU]]), [[강승윤]] ([[WINNER]]), 그리고 과거의 [[B.I]] ([[iKON]])이 있다.[* [[BLACKPINK]]는 [[THEBLACKLABEL]]에서 프로듀싱을 담당하고 [[TREASURE]]의 경우에는 YG PRODUCER들이 프로듀싱을 담당하고 있다.] YG엔터테인먼트의 보이그룹의 경우 이 분야의 끝판왕인 [[BIGBANG]]은 말할 것도 없고 후배 그룹인 [[WINNER]], 현재는 YG를 나간 [[iKON]], [[TREASURE]] 역시 본인들의 음반에 수록되는 곡들을 직접 작사, 작곡해오고 있고 '''앞으로도 그래야만''' 한다.[* [[TREASURE]]의 경우 멤버들이 프로듀싱 능력을 갖추고는 있지만 아직 메인 프로듀서는 YG PRODUCER가 맡고 있으며, [[iKON]]의 경우 [[B.I]] 탈퇴 이후로 YG PRODUCER들이 메인 프로듀서를 맡았었다.] [[G-DRAGON]]과 [[강승윤]], [[B.I]], [[이찬혁]]은 정말 수준급 프로듀싱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되며, 그 외 그룹 프로듀싱보다는 자작곡 작업을 많이하는 [[송민호]], [[BOBBY]]와 서브 프로듀서를 맡는 [[이승훈(WINNER)|이승훈]], [[김동혁]], [[아사히(TREASURE)|아사히]], [[방예담]] 등도 뛰어난 프로듀싱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 조건을 여타 보통 아이돌 그룹에게 적용하면 굉장히 큰 부담이 되겠지만 YG엔터테인먼트 소속 보이그룹에겐 너무도 당연한 일이며, 그걸 또 해내는 이유는 애초에 '''양현석이 연습생 시절부터 이렇게 육성시켰기 때문이다.''' 일단 YG엔터테인먼트는 기본적으로 설립 당시부터 힙합을 추구해온 레이블이기 때문에 YG의 아이돌 그룹은 기본적으로 래퍼가 꼭 들어가며 자신의 파트는 자신이 직접 작사한다. 무엇보다도 기본적으로 본인이 쓸 가사는 본인이 직접 쓰는 게 래퍼들의 당연한 기본이자 소양이다. 타인이 쓴 가사를 쓰는 래퍼는 기본적으로 조롱부터 받는게 힙합계이다.[* 고스트 라이팅을 하는 래퍼가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 그 래퍼는 이미지가 많이 떨어지게 된다. 래퍼의 평가 요소는 플로우등 도 있지만 작사 능력도 엄연한 래퍼의 기본으로 아무리 목소리가 좋고 리듬에 맞게 랩을 잘하더라도 가사 작곡을 본인이 직접 하지 않는다면 힙합을 좋아하는 팬들은 결코 좋게 보지 않는다.] 단순히 싱어송라이팅이 가능하다고 한들 곡의 수준이 떨어지면 결국 도로아미타불이지만 각 팀의 메인 프로듀싱 멤버인 [[G-DRAGON]] ([[BIGBANG]]), [[강승윤]] ([[WINNER]]), [[B.I]] ([[iKON]])이 축이 되어 제작한 세 팀의 음원은 발매할 때마다 모든 음원 차트 1위를 휩쓸었다.[* [[G-DRAGON]]은 말할 것도 없고, [[강승윤]]이 메인 프로듀서로 작업한 [[REALLY REALLY]]와 [[EVERYDAY]], [[MILLIONS]], [[B.I]]가 메인으로 작업한 [[사랑을 했다]]와 [[공허해]], [[WELCOME BACK(하프앨범)|취향저격]]이 있다.] 작사/작곡하는 척이 아니라 프로듀싱 능력도 제대로 갖추고 있다는 의미이다. [[K팝 스타 시즌2]]를 통해 데뷔한 [[AKMU]]의 [[이찬혁]] 또한 이전부터 자작곡을 만들어왔기 때문에 YG엔터테인먼트의 이런 성향과 맞아떨어졌다. == [[YG엔터테인먼트/과거 소속 아티스트|과거 소속]]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YG엔터테인먼트/과거 소속 아티스트)] == [[/역사|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YG엔터테인먼트/역사)] == [[/경영|경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YG엔터테인먼트/경영)] == [[/자회사|자회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YG엔터테인먼트/자회사)] == [[/음반|디스코그래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YG엔터테인먼트/음반)] == 