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7ea0c1 '''Zen Arcade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Albumism 선정 50대 LGBTQ 명반)]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80년대 최고의 앨범, 순위=68)]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223)]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레코딩 1000)] ---- [include(틀:VPRO 선정 299대 명반)] ---- ||<#fff> {{{#!wiki style="margin: -3px -10px" [[롤링 스톤|[[파일:롤링 스톤 로고.svg|width=100]]]]}}} || '''{{{#000,#fff [[롤링 스톤 선정 40대 펑크 록 명반|{{{#000,#fff 롤링 스톤 선정 40대 펑크 록 명반}}}]][br]{{{+5 13위}}}}}}''' || ---- ||<#fff> {{{#!wiki style="margin: -3px -10px" [[롤링 스톤|[[파일:롤링 스톤 로고.svg|width=100]]]]}}} || '''{{{#000,#fff [[롤링 스톤 선정 50대 콘셉트 앨범|{{{#000,#fff 롤링 스톤 선정 50대 콘셉트 앨범}}}]][br]{{{+5 27위}}}}}}''' || ---- [include(틀:WXPN 선정 2021대 명반,순위=587, 연도=2005, 순위2=454, 연도2=2022)] }}} || ||<-2><#000> '''{{{#7ea0c1 {{{+1 Zen Arcad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Zen Arcade.jpg|width=100%]]}}} || || '''발매일''' ||[[1984년]] 7월 || || '''녹음일''' ||[[1983년]] 10월 || || '''장르''' ||[[포스트 하드코어]], [[하드코어 펑크]] || || '''재생 시간''' ||69:00 || || '''곡 수''' ||23곡 || || '''프로듀서''' ||스팟, [[허스커 두]] || || '''스튜디오''' ||토탈 액세스 || || '''레이블''' ||SST 레코드 || [목차][clearfix] == 개요 == [[1984년]] 7월 발매된 [[허스커 두]]의 2번째 스튜디오 앨범. 85시간만에 완성된 앨범이라고 하며, [[더블 앨범]] 및 [[콘셉트 앨범]]에 속한다. 구체적인 가사로 드러나는 건 아니지만 대략적인 스토리는 '결손가정 출신의 청년이 컴퓨터 해커가 되고, 여자친구가 약물을 과다복용하는 사건을 접하는 등 방황 끝에 자살까지 고려하다가, 나중에는 컴퓨터 회사의 사장을 만나서 비디오 게임을 프로그래밍하는 일자리를 얻는다.'라 하며, 1980년대 미국 청춘들의 방황을 다루고 있다. == 평가 == [include(틀:롤링 스톤 앨범 가이드, 점수=★★★★★)] [include(틀:올뮤직, 링크=https://www.allmusic.com/album/zen-arcade-mw0000197795, 점수=★★★★★)] [include(틀:RYM, 링크=https://rateyourmusic.com/release/album/husker-du/zen-arcade/, 점수=3.89)]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링크=https://www.acclaimedmusic.net/album/A610.htm, 순위=1984년 5위 / 1980년대 32위 / 올타임 223위)] [[하드코어 펑크]] 장르에서 대안적인 방법론을 찾아내 [[포스트 하드코어]], [[컬리지 록]]과 [[얼터너티브 록]]의 이정표가 되었던 앨범으로, 음악잡지 [[스핀(잡지)|스핀]]은 "[[그린 데이]]는 허스커 두의 거칠지만 매력 있는 곡조를 빌려왔고, [[너바나(밴드)|너바나]]는 우울증적인 분노를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포맷을 발견했고,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은 그들의 피드백을 연구했다"라고 극찬했다. 참고로 1984년은 The Year Punk Broke라 불릴 정도로 미국 펑크 록 걸작들이 쏟아져 나온 시기인데, [[리플레이스먼츠]]의 [[Let It Be(리플레이스먼츠 음반)]], [[미니트맨(밴드)|미니트맨]]의 [[Double Nickels on the Dime]], [[블랙 플래그]]의 [[My War]]가 대표작으로 꼽힌다. == 트랙 리스트 == Side One * 1. Something I Learned Today * 2. Broken Home, Broken Heart * 3. Never Talking To You Again * 4. Chartered Trips * 5. Dreams Reoccurring * 6. Indecision Time * 7. Hare Krsna Side Two * 8. Beyond The Threshold * 9. Pride * 14. I'll Never Forget You * 15. The Biggest Lie * 16. What's Going On * 17. Masochism World * 18. Standing By The Sea Side Three * 19. Somewhere * 20. One Step At A Time * 21. Pink Turns To Blue * 22. Newest Industry * 23. Monday Will Never Be The Same * 24. Whatever * 25. The Tooth Fairy And The Princess Side Four * 26. Turn On The News * 27. Reoccurring Dreams == 참여자 == * 밥 몰드 - 일렉트릭 기타, 어쿠스틱 기타, 리드 보컬, 배킹 보컬, 퍼켜션, 피아노 * 그렉 노턴 - 베이스, 배킹 보컬 * 그랜트 하트 - 드럼, 리드 보컬, 배킹 보컬, 퍼켜션, 피아노 [[분류:1984년 음반]][[분류:포스트 하드코어]][[분류:하드코어 펑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