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남구(광주)의 공동주택]][[분류:컨소시엄 아파트]][[분류:2024년 건설]][[분류:e편한세상]] [include(틀:광주광역시의 공동주택)]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봉선셀레스티지 조감도.jpg|width=100%]]}}} || || '''조감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봉선셀레스티지 투시도.jpg|width=100%]]}}} || || '''투시도''' || ||<-2> [[파일:e편한세상 BI.svg|height=4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주월동장미아파트, 너비=100%)]}}} || || '''명칭''' || '''e편한세상 봉선 셀레스티지''' || || '''영문 명칭''' || E-Pyeonhansesang Bongseon Celestiage || || '''종류''' || [[아파트]] || || '''브랜드''' || [[e편한세상|[[파일:e편한세상 로고.svg|height=15&theme=light]][[파일:e편한세상 로고_white.svg|height=15&theme=dark]]]] || || '''주소''' || [[광주광역시]] [[남구(광주광역시)|남구]] [[봉선동]] 1143-36 || || '''입주''' || 2024년 9월(예정) || || '''동수''' || 8개동 || || '''층수''' || 지하 2층, 지상 15~19층 || || '''세대수''' || 542세대 || || '''면적''' || 전용 63㎡, 84㎡ || || '''주차대수''' || 717대 (세대당 1.32대) || || '''시공사''' || [[DL건설|[[파일:DL건설 CI.svg|height=17]]]] [[DL이앤씨|[[파일:DL이앤씨 CI.svg|height=17]]]] || [목차] [clearfix] == 개요 == [[광주광역시]] [[봉선동]]에 들어설 예정인 아파트. 기존의 장미아파트를 철거한 후 재건축하는 방식이다. 전용 63㎡ 137세대, 전용 84㎡ 405세대로 구성되어 있다. 주차장은 총 717대로 세대당 1.32대 수준이며, 상가전용을 제외하면 전부 지하에 마련되어있기 때문에 지상에 [[차 없는 아파트]]로 지어진다. == 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주월장미.jpg|width=100%]]}}} || || ''' 2000년대 초반 촬영된 장미아파트''' || 원래 이 자리는 지난 1981년 9월 준공된 장미아파트가 있었던 곳으로, 5층짜리 아파트 10개동에 세대수는 총 340세대 규모였고 17평부터 23평, 29평까지 있었다. 당시 광주에서 아파트가 희귀하던 70년대 말~80년대 초에 지어졌던 광주1세대 민영아파트 중 한 곳이다.[* 주월장미 외에도 금남로 무등맨션, 양동 우진, [[양동 삼익맨션|삼익]], 금호, 중흥 평화맨션(모아미래도로 재건축 중), 화정 삼익맨션 등이 있다. 이 곳들은 당시 광주의 부촌이라 불릴만큼 각종 인사들이 많이 거주했다.] 2003년 이뤄진 건축물 안전진단에서 D등급을 받아 이듬해부터 재건축을 추진하게 되었으며 주변 단독주택들과 통합해서 재건축하여 542세대의 신축 아파트로 재탄생할 예정이다. 2015년 재건축 시공사를 [[DL건설]]·[[DL이앤씨]] 컨소시엄로 선정하였고, 2020년 관리처분인가를 받아 5월 21일부터 이주가 시작되었으며 2022년 장미아파트는 철거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고 5월 20일부터 신축공사에 들어갔다. == 특징 및 시설 == == 주변 환경 == 80년대 중반 ‘봉선지구’(현 봉선1동)로 개발된 곳과 인접해있다. 여담으로 주월장미는 재건축 전까지는 [[주월동]] 소속이었으나, 2021년 4월 1일 법정동 경계조정으로 주월장미의 지번이 주월동 1186에서 봉선동 1143-36으로 변경 되었다[[http://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98118|#]][[https://www.namgu.gwangju.kr/oldJibun.es?mid=a10204060200|#]]. '봉선동 프리미엄' 효과인지 법안이 통과 된 2021년 2월 5일을 기점으로 가격이 급등하여, 뉴스기사에 언급 된 바 있다[[https://mnews.sarangbang.com/detail/article/2790770|#]]. === 인프라 === 봉선1동 행정복지센터, [[국토안전관리원|국토안전관리원 호남지사]], 광주광역시 남구의회, [[남구(광주광역시)|남구청]] ,방림지구대 등의 관공서가 근접해있으며 미래아동병원, 한일병원 등이 도보권에 있고 [[조선대학교병원]], [[전남대학교병원]], 기독병원 등이 차로 10분 이내 거리에 위치하여 의료 인프라가 매우 우수하다. 