소속 아티스트 == === 아티스트 === ## 아티스트의 사진은 음원 사이트에 등록된 정사각형 이미지를 사용합니다. || [[https://ygfamily.com|[[파일:YG엔터테인먼트 아이콘.svg|width=20&theme=light]][[파일:YG엔터테인먼트 아이콘 화이트.svg|width=20&theme=dark]] {{{#000,#ddd '''YG엔터테인먼트 공식 홈페이지'''}}}]] '''참고.''' || ||<-5> [[파일:YG FAMILY 워드마크 화이트.svg|height=20&theme=light]][[파일:YG FAMILY 워드마크.svg|height=20&theme=dark]] || ||<-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지누션|[[파일:JINUSEAN THE 21ST ANNIVERSARY.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BIGBANG|[[파일:봄여름가을겨울 (Still Life).jpg|width=100%]]]]}}}|| || || || [[지누션|[[파일:지누션 폰트 화이트.svg|height=13&rendering=pixelated&theme=light]][[파일:지누션 폰트.svg|height=13&rendering=pixelated&theme=dark]]]] || || [[BIGBANG|[[파일:BIGBANG 폰트 화이트.svg|height=12&rendering=pixelated&theme=light]][[파일:BIGBANG 폰트.svg|height=12&rendering=pixelated&theme=dark]]]] || || ||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AKMU|[[파일:AKMU Love Lee.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WINNER|[[파일:WINNER HOLIDAY 2.jpg|width=100%]]]]}}}|| || || || [[AKMU|[[파일:AKMU 폰트 화이트.svg|height=12&rendering=pixelated&theme=light]][[파일:AKMU 폰트.svg|height=12&rendering=pixelated&theme=dark]]]] || || [[WINNER|[[파일:WINNER 폰트 화이트.svg|height=12&rendering=pixelated&theme=light]][[파일:WINNER 폰트.svg|height=12&rendering=pixelated&theme=dark]]]] || || ||<-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BLACKPINK|[[파일:BP_BORNPINK_all.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젝스키스|[[파일:젝스키스_뒤돌아보지 말아요_photo.jpg|width=100%]]]]}}}|| || || || [[BLACKPINK|[[파일:BLACKPINK 폰트 화이트.svg|height=12&rendering=pixelated&theme=light]][[파일:BLACKPINK 폰트.svg|height=12&rendering=pixelated&theme=dark]]]] || || [[젝스키스|[[파일:젝스키스 폰트 화이트.svg|height=12&rendering=pixelated&theme=light]][[파일:젝스키스 폰트.svg|height=12&rendering=pixelated&theme=dark]]]] || || ||<-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TREASURE|[[파일:TREASURE REBOOT Profile.