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beatmania IIDX 24 SINOBUZ)] [include(틀:IIDX 단위인정)] * '''[[beatmania IIDX 23 copula|전작]]과 구성이 동일한 단위''' * 싱글 플레이 : 6급, 5급, 4급, 3급, 초단, 2단, 3단, 4단, 개전 * 더블 플레이 : 7급, 6급, 5급, 4급, 2급, 1급, 초단, 2단, 4단, 6단, 개전 [목차] == 싱글 플레이 == === 급 === ==== 7급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中華急行]]||{{{#blue 2}}}||{{{#blue 164}}}|| ||'''2'''||[[Eternal Tears]]||{{{#blue 2}}}||{{{#blue 222}}}|| ||'''3'''||[[Claiomh Solais]]||{{{#blue 2}}}||{{{#blue 173}}}|| ||'''4'''||[[CALL]]||{{{#blue 2}}}||{{{#blue 185}}}|| Liquid Crystal Girl이 빠지고 2,3스테이지가 1,2스테이지로 이동했으며, Claiomh Solais가 3스테이지로 들어왔다. ==== 6급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I'm so Happy]]||{{{#blue 3}}}||{{{#blue 211}}}|| ||'''2'''||[[かずあそび]]||{{{#blue 3}}}||{{{#blue 265}}}|| ||'''3'''||[[diagram]]||{{{#blue 3}}}||{{{#blue 318}}}|| ||'''4'''||[[Element of SPADA]]||{{{#blue 3}}}||{{{#blue 355}}}|| ==== 5급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突撃!ガラスのニーソ姫!]]||{{{#blue 4}}}||{{{#blue 329}}}|| ||'''2'''||[[NoN-Fiction Story!]]||{{{#blue 4}}}||{{{#blue 360}}}|| ||'''3'''||[[avant-guerre]]||{{{#blue 4}}}||{{{#blue 390}}}|| ||'''4'''||[[バビロニア]]||{{{#blue 4}}}||{{{#blue 422}}}|| ==== 4급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Fly you to the star]]||{{{#blue 4}}}||{{{#blue 393}}}|| ||'''2'''||[[サヨナラ・ヘヴン]]||{{{#blue 4}}}||{{{#blue 476}}}|| ||'''3'''||[[ƒƒƒƒƒ]]||{{{#blue 4}}}||{{{#blue 431}}}|| ||'''4'''||[[She is my wife]]||{{{#blue 5}}}||{{{#blue 358}}}|| She is my wife의 초반부 이후 갑자기 BPM이 올라가니 당황하지 않도록 미리 속도를 낮춰놓거나 노트가 나오지 않는 동안 재빨리 속도를 낮춰야 한다. 미리 스탠다드에서 한번 플레이하고 도전하는 것이 좋다. ==== 3급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405nm(Ryu☆mix)]]||{{{#blue 5}}}||{{{#blue 467}}}|| ||'''2'''||[[alla turca con passione]]||{{{#blue 5}}}||{{{#blue 409}}}|| ||'''3'''||[[SigSig]]||{{{#blue 5}}}||{{{#blue 548}}}|| ||'''4'''||[[REINCARNATION]]||{{{#orange 5}}}||{{{#orange 525}}}|| ==== 2급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sync(dj TAKA와 TaQ)|sync]]||{{{#blue 6}}}||{{{#blue 549}}}|| ||'''2'''||[[satfinal]]||{{{#blue 5}}}||{{{#blue 548}}}|| ||'''3'''||[[sakura storm]]||{{{#blue 5}}}||{{{#blue 529}}}|| ||'''4'''||[[ライオン好き]]||{{{#orange 5}}}||{{{#orange 600}}}|| 합체하라! 