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300px-Young_Miracleslogo_square.png|width=300]] || ||<-2> '''{{{+1 영 미라클스}}}''' || ||<-2> '''{{{#fff {{{+1 Young Miracles}}}}}}''' || || '''창단''' ||[[2016년]] [[1월 1일]]|| || '''소속 리그''' ||'''{{{#0055ba LDL}}}'''|| || '''설립자''' ||[[류머우|류머우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1d1412;font-size:.9em" {{{#fff PDD}}}}}}]]|| || '''코치''' ||장좡좡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1d1412;font-size:.9em" {{{#fff Zhuang}}}}}}|| || '''약칭''' ||'''{{{#fff {{{+1 YM}}}}}}'''|| ||<-2> [[https://weibo.cn/u/5708687738?jumpfrom=weibocom|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0]]]] || ||<-2> '''{{{#fff 우승 기록}}}''' || || '''__LDL__''' (2회, 최다) ||2019 스프링, 2021 스프링|| ||<-2> '''{{{#fff 로스터}}}''' || ||<-2>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width=25]] '''TOP''' || [[중국|[[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옌잔쥔[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d1412; font-size: 1.0em" {{{#fff Yjj}}}}}} ||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width=25]] '''JGL''' || [[중국|[[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푸이류[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d1412; font-size: 1.0em" {{{#fff Starfire}}}}}} ||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width=25]] '''MID''' || [[중국|[[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량잔[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d1412; font-size: 1.0em" {{{#fff xiaocaobao}}}}}} || [[중국|[[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류스판[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d1412; font-size: 1.0em" {{{#fff Xiaofan}}}}}}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width=25]] '''BOT''' || [[중국|[[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추궈빈[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d1412; font-size: 1.0em" {{{#fff Shaoye}}}}}} || ||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width=25]] '''SPT''' || [[중국|[[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덩궈처[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d1412; font-size: 1.0em" {{{#fff Yan}}}}}} || ||}}}}}}}}}}}} || ||<-2> '''{{{#fff 팀 컬러}}}''' || ||<-2>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2> {{{#fff '''팀 컬러'''}}} || ||<-2> {{{+5 {{{#1d1412 ■}}} {{{#c1000e ■}}} {{{#fff ■}}}}}} ||}}}}}}}}}}}} || [목차] [clearfix] == 소개 == [[중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팀 약자는 '''YM'''. == 상세 == 2016년 [[류머우]]가 Legend Dragon Academy의 시드권을 사서 LSPL에 창단한 팀이다. 창단하자마자 매 시즌마다 엄청난 활약을 하며 승강전에 계속 올라갔지만[* 창단 후 승강전 개근이다(...)] 계속해서 떨어지는 말 그대로 터줏대감이다. 전체적으로 중국에서 드물게 운영이 뛰어나지만 개개인의 역량 특히 메카닉적 측면에서 상당히 애매한, 그러니까 중국의 [[|MVP]]라고 부를 수 있는 팀이다.[* 다만 MVP와 달리 [[시썬밍|밍]], [[가오전닝|닝]], [[줘딩|나이트]], [[가오톈량|티안]]까지 LPL 최정상급 플레이어를 무려 4명이나 배출했다. ] 하지만 중국리그는 한타로 건곤일척 승부를 보는 리그이고, YM의 운영이 2017 스프링의 MVP처럼 약한 평균 개인기량을 뒤집고 리그의 특성마저 극복할 정도로 극에 달한 수준은 절대로 아니다. 그래서 정규시즌 특히 초중반에 거의 전승을 하다가 다른 2부 팀들의 짜임새가 잡혀가는 시즌 후반으로 가면 반드시 에이스 의존도 문제로 DTD를 해서 우승/직접승격에도 실패하고 1부리그 강등권 팀들과의 승강전도 한끝 차이로 지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 2018 시즌에는 하위권으로 떨어져 결승 진출에도 실패했지만, 2019 시즌에는 ~~승강전이 사라졌기에~~ 결승 5수만에 우승에 성공했다. == 수상 기록 == ||<-5> '''{{{#white 수상 기록 }}}''' || ||<-5> '''{{{#gold 리그 오브 레전드 }}}''' || ||<-5> 2016 LoL Secondary Pro League Spring 준우승[br]2016 LoL Secondary Pro League Summer 준우승[br]2017 LoL Secondary Pro League Spring 준우승[br]2017 LoL Secondary Pro League Summer 준우승 || || [[Saint Gaming|Hyper Youth Gaming]] || → || '''Young Miracles''' || → || 리그 폐지 || ||<-5> '''2019 LDL Spring 우승''' || || [[Thunder Talk Gaming|SinoDragon Gaming]] || → || '''Young Miracles''' || → || [[Invictus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Invictus Gaming Young]] || ||<-5> '''2021 LDL Spring 우승''' || || [[Invictus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Invictus Gaming Young]] || → || '''Young Miracles''' || → || [[Rare Atom/리그 오브 레전드|Rare Atom Period]] || == 리그 관련 == === 2016 LSPL Spring === 이 시즌부터 참가하게 되었다. 