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BABYMONSTER|[[파일:BABYMONSTER NEXT MOVEMENT.jpg|width=100%]]]]}}}|| || || || [[TREASURE|[[파일:TREASURE 폰트 화이트.svg|height=12&rendering=pixelated&theme=light]][[파일:TREASURE 폰트.svg|height=12&rendering=pixelated&theme=dark]]]] || || [[BABYMONSTER|[[파일:BABYMONSTER 폰트 화이트.svg|height=12&rendering=pixelated&theme=light]][[파일:BABYMONSTER 폰트.svg|height=12&rendering=pixelated&theme=dark]]]] || || ||<-5> || === 배우 === || [[파일:YG STAGE 워드마크.svg|height=20]]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김희애|{{{#000,#fff 김희애}}}]] || [[차승원|{{{#000,#fff 차승원}}}]] || [[최지우|{{{#000,#fff 최지우}}}]] || [[장현성|{{{#000,#fff 장현성}}}]] || || [[유인나|{{{#000,#fff 유인나}}}]] || [[정혜영|{{{#000,#fff 정혜영}}}]] || [[유승호|{{{#000,#fff 유승호}}}]] || [[수현(배우)|{{{#000,#fff 수현}}}]] || || [[이성경|{{{#000,#fff 이성경}}}]] || [[장기용|{{{#000,#fff 장기용}}}]] || [[이수혁(배우)|{{{#000,#fff 이수혁}}}]] || [[경수진|{{{#000,#fff 경수진}}}]] || || [[김진우(WINNER)|{{{#000,#fff 김진우}}}]] || [[강승윤|{{{#000,#fff 강승윤}}}]] || [[지수(BLACKPINK)|{{{#000,#fff 지수}}}]] || [[한승연|{{{#000,#fff 한승연}}}]] || || [[손나은|{{{#000,#fff 손나은}}}]] || [[권현빈|{{{#000,#fff 권현빈}}}]] || [[서정연|{{{#000,#fff 서정연}}}]] || [[진경(배우)|{{{#000,#fff 진경}}}]] || || {{{#000,#fff 심영은}}} || [[갈소원|{{{#000,#fff 갈소원}}}]] || [[박소이|{{{#000,#fff 박소이}}}]] || [[이호정|{{{#000,#fff 이호정}}}]] || || [[강희(배우)|{{{#000,#fff 강희}}}]] || [[주우재|{{{#000,#fff 주우재}}}]] || [[이주명|{{{#000,#fff 이주명}}}]] || [[박형섭|{{{#000,#fff 박형섭}}}]] || || [[이기택(배우)|{{{#000,#fff 이기택}}}]] || [[남규희|{{{#000,#fff 남규희}}}]] || [[최다혜|{{{#000,#fff 최다혜}}}]] || {{{#000,#fff 유연수}}} || || [[문지효|{{{#000,#fff 문지효}}}]] || [[장덕수(배우)|{{{#000,#fff 장덕수}}}]] || [[김현진(배우)|{{{#000,#fff 김현진}}}]] || [[박유나|{{{#000,#fff 박유나}}}]] || ||<-4> ||}}}}}}}}} || === 프로듀서 === [include(틀:YG엔터테인먼트 소속 프로듀서)] ---- ##한국음악저작권협회의 권리자가 "(주)YG엔터테인먼트"로 표기되어있는 프로듀서만을 서술합니다. || {{{#000,#fff '''YG엔터테인먼트 소속 프로듀서''' }}} || * [[양현석]] {{{-2 (총괄 프로듀서)}}} * YG엔터테인먼트의 설립자이자 총괄 프로듀서이다. * [[FUTURE BOUNCE]] ([[DEE.P]] & [[최필강|P.K]]) {{{-2 (대표 