스트롱 예거!! Remix가 sakura storm으로 바뀌었다. ==== 1급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Red. by Full Metal Jacket]]||{{{#blue 6}}}||{{{#blue 517}}}|| ||'''2'''||[[BREATH]]||{{{#blue 6}}}||{{{#blue 469}}}|| ||'''3'''||[[MENDES]]||{{{#blue 6}}}||{{{#blue 573}}}|| ||'''4'''||[[With your Smile]]||{{{#orange 6}}}||{{{#orange 597}}}|| 전작까지 있었던 quasar가 사라지고 그 자리를 Red. by Full Metal Jacket이 채웠다. 그리고 BREATH는 2스테이지로 밀려났다. === 단 === ==== 초단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Blind Justice 〜Torn souls, Hurt Faiths〜]]||{{{#blue 6}}}||{{{#blue 679}}}|| ||'''2'''||[[Funny Shuffle]]||{{{#orange 6}}}||{{{#orange 590}}}|| ||'''3'''||[[GOLD RUSH]]||{{{#blue 7}}}||{{{#blue 608}}}|| ||'''4'''||[[I Was The One]] (80's EUROBEAT STYLE)||{{{#orange 6}}}||{{{#orange 685}}}|| ==== 2단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Monkey Dance]]||{{{#orange 7}}}||{{{#orange 690}}}|| ||'''2'''||[[Zenius -I- vanisher]]||{{{#orange 7}}}||{{{#orange 790}}}|| ||'''3'''||[[Drive Me Crazy]]||{{{#orange 7}}}||{{{#orange 704}}}|| ||'''4'''||[[Abyss]]||{{{#orange 7}}}||{{{#orange 817}}}|| ==== 3단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かげぬい ~Ver.BENIBOTAN~]]||{{{#orange 7}}}||{{{#orange 718}}}|| ||'''2'''||[[Presto]]||{{{#orange 8}}}||{{{#orange 498}}}|| ||'''3'''||[[BRIDAL FESTIVAL !!!]]||{{{#orange 7}}}||{{{#orange 764}}}|| ||'''4'''||[[CaptivAte 〜裁き〜]]||{{{#orange 8}}}||{{{#orange 663}}}|| ==== 4단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era|era(nostalmix)]]||{{{#orange 8}}}||{{{#orange 555}}}|| ||'''2'''||[[虹色]]||{{{#orange 8}}}||{{{#orange 792}}}|| ||'''3'''||[[TA・DA☆YO・SHI]]||{{{#orange 8}}}||{{{#orange 849}}}|| ||'''4'''||[[R5]]||{{{#orange 8}}}||{{{#orange 588}}}|| ==== 5단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Follow Tomorrow]]||{{{#orange 8}}}||{{{#orange 754}}}|| ||'''2'''||[[Mermaid girl]]||{{{#orange 8}}}||{{{#orange 856}}}|| ||'''3'''||[[MIRACLE MEETS]]||{{{#orange 9}}}||{{{#orange 807}}}|| ||'''4'''||[[NEW GENERATION -もう、お前しか見えない-|NEW GENERATION[br]-もう、お前しか見えない-]]||{{{#orange 9}}}||{{{#orange 1011}}}|| SIRIUS부터 개근하던 [[smooooch・∀・]]가 빠지고 [[Follow Tomorrow]]가 들어갔다. ==== 6단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New Decade#s-3|New Decade IIDX Edition]]||{{{#orange 9}}}||{{{#orange 1001}}}|| ||'''2'''||[[黒髪乱れし修羅となりて]]||{{{#orange 9}}}||{{{#orange 1077}}}|| ||'''3'''||[[Rise'n Beauty]]||{{{#orange 9}}}||{{{#orange 841}}}|| ||'''4'''||[[bloomin' feeling]]||{{{#orange 9}}}||{{{#orange 980}}}|| 1스테이지에는 전작의 [[Apocalypse 〜dirge of swans〜]] 대신 New Decade가 수록됐고, 이전 6단에서 bloomin' feeling을 뛰어넘는 난이도를 보여준 [[naughty girl@Queen's Palace]] 대신 SIRIUS ~ Lincle 시절의 Rise'n Beauty가 들어오면서 copula 6단에 비해서 난이도가 상당히 낮아졌다. 