또한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879억'''이 투입 될 [[백운광장]]에 남구청 미디어파사드, 공중 보행로[[http://www.kjdaily.com/read.php3?aid=1615806857540362005|#]], 스트리트 푸드존 등이 예정되어 있고 남구청 바로 옆에 [[주상복합]]인 봉선동 남양휴튼 3차가 들어올 예정이라 향후 주변에 많은 변화가 이뤄질 것이다. === 교육 === 단지 배정 초등학교는 제석초등학교이다. 또한 [[봉선동#s-3.2|봉선동 학원가인 남양휴튼사거리,삼익,쌍용사거리]]와 도보로 약 15~20분, 차로 약 5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 중학교는 [[주월중학교]], 봉선중학교, [[문성중학교(광주)|문성중학교]], 동아여자중학교, 광주수피아여자중학교 등이 있으며, 고등학교는 [[광주석산고등학교]], [[대광여자고등학교]],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 [[문성고등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 상권 === 상권활성화를 위해 [[봉선시장]]에 많은 변화가 이뤄지고 있고, 또한 최근들어 오래된 단독주택을 허물고 새로 고급 주택을 짓거나 상업용도로 개조해서 카페, 레스토랑으로 영업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e편한세상 봉선 셀레스티지 외에 봉선3차 남양휴튼, [[봉선로 르 오네뜨]], 유탑메트로시티, 한국아델리움57 펜트윈 등이 들어설 예정이라 가면 갈수록 이 일대가 고급 단독주택가로 변모하고 있다. 거기에 [[백운고가차도]] 철거가 완료되고, 도시재생사업으로 선정되어 879억이 투입될 [[백운광장]]과[* 백운광장은 뉴딜사업으로 선정되어 879억이 투입될 예정이다.[[https://www.jnilbo.com/m/view/media/view?code=2020070715064341005|#]]] [[광주 도시철도 2호선]] [[백운광장역]]과 [[봉선역]]이 지나가게 되어 상권이 더욱더 발달할 가능성이 있다. === 교통 === [[효천역(도시철도)|효천역]] 방향 유일 지선 [[환승역]]인 [[백운광장역]]과 [[봉선역]]이 근접해있어 '''트리플 역세권'''을 누릴수 있으며 [[광주제1순환도로]] 구간인 [[대남대로]], [[서문대로]]를 끼고있어 광주 도심 내 곳곳으로 이동이 용이하다. 또한 '''봉선로'''를 따라 [[봉선동]] 학원가, '''[[이마트 봉선점]]''' 접근이 용이하며, [[용산IC]]를 통한 [[광주제2순환도로]]와, [[봉선동]]~[[용산동(광주광역시 동구)|용산지구]]터널을 통해 타 지역 이동이 매우 편리하다. ==== 시내버스 ==== 단지 도보 5분거리에 '''남광주농협 정류장'''이 있으며 [[광주 버스 봉선27]], [[광주 버스 송정98]], [[광주 버스 지원25]], [[광주 버스 진월17]], [[광주 버스 첨단95]], [[광주 버스 지원56]], [[광주 버스 수완03]], [[광주 버스 순환01]], [[나주 버스 999]]와 '''200, 200-1, 216, 217, 217-1, 218, 218-1번 등 기타 농어촌 버스'''등이 다녀 [[대중교통]] 편의성이 매우 좋다. ==== 도시철도 ==== 단지에서 도보로 환승역인 [[백운광장역]]과 [[봉선역]]이 있어 '''트리플 역세권'''이다. == 여담 == 2022년 4월 기존 장미아파트를 철거하는 과정에서 철거 잔해가 도로변에 세워진 안전펜스에 쏟아져 펜스가 넘어질 뻔한 아찔한 사고가 일어났다. [[http://m.mdilbo.com/detail/q2jcbR/667223|해당기사]] [[광주 화정 아이파크 붕괴 사고|화정동 아이파크 붕괴 사고]]가 일어난지 얼마 되지 않았을때라 사고의 심각성이 더더욱 부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