프로듀서)}}} * [[DEE.P|DEE.P (박한범)]]과 [[최필강|PK (최필강)]]으로 이루어진 프로듀서 팀으로 2015년 [[iKON]]의 "[[WELCOME BACK(하프앨범)|WELCOME BACK]]" 앨범을 기점으로 팀을 형성하여 활동하고 있다. * [[CHOICE37]] {{{-2 (대표 프로듀서)}}} * [[로스앤젤레스]] 출신의 [[한국계 미국인]] [[래퍼]]이자 [[음악 프로듀서]]로 2008년 [[G-DRAGON]]의 "[[Heartbreaker(G-DRAGON)#Butterfly (Feat. Jin Jung)|Butterfly (Feat. Jin Jung)]]"을 프로듀싱하며 YG엔터테인먼트에 합류하였다. * Q {{{-2 (강규용)}}} * YG엔터테인먼트의 초창기 시절부터 함께 해오던 [[재미교포]] 출신의 프로듀서이다. * [[ROVIN]] {{{-2 (전정환)}}} * 현재 YG엔터테인먼트 내에서는 [[TREASURE]]의 프로듀싱을 맡고 있으며 '로스차일드엔터테인먼트'의 대표직을 맡고 있기도 하다. 또한 [[아이코닉스]]와의 계약을 체결하여 다양한 OST를 작업하고 있다. * [[BIGTONE]] * 주로 [[TREASURE]]와 [[젝스키스]]의 곡을 작업하고 있으며 [[K.A.R.D]]의 곡도 자주 작업하는 것으로 보인다. 프로듀서보다는 연습생들의 랩 레슨을 중점적으로 맡고있는 듯 하다.[* [[WIN: Who is Next?]]에서 그 당시 실력이 참담했던 [[이승훈(WINNER)|이승훈]]을 어떻게 가르쳐야될지 고뇌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후 2023년에는 [[BABYMONSTER]] 다큐멘터리에도 출연하였다.] * [[AiRPLAY]] * 2012년 [[SE7EN]] 의 'Make Good Love'를 통해 YG엔터테인먼트 프로듀서로서 데뷔하였다. 현재는 [[WINNER]]와 멤버 [[강승윤]], [[송민호]]의 곡을 주로 작업하고 있다. * iHwak {{{-2 (조성확)}}} * YG엔터테인먼트 내에서의 작업은 많이 존재하지 않으며, [[GOT7]] 등의 외부 아티스트와의 작업이 많다. YG엔터테인먼트 내에서는 [[iKON]]의 곡을 작업하였다. * 강욱진 {{{-2 (GRVVITY)}}} * 2010년 함승천과 함께 [[SE7EN]]의 'Roller Coaster'을 작업하며 YG엔터테인먼트 앨범에 첫 참여했다. YG엔터테인먼트 내에서 주로 [[WINNER]]와 [[TREASURE]]의 앨범에 참여하고 있다. * Diggy {{{-2 (TIME)}}} * 주로 강욱진과 함께 [[WINNER]]와 [[TREASURE]]의 곡을 작업한다. * [[MILLENNIUM]] {{{-2 (최래성)}}} * [[K팝 스타|K팝 스타 시즌1]]에 출연 이후 YG엔터테인먼트에 연습생 신분으로 입사하였으나 프로듀서로 전향하였다. 2017년 [[iKON]]의 "[[NEW KIDS : BEGIN#BLING BLING|BLING BLING]]"에 참여하며 데뷔하였고, 주로 [[B.I]]와 함께 [[iKON]]의 곡을 작업하였고, 현재는 [[AKMU]]와 [[이찬혁]]의 앨범에 주로 참여하고 있다. 현재 [[B.I]]와 함께 [[White Noise Club]]에 소속되어 있다. * GENERAL SOUND * 현재까지는 YG엔터테인먼트 내 작업물은 존재하지 않으며, [[싸이]]의 "[[싸다9#Happier (Feat. Crush)|Happier (Feat. Crush)]]"와 [[B.I]]의 "[[깊은 밤의 위로#내 걱정 (Blossom)|내 걱정 (Blossom)]]"에 참여하였다. * Illjun * [[송민호]]의 정규 3집 [["TO INFINITY."]]