그 외로 [[黒髪乱れし修羅となりて]]는 5번 연속으로 6단에 수록되었다. ==== 7단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SHADE]]||{{{#orange 9}}}||{{{#orange 1048}}}|| ||'''2'''||[[Twelfth Style]]||{{{#red 10}}}||{{{#red 1033}}}|| ||'''3'''||[[ƒƒƒƒƒ]]||{{{#orange 10}}}||{{{#orange 1109}}}|| ||'''4'''||[[THE SAFARI]]||{{{#orange 10}}}||{{{#orange 900}}}|| [[http://blog.naver.com/onlyliv/120188986508|사파리 공략 영상]] 1스테에 [[BRAINSTORM]], 3스테의 [[Übertreffen]]이 잘려나가고 각각 [[SHADE]], [[ƒƒƒƒƒ]]가 1,3스테에 등장하였다. 이리하여 한 작품만에 7단에 다시 9레벨곡이 들어가게 되었다. [[PENDUAL]] 7단에서 보여줬던 계단 중심의 선곡과 대비되게, 이번 작에서는 4스테이지가 모두 트릴 중심 패턴으로 배정되었다. 특히 3스테이지에는 트릴 한 번 잘못 말리면 훅 갈 수 있는 ƒƒƒƒƒ가 배정된고로, 트릴 처리 능력을 키우고 도전하는 것이 좋다. ==== 8단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Make Me Your Own]]||{{{#red 10}}}||{{{#red 1086}}}|| ||'''2'''||[[Quickening]]||{{{#red 10}}}||{{{#red 1062}}}|| ||'''3'''||[[POINT ZERO]]||{{{#red 10}}}||{{{#red 1068}}}|| ||'''4'''||[[gigadelic]]||{{{#orange 12}}}||{{{#orange 1116}}}|| [[코퓰라|전작]]과 마찬가지로 [[gigadelic]]을 제외한 모든 곡이 잘려나갔다. 1스테이지인 [[Make Me Your Own]]부터 주기적으로 나오는 트릴, 연타와 스크연사가 상당히 까다로운 편. 스크래치 곡에 약하면 고비가 될 수 있다. 2스테이지인 Quickening의 경우 규칙적인 난타에 갑자기 튀어나오는 고밀도 폭타로 여차하면 손이 꼬여 말릴 수 있으니 주의. 특히 중살구간은 제일 주의해야할 구간이다. 3스테이지인 [[POINT ZERO]]는 중간의 16비트 대계단을 기점으로 난이도가 확 올라가며 동시치기+스크견제 위주의 긴 후살을 갖는다. 2스테를 잘 버티더라도 이 구간에서 게이지가 바닥날 수 있으니 주의하여야 한다. 앞의 세 스테이지 중에서 무엇이 가장 어려운 지는 개인차가 갈리는 편. 전작인 [[copula]] 8단과의 난이도 비교는 말이 많으나 약간 더 쉬워졌다는 평이 많다. 1스테는 확실히 어려워졌지만 2,3스테의 경우 전작에선 [[end of world|지속적인 난타]]와 [[rottel-da-sun|스크복합]]때문에 플레이 내내 게이지 유지가 까다로웠다면 이번의 경우 몇몇 압살 구간만 버티면 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9단 ==== [youtube(r23X4Nopk4E)]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rainbow guitar weeps]]||{{{#red 11}}}||{{{#red 1406}}}|| ||'''2'''||[[Kailua]] '''{{{#FD067C (HCN Ver.)}}}'''||{{{#red 11}}}||{{{#red 1125}}}|| ||'''3'''||[[旅人リラン]]||{{{#red 11}}}||{{{#red 1345}}}|| ||'''4'''||[[The Sampling Paradise]]||{{{#red 12}}}||{{{#red 1545}}}|| 단위인정에 레겐다리아 폴더 전용 보면이 들어간 최초의 사례가 되었다. 