꿍, 워치를 영입한 [[ZTR Gaming]], [[Newbee Young]] 등 강한 팀들이 여럿 있었으나 다 재치고 정규시즌 2위로 마무리, 그 뒤 결승에서 [[EDward Esports]]랑 붙었지만 3대2로 패하면서 아쉽게 자동 승격에 실패하게 된다. 그 뒤 승강전에서는 [[Hyper Youth Gaming]]한테 패하면서 승격에 실패한다. === 2016 LSPL Summer === [[Newbee Young]]이랑 승점이 똑같아서 티어브레이크를 통해 정규 시즌 2위. 그 뒤 플레이오프 때는 [[Newbee Young]]에게 또 패배. 또 자동 승격을 놓쳤다. 승강전에서는 [[OMG(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OMG]]에게 패배. 또 잔류했다. ~~3대2 패배 장인~~ === 2017 LSPL Spring === 두 번 연속 3대2 패배를 당해서인지, 이번엔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정규시즌 1위에 올랐다. 그리고 결승전, 플레이오프로 올라온 [[Suning Gaming]]에게 3대0으로 완패를 당했다(...) 그리고 또 다시 승강전, LGD한테 3대0으로 완패를 당하며, 이번에도 똑같았다... === 2017 LSPL Summer === [[Vici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강등]][[Game Talents|동기]]의 2강과 Legend Dragon의 의문의 부활로 4위에 랭킹되어있다. 그리고 플레이오프에서는 Legend Dragon을 꺾으면서 또다시 결승전에 진출했다. 그리고 또 결승전에서 패배했다.(...) 상대는 [[Vici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Vici Gaming]]이었고, 1:3으로 패배를 당했다. === 2018 LDL Spring === Clowz가 팀을 나가고 바이퍼가 다시 미드로 돌아왔다. 현재까지 성적은 하위권이다. 클로우즈랑 나이트가 나가고 비보이도 서브로 돌려서 순혈체제 로스터를 이루고 있지만 바이퍼랑 밀크를 제외한 탑 봇이 쌩신인이다 보니... ~~물론 지금 YM은 밀크랑 바이퍼도 안 쓰고 있다~~ === 2018 LDL Summer === === 2019 LDL Spring === === 2019 LDL Summer === 시즌 후 데마시아 컵 로스터에는 기존 주전 멤버가 아예 사라졌는데, 루머에 따르면 이스타 게이밍 때문에 멤버들을 다 빼가서 희생된 거라고 한다. === 2023 LDL Spring === 2023년 2월 1일, 팀 소유주인 PDD, 코치 Zhuang 및 선수 전원이 팀을 이탈했으며 LDL도 불참했다. [[https://lol.fandom.com/wiki/Young_Miracles|리그피디아]]에서는 해체된 것으로 확인됐지만 팀 차원의 공식 발표는 없는 상태이다. == 멤버 == == 전 멤버 == === Clowz(클로우즈, 문준석) === [[파일:2017 Clowz Summer1.png]] === Medusa(메두사, 펭준다) === [[파일:2017 Medusa Summer1.png]] === Bvoy(비보이, [[주영훈(프로게이머)|주영훈]]) === [[파일:2018 Bvoy Spring1.png]] 문서 참조 === XIAO(샤오, 유샤오) === [[파일:2018 Xiao Spring1.png]] === Viper(바이퍼, 헤하오) === [[파일:2018 Viper Spring1.png]] 과거 미드에서 서포터로 포변했다. 그리고 나이트가 SNG로 이적하면서 다시 미드로 돌아왔다. === Milk(밀크, 쟝퀸) === [[파일:2018 Milk Spring1.png]] === [[위안청웨이|Cryin(크라인, 유안쳉웨이)]] === [[파일:2018 Cryin Spring1.png]] === Kane(케인, 첸하오) === [[파일:2018 Kane Spring1.png]] === yizhiyu(이즈위, 천쩌펑) === [[파일:YM yizhiyu 2019 Spring1.png]] === xiaolongbao(샤오룽바오, 리샤오룽) === [[파일:YM xiaolongbao 2019 Split 2.png]] 2019년 12월 15일 Young Miracles을 떠나 [[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Royal Never Give Up]]으로 이적했다. [[https://www.weibo.com/5498972025/IkTzHBqKb|#]] === CJJ(씨제이제이, 천자쥔) === [[파일:YM CJJ 2019 Split 2.png]] === [[옌양웨이|WEI(웨이, 옌양웨이)]] === [[파일:YM WEI 2019 Split 2.png]] === rat(래트, 펑차오위) === [[파일:YM rat 2019 Split 2.png]] === ALU(아루, 왕즈이) === [[파일:YM ALU 2019 Split 2.png]] === fishhunter(피쉬헌터, 인상우) === [[파일:YM fishhunter 2019 Split 2.png]] === Zhuang(좡, 장좡좡) === [[파일:YM Zhuang 2019 Split 2.png]] === Mantouz(맨투즈, 카이웨이롱) === [[파일:TESC mantouz 2019 Split 2.png]] === Puzzle(퍼즐, 리유안시) === [[파일:YM Puzzle 2019 Split 2.png]] === Jzr(장정룽, 장정룽) === [[파일:OMD Jzr 2019 Split 2.png]] === MaRco(마르코, 루룽화) === [[파일:YM MaRco 2019 Split 2.png]] === ke(커, 장커) === [[파일:LNGA keke 2019 Split 2.png]] == 기타 == 각주 안에도 적혀있지만 LPL 최정상급 플레이어들을 다량 배출한 팀이다. 우지의 파트너이자 한때 중체폿이었던 밍, 샤오후 이후 최고의 순혈 중국미드라고 불리우는 나이트, 2018 롤드컵 MVP 닝, 2019 롤드컵 MVP 티안까지 모두 이 팀 출신. 그 외에도 2020 LPL 스프링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Estar Gaming의 주전 WEI와 CRYIN 도 YM 출신이다. 주전은 아니지만 rat, ALU, CJJ도 마찬가지. 추가적으로 XLB로 개명한 샤오룽바오 또한 RNG에서 중체정 후보로까지 언급 될 정도로 대활약하는 중이다. 이쯤되면 이 팀 출신 선수 중에서 잘 된 선수보다 잘 되지 못한 선수를 찾기가 더 힘들 정도. [[분류:리그 오브 레전드/e스포츠 팀/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