를 기점으로 YG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작업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작업물로는 [[송민호]]의 정규 3집 수록곡과 [[서울대작전]] OST, 그리고 [[WINNER]]의 "[[HOLIDAY(WINNER)|10분]]"이 있으며, 모두 송민호와 함께한 작업물이다. * WHERE THE NOISE a.k.a WOLF[* 트레저 Bona bona 참여] * TRNC[* 트레저 곡 참여] * MGNTK[* 트레저 BFF 참여][* 6인조로 추정된다] * 김승호 * 권명환 * 김경 * Jaguaa ---- || {{{#000,#fff '''YGX 소속 프로듀서''' }}} || * HAE, LIL G, Sonny, LP * [[YGX]] 소속 프로듀서들로 일명 '[[CHOICE37]] 팀'이다. 현재는 YG엔터테인먼트 내에서 주로 [[TREASURE]]의 곡에 참여하고 있다. 다만 실질적인 소속사는 YG엔터테인먼트로, [[YGX]]는 2020년 부서재정비를 기점으로 안무가 레이블로 전향하여 소속 댄서 외에 더이상 소속 아티스트와 프로듀서가 존재하지 않는다. ---- ##프로듀싱 능력이 있어 그룹의 앨범에 작곡이나 편곡으로 한 번이라도 참여한 적 있는 멤버를 서술합니다. 이때 그룹 내에서 프로듀서를 맡지만 계약이 종료된 멤버는 서술하지 않습니다. ##그룹의 앨범마다 전곡 혹은 과반수 이상의 곡에 작사/작곡에 참여하였으며, 항상 크레딧 첫 번째에 언급되어있는 멤버를 '메인 프로듀서'라고 칭합니다. ##작곡란에 이름이 올랐어도 실질적으로 그 곡을 프로듀싱하지 않았다면 프로듀서로 칭하지 않습니다. 이때 "실질적"이란 작곡 크레딧에 아티스트 이름이 첫 번째로 언급되는 경우를 뜻합니다. || {{{#000,#fff '''그룹 내 소속 프로듀서''' }}} || * [[WINNER]] * [[강승윤]] {{{-2 (메인 프로듀서)}}} * [[송민호]] * [[이승훈(WINNER)|이승훈]] * [[AKMU]] * [[이찬혁]] {{{-2 (메인 프로듀서)}}} * [[TREASURE]] * [[최현석(TREASURE)|최현석]] * [[아사히(TREASURE)|아사히]] * [[준규]] * [[요시(TREASURE)|요시]] * [[하루토(TREASURE)|하루토]] == [[/역대 소속 아티스트|역대 아티스트 목록]] == [include(틀:YG엔터테인먼트/역대 소속 아티스트)] == [[/논란 및 사건 사고|논란 및 사건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YG엔터테인먼트/논란 및 사건 사고)] == 기타 == * 총괄 프로듀서인 [[양현석]]의 취향인지 모르겠으나 가수 혹은 팀명에 숫자가 자주 들어간다.[* [[2NE1]], [[SE7EN]], [[원타임(그룹)|1TYM]] 등.] 또한 대문자를 아주 좋아하는지 아티스트명과 곡 제목을 표기할 때 거의 다 알파벳 대문자로 쓴다.[* [[BIGBANG]], [[2NE1]], [[WINNER]], [[TREASURE]], [[BABYMONSTER]] 등. [[iKON]]도 어찌보면 대문자지만 "i"를 꼭 소문자로 사용한다.] 이후 외부에서 영입된 [[싸이|PSY]], [[에픽하이|EPIK HIGH]], [[젝스키스|SECHSKIES]]도 역시 마찬가지. * 가수 외에도 많은 연기자들도 소속되어 있는 거대 엔터테인먼트 회사이다. 초기에는 연기 부분에서 철수하려 하였으나 오히려 투자를 더 많이 해서 지금의 영향력을 갖췄다. * [[코스닥]]상장일에 [[여의도]]의 [[한국거래소]](KRX)에서 [[산다라박]]과 [[유인나]]가 팬사인회를 열었다. 일반적으로 상장일날 한국거래소에 기자를 포함해 50명 정도가 참여하지만 이날은 200명이 넘는 인원이 참여했다고 한다. * 2013년, [[아시아나항공]]과 업무제휴협약를 체결하였다. [[http://www.ilyoseoul.co.kr/news/articleView.html?idxno=79147|#]] 이후 2023년, [[대한항공]]과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업무제휴협약을 체결하였다. 