전작에 [[Acid Pumper]]에 이어 헬차지 노트의 처리력을 시험하는 2스테이지가 개인차가 심하고, 3스테이지 또한 11레벨 상위권급으로 지력면에서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스크 견제가 전작에 비해 상당히 완화되었기 때문에 사람에 따라서는 전작에 비해 쉽거나, 어렵다고 느끼는 것이 확연히 갈리는 것이 특징. 그러나 4스테를 연속으로 달려야 하는 단위게의 특성상 체력적인 면에서는 훨씬 수월한 경향이 있다. ==== 10단 ==== [youtube(eQfdgLr1APU)]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GAIA(BEMANI 시리즈)|GAIA]]||{{{#red 12}}}||{{{#red 1676}}}|| ||'''2'''||[[Gravigazer]]||{{{#red 12}}}||{{{#red 1533}}}|| ||'''3'''||[[Colorful Cookie]]||{{{#red 12}}}||{{{#red 1773}}}|| ||'''4'''||[[reunion]]||{{{#red 12}}}||{{{#red 1677}}}|| 트리코로, 스파다 때처럼 컬쿠와 리유니온이 붙어서 나온다. [[invoker]], [[Proof of the existence]]가 빠지고 [[GAIA(BEMANI 시리즈)|GAIA]], [[Gravigazer]]가 들어갔다. invoker가 10단에 수록되기에는 모자란 난이도였지만 역시 컬쿠, 리유니온에서 승부가 갈리는지라 큰 차이 없다는 평이 많다. 그러나 컬쿠 후살이 끝나자마자 리유니온 초살에 들어간다는 점에서는 다소 어려워 질 수 있다. === 전 === ==== 중전 ==== [youtube(z8e42wBOw9M)]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ピアノ協奏曲第1番 "蠍火"]]||{{{#red 12}}}||{{{#red 1414}}}|| ||'''2'''||[[Reflux]]||{{{#red 12}}}||{{{#red 1574}}}|| ||'''3'''||[[JOMANDA]]||{{{#red 12}}}||{{{#red 1918}}}|| ||'''4'''||[[MENDES]]||{{{#red 12}}}||{{{#red 1831}}}|| 물중전이라는 평가를 받았던 전작 copula에 비해 전체적으로 난이도가 올라갔다. BITTER CHOCOLATE STRIKER(비공식 난이도 B)의 자리를 헐화(비공식 난이도 A)가 대체했고, 헬차지노트로 인해 개인차가 두드러졌던 DIAMOND CROSSING이 빠지고 JOMANDA가 MENDES의 앞자리에 투입되었다. 보스곡 MENDES에 들고갈 수 있는 게이지 잔량은 Reflux와 JOMANDA 모두 개인차가 있는 곡이므로 단정하기 어려우나 평균적으로 전작보다 줄어들었고, 이번엔 3스테이지가 아닌 마지막 스테이지라 체력적으로 더 부담이 된다. 특히 JOMANDA는 10단 ~ 중전에서는 이례적인 [[변속]]곡이므로 변속에 약하다면 주의를 요한다. 구 수록곡 중 변속곡은 A, moon_child, 헐화, 큰개의 왈츠 뿐이었고 A를 제외하면 변속이 클리어에 지장을 준다고 할 만한 곡은 없었다. 한편 헐화 어나더는 개전 및 10단에 수록된 전적이 있는데 이번에 중전에 수록되어 가장 많은 종류의 단위에 수록된 보면이 되었다. (버그로 인해 8단에 수록된 적이 있는 No.13(A)과 moon_child(A)는 제외한다.) ==== 개전 ==== [youtube(837nWRu4YrM)]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perditus†paradisus]]||{{{#red 12}}}||{{{#red 2065}}}|| ||'''2'''||[[灼熱Beach Side Bunny]]||{{{#red 12}}}||{{{#red 1719}}}|| ||'''3'''||[[卑弥呼]]||{{{#red 12}}}||{{{#red 2119}}}|| ||'''4'''||[[冥(BEMANI 시리즈)|冥]]||{{{#red 12}}}||{{{#red 2000}}}|| 전작과 구성이 동일하다. 싱글 개전의 구성이 전작과 같은 경우는 SPADA→PENDUAL에 이어 두 번째이다. == 더블 플레이 == === 급 === ==== 7급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Tangerine Stream]]||{{{#blue 1}}}||{{{#blue 151}}}|| ||'''2'''||[[I Was The One]]||{{{#blue 1}}}||{{{#blue 205}}}|| ||'''3'''||[[白露の風]]||{{{#blue 2}}}||{{{#blue 223}}}|| ||'''4'''||[[earth scape]]||{{{#blue 2}}}||{{{#blue 