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리뷰 사이트]][[분류:공유 사이트]] ||<-2><#DDD><:> {{{+1 '''AlternativeTo'''}}}|| ||<-2> [[파일:AlternativeTo로고.svg]] || || '''종류''' ||리뷰 및 정보 공유 사이트 || || '''국가''' ||스웨덴 || || '''언어''' ||영어 || || '''회원가입''' ||선택 || || '''소유''' ||27 Kilobyte AB || || '''개설''' ||2009년 || || '''바로가기''' ||[[https://alternativeto.net/|alternativeto.net]]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웨덴의 Ola Johansson, Markus Olausson 두 사람이 제작한 대체제품 리뷰 및 공유사이트이다. == 서비스 == 소프트웨어가 주축으로 웹사이트 등을 추가로 다루며 크라우드 소싱(Crowd Sourcing)을 표방하여 회원들의 참여로 리뷰 및 추천 리스트가 관리된다. 이런 특성상 용도가 비슷한 프로그램인데 정작 사용자 층이 겸치지 않아 대체제품 추천에 오르지 못할 경우를 위한 대책인지 Feature 태그를 통해 용도별로 검색 또한 가능하다. 그밖에도 무료,프리미엄(FreeMium),유료와 같은 라이선스 정보나 오픈 소스 여부, 사용가능한 플랫폼등을 태그로 제공한다. alternativeTo항목의 예시를 들면 Free • Proprietary, App Discovery, Online 등의 태그가 존재한다. 특히 사람마다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주 용도가 갈릴 수 있는 경우에는 태그를 보면서 이걸 어느용도에 대체할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좋다. [[MMORPG]] 대체품을 검색했는데 싱글플레이 게임이 튀어나온다던가 하는 경우가 있다. 각 항목마다 이게 어디에 쓰는 물건인지를 다루는 Info탬과 이 사이트를 사용하는 주 목적인 Alternative탭이 존재한다. == 여담 == alternativeTo에서 alternativeTo를 [[인셉션|검색해보면]] 프리즘 폭로 사건 이후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사이버 망명]]용도로 해당 사이트를 사용한 사람이 많은 모양이다. 영어로 운영되는 사이트긴 하지만 한국산 소프트웨어 역시 간간히 정보가 있다. 예시로 [[알집|ALZip]]의 경우 사이트 제작자인 Ola Johansson가 초기인 2009년에 직접 항목을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