이로써 [[대한항공]]은 [[BLACKPINK]]의 월드투어 공식 후원 항공사가 되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101791|#]] * [[김병욱(PD)|김병욱]] 감독의 [[하이킥 시리즈]] 3부작이 모두 YG와 연관이 있다. [[거침없이 하이킥]]은 [[원타임]]의 [[송백경]]과 [[이은주(가수)|이은주]]가 속해 있던 [[무가당]]이 주제곡을 불렀고 [[지붕뚫고 하이킥]]은 YG 소속 연기자 [[유인나]]가 출연했다.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은 YG에서 데뷔를 준비하는 [[강승윤]]이 출연했다. 그리고 [[감자별 2013QR3]]는 한때 YG 연습생이었던 [[고경표]]와 [[무한도전]] [[자유로 가요제]] 특집 때 YG 구내식당에서 무단취식했던 [[장기하]]가 출연했다.[* [[장기하와 얼굴들]]과 [[하하(가수)|하하]]가 YG 구내식당에서 밥 먹고 간 방송분이 전파를 탄 후, 소속사 두루두루AMC에서 공식 페이스북에 "우리는 소속가수를 굶기지 않습니다"라고 올리기도 했다(...).] * [[LVMH]]가 YG엔터테인먼트에 827억 원을 투자했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8&aid=0003330292|관련기사]] * 미국에 동명의 래퍼 YG가 있는데 이 회사의 영향으로 네이버에서 YG를 검색하면 죄다 YG엔터테인먼트만 뜬다(...)[* 다만 구글 이미지 검색에서 YG를 검색하면 동명의 래퍼 사진이 먼저 나온다.] * 마스코트 캐릭터로는 '[[KRUNK]]'라는 파랑 곰돌이가 있는데 꽤나 귀엽다! 사람이 곰 인형탈을 쓰는데 와이지 직원이라고 한다.[* [[이하이]]의 뮤직비디오에 출연하면서 데뷔했다.] 크렁크 관련 굿즈도 많은 편이다. --아티스트들의 굿즈에도 많이 출현한다.-- * 2017년 5월 14일 유니세프와 함께하는 워킹페스티벌을 개최한다. 본래는 10주년 기념으로 2016년에 진행하려 했으나 태풍으로 인해 무산된 바 있다. 애프터 콘서트에는 [[지누션]], [[에픽하이]], [[이하이]], [[AKMU]], [[iKON]], [[BLACKPINK]]가 참여하였고 [[안영미]]가 MC로 나섰다. * 아티스트들의 음원 성적이 상당히 잘 나오는 편이다. 특히 보이그룹 음원 성적에 있어서는 3대 기획사 중에서도 독보적이다. 기본적으로 음원이 약한 타 남자 아이돌과는 달리 [[BIGBANG]], [[WINNER]], [[iKON]]의 대중성은 매우 높은 편이며 '''가온 및 멜론 연간 차트 1위곡을 배출한 그룹을 [[BIGBANG|두]] [[iKON|팀]]이나 보유하고 있었다.''' 심지어 [[G-DRAGON]], [[제니(BLACKPINK)|제니]], [[송민호]] 등 솔로 멤버로 나와도 음원차트 1위를 하는 위엄을 보여준다. 사실상 대한민국 기획사 중 음원성적 만큼은 최고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는 여러 풍파를 거치면서 전성기 때 차트에서 보였던 강세가 줄어들었다. 물론 현재도 [[BIGBANG]]과 [[BLACKPINK]], [[AKMU]]는 컴백 때마다 차트 1위는 당연히 달성하며, [[WINNER]]도 컴백 때마다 남자 아이돌로서는 어려운 멜론 차트의 상위권에 안착시키고 있다.[* 일반적인 보이그룹의 경우, 거대 팬덤의 스트리밍으로 차트 상위권에 진출하는 반면에 '''위너는 대중픽'''으로 달성하는 기록이다. 인터넷을 돌아다녀봐도 "다른 남자 아이돌 노래는 안 듣는데 위너 노래는 듣는다"는 말이 많이 있다.] 또한 최근 솔로로 나온 [[송민호]]와 [[이찬혁]]도 무난하게 멜론 Top 100 안에 드는 등 괜찮은 성적을 보유 중이다.[* 다만 전성기 시절, YG 아티스트가 나오기만 하면 차트 1위를 하던 모습에 비해 입지가 줄어들기는 했다.] * 하지만 어마어마한 대중성에 비해 소속 가수들의 팬덤이 부족하다는 평을 받는다. 