230}}}|| ==== 6급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KEEP ON MOVIN']]||{{{#blue 2}}}||{{{#blue 119}}}|| ||'''2'''||[[Liquid Crystal Girl feat. echo]]||{{{#blue 2}}}||{{{#blue 229}}}|| ||'''3'''||[[connective]]||{{{#blue 2}}}||{{{#blue 206}}}|| ||'''4'''||[[Eternal Tears]]||{{{#blue 2}}}||{{{#blue 266}}}|| ==== 5급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CALL]]||{{{#blue 2}}}||{{{#blue 271}}}|| ||'''2'''||[[Claiomh Solais]]||{{{#blue 2}}}||{{{#blue 265}}}|| ||'''3'''||[[走馬灯 -The Last Song-]]||{{{#blue 3}}}||{{{#blue 258}}}|| ||'''4'''||[[†渚の小悪魔ラヴリィ~レイディオ†]](IIDX EDIT)||{{{#blue 3}}}||{{{#blue 278}}}|| ==== 4급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Dr.LOVE]]||{{{#blue 3}}}||{{{#blue 259}}}|| ||'''2'''||[[LUV CAN SAVE U]]||{{{#blue 3}}}||{{{#blue 300}}}|| ||'''3'''||[[8bit Princess]]||{{{#blue 3}}}||{{{#blue 343}}}|| ||'''4'''||[[airflow]]||{{{#blue 3}}}||{{{#blue 293}}}|| ==== 3급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Stay my side]]||{{{#blue 4}}}||{{{#blue 301}}}|| ||'''2'''||[[Damage Per Second]]||{{{#blue 4}}}||{{{#blue 415}}}|| ||'''3'''||[[Almace]]||{{{#blue 4}}}||{{{#blue 431}}}|| ||'''4'''||[[World Wide Love]]||{{{#blue 4}}}||{{{#blue 454}}}|| 전작에 수록되었던 라이센스곡 [[Don't Stop The Music]]이 본작에서 '''삭제'''되면서 그 자리에 Damage Per Second가 대신 들어갔다. ==== 2급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Drive Me Crazy]]||{{{#blue 4}}}||{{{#blue 360}}}|| ||'''2'''||[[YELLOW FROG from Steel Chronicle]]||{{{#blue 4}}}||{{{#blue 367}}}|| ||'''3'''||[[Really Love]]||{{{#blue 4}}}||{{{#blue 333}}}|| ||'''4'''||[[D.A.N.C.E.!]]||{{{#orange 5}}}||{{{#orange 425}}}|| ==== 1급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I'm Screaming LOVE]]||{{{#blue 5}}}||{{{#blue 456}}}|| ||'''2'''||[[Everlasting Resort]]||{{{#blue 5}}}||{{{#blue 472}}}|| ||'''3'''||[[Re:GENERATION]]||{{{#blue 5}}}||{{{#blue 481}}}|| ||'''4'''||[[Voltage]] (feat. Hidemaru)||{{{#blue 5}}}||{{{#blue 480}}}|| === 단 === ==== 초단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Ascalon]]||{{{#blue 6}}}||{{{#blue 649}}}|| ||'''2'''||[[19,November]]||{{{#blue 5}}}||{{{#blue 589}}}|| ||'''3'''||[[鉄甲乙女 -under the steel-]]||{{{#blue 5}}}||{{{#blue 534}}}|| ||'''4'''||[[.59]]||{{{#orange 6}}}||{{{#orange 515}}}|| ==== 2단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Cheer Train]]||{{{#orange 6}}}||{{{#orange 623}}}|| ||'''2'''||[[花吹雪~IIDX LIMITED~]]||{{{#orange 7}}}||{{{#orange 615}}}|| ||'''3'''||[[Under the Sky]]||{{{#orange 7}}}||{{{#orange 670}}}|| ||'''4'''||[[DXY!]]||{{{#blue 6}}}||{{{#blue 781}}}|| ==== 3단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Regulus]]||{{{#blue 6}}}||{{{#blue 545}}}|| ||'''2'''||[[Wonder Girl feat. Kanae Asaba]]||{{{#orange 7}}}||{{{#orange 673}}}|| ||'''3'''||[[虹色]]|||{{{#orange 7}}}||{{{#orange 793}}}|| ||'''4'''||[[Abyss]]||{{{#blue 7}}}||{{{#blue 771}}}|| 전작에서 3단에 부활했던 Last Burning이 Wonder Girl로 바뀌었다. ==== 4단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Blue Rain]]||{{{#orange 7}}}||{{{#orange 803}}}|| ||'''2'''||[[KAMIKAZE(BEMANI 시리즈)|KAMIKAZE]]||{{{#orange 7}}}||{{{#orange 745}}}|| ||'''3'''||[[Kick Out 仮面]]||{{{#orange 7}}}||{{{#orange 842}}}|| ||'''4'''||[[BRIDAL FESTIVAL !!!]]||{{{#orange 8}}}||{{{#orange 820}}}|| ==== 5단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シュッパツシンコウ・シサカンコ]]||{{{#orange 8}}}||{{{#orange 878}}}|| ||'''2'''||[[Zenius -I- vanisher]]||{{{#orange 8}}}||{{{#orange 776}}}|| ||'''3'''||[[B4U]]||{{{#orange 8}}}||{{{#orange 815}}}|| ||'''4'''||[[EURO-ROMANCE]]||{{{#orange 8}}}||{{{#orange 893}}}|| 1스테이지에 있던 ALBA가 출발진행ㆍ지차환호로 바뀌었다. ==== 6단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サヨナラ・ヘヴン]]||{{{#red 8}}}||{{{#red 957}}}|| ||'''2'''||[[R5]]||{{{#orange 8}}}||{{{#orange 599}}}|| ||'''3'''||[[KAMAITACHI]]||{{{#blue 8}}}||{{{#blue 1005}}}|| ||'''4'''||[[CELEBRATE NITE]]||{{{#red 8}}}||{{{#red 731}}}|| ==== 7단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bag]]||{{{#orange 9}}}||{{{#orange 912}}}|| ||'''2'''||[[Wanna Party?]]||{{{#red 9}}}||{{{#red 910}}}|| ||'''3'''||[[Summer Vacation (CU mix)]]||{{{#blue 9}}}||{{{#blue 984}}}|| ||'''4'''||[[satellite020712 from "CODED ARMS"]]||{{{#orange 10}}}||{{{#orange 1199}}}|| 전작의 [[MENTAL MELTDOWN]]의 자리에 bag이 들어갔다. 여기까지는 코스가 전작과 같거나 한 곡 바뀐 정도다. ==== 8단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突撃!ガラスのニーソ姫!]]||{{{#red 10}}}||{{{#red 1144}}}|| ||'''2'''||[[Digitank System]]||{{{#red 10}}}||{{{#red 1175}}}|| ||'''3'''||[[Radical Faith]]||{{{#red 10}}}||{{{#red 1101}}}|| ||'''4'''||[[THE LAST STRIKER]]||{{{#red 10}}}||{{{#red 1342}}}|| 1,4스테이지는 그대로 유지하고 2,3스테이지를 곡과 함께 방향성까지 반대로 바꾸어놓았다. 