특히 보이그룹에서 [[WINNER]]와 [[iKON]]이 그런 경향을 보였는데, 차트 1위를 달성한 것에 비해 앨범 판매량이 저조하게 나오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전적으로 YG에 책임이 있는데, 국내에서 데뷔하여 탑을 찍고 [[WINNER|바로 수납해버리거나]] [[iKON|일본 활동만 주구장창]]시켜 팬덤 형성을 어렵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WINNER]]는 "초동 14만장"을 달성하였으며,[* 위너는 국내에서 주로 활동하며 대중픽이 높기 때문에 앨범 판매량이 상대적으로 낮다.] 최근 데뷔한 [[TREASURE]]의 경우에도 '''초동 171만장'''을 넘기며 진전하고 있다. 또한 [[BLACKPINK]]의 경우 선주문량 200만장을 넘기며 걸그룹 선주문 최고 기록을 갱신하였으며, 1일차에 밀리언셀러를 달성하였고 5일차에 걸그룹 초동 1위를 달성하며 엄청난 팬덤의 힘을 보여주고 있다. 최총 '''"초동 판매량은 154만장"'''으로 [[역대 대한민국 가수 음반 초동 기록]]에서 8위를 달성하였다.[* 10위 권 내에 유일한 걸그룹이다.] * 2017년에 국내 최대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로부터 1000억원을 투자받았고, 이에 따라 네이버는 YG의 2대 주주가 되었다. 또 자회사인 [[YG플러스]]는 네이버의 음원 서비스인 [[네이버 VIBE]]의 운영 대행을 맡고 있다. * 2017년 8월 18일 '[[비트이보 YG]]'라는 리듬게임을 발매하였으며, 서비스 종료 이후 2020년 11월 5일 '[[SuperStar YG]]'라는 새로운 리듬게임이 출시되었다. * 2021년 1월에는 [[네이버]], [[HYBE]]와 함께 [[의정부시]]에 대규모 복합문화융합단지를 설립하기로 합의하였으며, 이 복합 문화 단지에는 YG와 하이브 소속 아티스트들의 전시관 및 테마파크, 공연장 등이 설립될 예정이다. * 2021년 2월 [[HYBE]]와 키스위의 합작 플랫폼 회사를 YG와 [[유니버설 뮤직 그룹]]이 공동으로 투자하기로 하였으며, 초대형 글로벌 플랫폼 스트리밍 서비스인 [[베뉴라이브]]라는 서비스로 운영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주식 시장에서는 한때 3대 기획사 중 시가총액이 1위였던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고전중이다. [[틀:대한민국의 4대 대형 기획사|4대 대형 기획사]]들 가운데 제일 저평가를 받는다. 실제로 2018년 이후로 경쟁사인 [[JYP엔터테인먼트|JYP]], [[SM엔터테인먼트|SM]], [[HYBE]][* 하이브에 경우 2020년에 와서야 증권시장에 상장을 했기 때문에 앞으로의 추이를 좀 더 지켜봐야 한다.]와 비교해 볼 때 주가 추이가 매우 나쁘다. 실제로 YG 주가는 2018년에 일어난 큰 사건사고 이후 계속 하락하는 추이이다.[* ~~2019년에는 무려 2만원을 찍었다...~~]. K-POP 팬들 사이에서도 제일 많은 비판을 받는 종목임을 면치 못하는 상황. 그러나 2022년을 기점으로 YG와 [[양현석]]을 둘러싼 여러 공방과 리스크가 정리되었으며[* 양현석은 무죄판결이 확정.], 곧 4세대 걸그룹이 데뷔할 것으로 보이기에 다시 재기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실제로 23년에 들어서며 다시 주가가 오르는 추이이다.[* 현재 무난하게 시총 1조를 다시 돌파하였다.] * 4대 기획사 중 아이돌의 세대 교체가 가장 안 이루어졌다. 물론 YG의 경우에도 다른 기획사들과 비슷한 시기에 4세대 보이그룹과 걸그룹을 데뷔시킬 예정이었으나 [[버닝썬 게이트|일련의 사건]]으로 인해 회사 내부가 혼란스러워지며 그 시기를 놓쳤다. 2022년 이후 페이스를 되찾아 다시 재기하고 있다. * 외국 국적의 아이돌 연습생들에게 한국어를 잘 가르치는 걸로 유명하다. 