전작에는 무리스크와 적는 노트수로 압박했던 THE EARTH LIGHT를 2스테이지, 스크래치곡인 Snake stick을 3스테이지에 위치 시켰지만, 이번작에는 스크래치곡인 Digitank System을 2스테이지로 무리스크 패턴인 Radical Faith를 3스테이지에 배치했다. 스크래치곡인 2스테이지는 스크래치 처리력에 따라 개인차가 있지만 문제는 3스테이지. Radical Faith의 패턴이 쉬지않고 난타가 떨어지며 잦은 스크래치 견제 및 무리스크래치로 게이지 유지를 어렵게 만든다. 덕분에 안그래도 어려운 THE LAST STRIKER에 많은 게이지를 들고 가기 힘들어졌다. 새롭게 선정된 Radical Faith와 잘린 THE EARTH LIGHT는 모두 [[beatmania IIDX/난이도 체계|난이도 역전 현상]]을 보인 채보라는 공통점이 있다. ==== 9단 ==== [youtube(YBdRdltYlt0)]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デッドボヲルdeホームラン]]||{{{#red 11}}}||{{{#red 1447}}}|| ||'''2'''||[[とろぴかる倶楽部]]||{{{#red 11}}}||{{{#red 1149}}}|| ||'''3'''||[[ALBA -黎明-]]||{{{#red 11}}}||{{{#red 1600}}}|| ||'''4'''||[[Acid Pumper]]||{{{#red 11}}}||{{{#red 1221}}}|| ALBA를 제외한 모든 구성이 바뀌었다. 1스테이지부터 상당히 어려운 패턴이 등장한다. 하드 게이지로도 상위권의 난이도를 차지하는 곡. 패턴이 난해한 편이므로 주의. 2스테이지도 엄청난 스크래치 견제+동시치기 압박으로 까딱 잘못하면 게이지가 순식간에 사라질 수 있다. 1스테이지와 함께 9단 취득 난이도를 올리는 주범이기도 하다. 3스테이지는 지력을 꽤 요구하는 패턴이다. 후반에 난이도가 상승하므로 초~중반에 체력을 많이 남겨두자. 4스테이지는 헬차지를 잘 잡고 있는것도 중요하지만 중반 나선형 계단 패턴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하드게이지 클리어가 어려운 이유도 이 부분 때문이다. ==== 10단 ==== [youtube(dlRJuYOaeak)]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BLACK.by X-Cross Fade]]||{{{#red 12}}}||{{{#red 1761}}}|| ||'''2'''||[[Despair of ELFERIA]]||{{{#red 12}}}||{{{#red 2155}}}|| ||'''3'''||[[AA(BEMANI 시리즈)|AA]]||{{{#red 12}}}||{{{#red 1739}}}|| ||'''4'''||[[Raison d'être~交差する宿命~]]||{{{#red 12}}}||{{{#red 1836}}}|| 본작 10단은 저번작에 비해서 체력적으로 조금 더 난해해졌다. 전작의 경우는 2스테이지를 적당히 안정적으로 넘겨도 엑서시아에서 쓸 체력을 아낄수 있었으나, 이번작은 Despair of ELFERIA의 휴식구간 없는 폭타와 AA의 순간적인 발광구간이 맞물려 체력 안배를 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통상 단위 게이지로 플레이 시의 참고사항을 크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스테이지는 전형적인 스크래치곡이다. 노트는 틀려도 좋으니 스크래치에서 피를 현행유지한다는 느낌으로 가야 클리어가 편하다. 2스테이지는 노트 자체는 상대적으로 난해하지 않으나 빠른 BPM과 맞물려있어 체력의 소모가 심하다. 비슷한 난이도대에서 동 작곡가의 [[Nightmare before oversleep]] DPA, [[DARK LEGACY]] DPA 등과 보면 성향이 비슷한데, 본 곡의 경우 처음부터 끝까지 휴식구간 없이 몰아치는 구성이라 앞의 두 곡보다 체력 관리에 더욱 신경쓸 필요가 있다. 3스테이지는 전스테이지에서 게이지를 어느정도 가져오지 못하면 상당해 난해해지는 구간인 초살이 있는데 핵심은 한쪽이라도 잘 치고 반대편은 던지면 된다. 계단을 잘 친다면 오른손 동시치기의 박자에 맞춰야되고, 애매한 동시치기 박자를 잘 한다면 왼손 계단의 노트 흘림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초살부분을 제외하고는 기존에 10단을 취득하였던 유저라는 크게 문제될점은 없으나 전반적으로 노트가 왼손에 몰려 나오는만큼 왼손의 체력을 잘 배분해야될 필요가 있다. 4스테이지는 이미 10단의 대표적 보스곡으로 자리매김한 [[Raison d'être~交差する宿命~]] DPA. 