특히 [[TREASURE]]의 [[하루토(TREASURE)|하루토]]와 [[BABYMONSTER]]의 [[아사(BABYMONSTER)|아사]]의 경우가 대표적인데, 데뷔한지 얼마 안되었거나 연습생 신분의 일본 국적의 멤버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활동하는 다른 국적의 아이돌 멤버들보다 한국어를 정확한 발음으로 유창하게 하여 화제가 되었던 적이 있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YG가 회사 내에서 외국인 멤버들이 외국어를 사용하지 못하게 한다고 한다. 그러나 발음의 경우 본인들이 엄청 노력한 것으로 보인다.] * 위에 내용과 덧붙여서, 현재 YG의 4세대 그룹인 [[TREASURE]]와 [[BABYMONSTER]]에 래퍼 포지션이 각각 3명씩 있는데 그 중 2명씩이 일본 국적의 멤버들이다. 더 놀라운 점은 일본 국적의 멤버들의 한국어 발음이 정확하고 한국어로 작사도 한다는 점이다.[* 물론 그 전 3세대에서 [[BLACKPINK]]의 [[리사(BLACKPINK)|리사]]가 YG 외국인 래퍼의 원조이다.] * 런칭한 아이돌 그룹 리더는 메인래퍼나 프로듀서로 정하는 편이다. SM이 무조건 최연장자[* 보이그룹 한정 반 정도 깨진 전통이지만, 보이그룹 나머지 반+걸그룹 전체는 전부 최연장자가 리더를 맡는다(프로젝트 그룹 제외). 슈퍼주니어는 10일 차이로 생일이 빠른 이특이 리더를 맡은 걸로 유명하고, 이는 외국인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f(x)는 중국인 멤버인 빅토리아가 리더를 맡았다.], JYP가 연습생 기간을 기준으로[* JYP에서 데뷔한 원더걸스는 연습생 기간이 긴(6년) 선예를 중심으로 기획하여 자연스레 선예가 리더를 맡았고, 2am도 연습생 기간을 8년 거친 조권이, 트와이스도 10년을 연습생으로 보낸 지효가 리더를 맡은 걸로 유명하다. Stray kids도 7년차 연습생이었던 방찬이 중심이 되어, 그가 중심으로 결성한 팀을 데뷔시켜 리더가 되었다.][* 연습생 기간 외에는 최연장자와 한국인 멤버를 우선으로 리더로 하는 편. 모든 게 겹치는 경우도 있다. 최연장자, 한국인 멤버(한국계 포함) 순으로 기준을 두고 리더인 팀이 원더걸스, 2PM, GOT7, Stray kids, ITZY 등.] 하는 거에 비해 YG 특유의 음악적 스타일이 묻어나는 선정 기준이다. 다만 WINNER와 iKON의 데뷔 서바이벌이었던 WIN에서 양현석이 '나이가 많다고 리더를 시키지 않고, 중간 정도의 멤버 중 재능이 보이는 멤버로 정하는 편이다' 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 때문인지 TREASURE 전까지는 중간 정도 순서의 멤버가 리더인 것도 특징.[* 데뷔 시점 인원 수와 리더의 순서를 기준으로 BIGBANG - G-DRAGON : 5인조에서 3번째 / 2NE1 - CL : 4인조에서 3번째 / WINNER - 강승윤 : 5인조에서 4번째.[* 데뷔 서바이벌 WIN 당시 송민호가 리더를 맡았는데, 서바이벌 도중 발목 부상으로 인해 리더가 교체되어 현재까지 이어진다. 송민호는 데뷔 당시 5인조 팀에서 3번째.] / iKON - (구)B.I : 7인조에서 4번째. / TREASUER - 최현석, 지훈 : 12인조에서 1, 2번째. AKMU는 보컬 그룹이며 BLACKPINK는 공식 리더가 없다. WINNER 외의 그룹 리더는 다 래퍼 포지션이고, WINNER도 데뷔 전 메인래퍼인 송민호가 리더를 맡았던 걸 보면 런칭한 아이돌 그룹 전부 래퍼를 리더로 둘 예정이었다고 볼 수 있다.] 우연인지 해체 후 YG에서 재결합한 젝스키스도 리더인 은지원이 래퍼 포지션이다. * [[양현석]]에 따르면 [[2023년]] 말부터 [[2024년]] 초까지 일본 현지화 걸그룹 기획을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 [[2013년]]에 리뉴얼한 홈페이지를 10년 넘게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다른 4대 기획사들의 홈페이지보다 상당히 올드한 홈페이지를 보유하고 있다. [[분류:YG엔터테인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