널리 알려진 공략대로, 초반플로팅(or 녹숫줄이기)과 뭉개기를 시도하여 클리어를 해보자. === 전 === ==== 중전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One More Lovely]]||{{{#red 12}}}||{{{#red 1557}}}|| ||'''2'''||[[four pieces of heaven]]||{{{#red 12}}}||{{{#red 1264}}}|| ||'''3'''||[[Dynamite(BEMANI 시리즈)|Dynamite]]||{{{#red 12}}}||{{{#red 2098}}}|| ||'''4'''||[[Flashes]]||{{{#red 12}}}||{{{#red 2090}}}|| [youtube(EZOH7VZxiWw)] 손배치 영상 상대적으로 무난한 전작의 더블 중전에 비해 난이도가 올라갔다. 첫 스테이지인 One More Lovely를 제외한 나머지 3곡이 모두 바뀌었는데, One More Lovely의 고밀도 한손처리 구간은 전작 단위인정에서도 주요 승부처 중 하나로 꼽혔던 구간이기에 1스테이지부터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2스테이지의 경우 [[Todestrieb]] 최후반의 빡빡한 난타 지대는 사라졌지만, four pieces of heaven DPA가 끊임없는 고속 계단+도약 스크래치 견제로 플레이어들을 괴롭히기 때문에 1스테이지에서 게이지가 팍 깎여버린 경우 게이지를 채우는 것조차 어려워 의외의 난적이 될 수도 있다. 3스테이지 Dynamite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노트수가 2000개를 넘어서는 체력곡인데다 동시치기+스크래치곡이라는 보면적 특성으로 인해 개인차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마지막 스테이지 Flashes DPA인데, 단위인정 중전급에 해당하는 비공식 난이도 12.3 안에서도 최강을 줄 수 있을 정도로 높은 난이도를 가지고 있는데다[* 과거 비슷하게 12.3 최강으로 분류되던 [[煉獄のエルフェリア]] DPA, [[嘆きの樹]] DPA의 경우 투표를 통해 개전급에 해당하는 12.4로 승격되었다. 일본에서는 저 두 곡과 비슷하고, 12.4 하위권 [[君のハートにロックオン]] DPA보다는 살짝 더 어렵다는 반응이 많다. [[http://zasa.sakura.ne.jp/dp/music.php?id=2257-7-0|링크]]] 2000개를 넘어가는 노트수에서 오는 체력 속성, 기나긴 발광 등으로 도전자들을 고난에 빠뜨린다. 전작 4스테이지 [[聖人の塔]] DPA의 애매한 위치에 비해 명실공히 중전의 보스로 인정받는 분위기이며 이 곡에 막혀 10단으로 주저앉은 [[난민(리듬 게임)|난민]] 유저들도 보이는 편. 3, 4스테이지가 기본적으로 체력곡인데다 주요 고난도 구간에서 특수한 배치가 자주 나오는 탓에 [[저주#s-3|버릇이 들어버리는 경우]] 중전 합격 자체가 요원해질 수 있다. 12.4 레벨을 졸업하고 탈 개전급인 12.5에 도전하는 유저들의 입장에서는 EX게이지를 걸었을시의 난이도는 개전과 비슷하다는 반응도 있다. 요구 실력은 매우 높으나 우직하게 지력으로 밀어붙이는 개전과는 달리 중전에는 특수한 배치가 많아서인 것으로 보인다. 전작과 비교해 싱글은 6기 곡들로만 배치하고, 더블도 12.3 상위권 채보들을 배치한 것으로 보면 장기적으로 제작진에서는 10단과 개전의 정 중간보다는, 그보다는 살짝 어려운 개전의 버금 수준을 의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개전 ==== ||'''순차'''||'''곡명'''||'''레벨'''||'''노트 수'''|| ||'''1'''||[[ピアノ協奏曲第1番 "蠍火"]]||{{{#red 12}}}||{{{#red 1730}}}|| ||'''2'''||[[Bad Maniacs]]||{{{#red 12}}}||{{{#red 1606}}}|| ||'''3'''||[[天空の夜明け]]||{{{#red 12}}}||{{{#red 2261}}}|| ||'''4'''||[[quasar]]||{{{#red 12}}}||{{{#red 1562}}}|| [youtube(gCzaUVvwld8)] 더블 개전 역시 전작과 구성이 동일하다. 더블은 copula 전까지는 3스테이지여서 이런 경우가 제법 있었지만[* DJT→EMP, RA→Lincle, tricoro→SPADA] 싱글과 동시에 전작과 같은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다. [[분류:beatmania IIDX/단위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