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L.E.D.]]와 [[GUHROOVY]]의 합작곡으로, 전작인 '[[ERASER ENGINE]]'(가정용 [[기타프릭스]] 2nd & [[드럼매니아]]에 수록)과 '맥시멈'에 이어서 이번 이레이저(eraser) 시리즈에도 합작을 하였다. 형식은 '맥시멈'의 리믹스이나 두 곡을 들어보면 알 수 있듯이 거의 전혀 다른 곡이다. [[장르]]는 하드코어. 이 이레이저 시리즈는 [[L.E.D.]]의 곡 제목의 특징인 '모두 대문자로 표기'의 예외 케이스이기도 하다. 곡 제목이 대문자와 소문자가 뒤얽혀 읽기가 힘든데 풀어 읽으면 이레이저 모터 팬텀(eraser motor phantom;약칭 팬텀). == [[beatmania IIDX]] == [INCLUDE(틀:PARALLEL ROTATION)] [youtube(VzBNmI3vH4w)] || 장르명 |||||| HARDCORE[br][[하드코어 테크노|하드코어]] || [[BPM]] |||| 135-270 || || 전광판 표기 ||||||||||||||<#454545> '''{{{#FF5A00 ERASERMOTORPHANTOM}}}''' || |||||||||||||||| [[beatmania IIDX]] 난이도 체계 || || |||| {{{#blue 노멀}}} |||| {{{#orange 하이퍼}}} |||| {{{#red 어나더}}} || || 싱글 플레이 || {{{#blue 7}}} || {{{#blue 787}}} || {{{#orange 10}}} || {{{#orange 1340}}} || {{{#red 12}}} || {{{#red 1686}}} || || [[더블 플레이]] || {{{#blue 8}}} || {{{#blue 788}}} || {{{#orange 10}}} || {{{#orange 1284}}} || {{{#red 12}}} || {{{#red 1798}}} || * [[beatmania IIDX/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 [[beatmania IIDX 17 SIRIUS|17 SIRIUS]] ~ * 가정용판 수록 : [[beatmania IIDX 11 IIDX RED|11 IIDX RED]]([[ErAseRmoTor maXimUM]]의 어나더), [[beatmania IIDX 13 DistorteD|13 DistorteD]], [[beatmania IIDX INFINITAS|INFINITAS]] * [[단위인정]] 수록 * SPA : 10단 (CS 13 DistorteD) 본래는 PS2판 IIDX 4th Style의 가정용 전용곡인 '[[ErAseRmoTor maXimUM]](이하 맥시멈)'이 PS2판 IIDX 11 IIDX RED에 구곡으로 수록되면서 숨겨진 어나더로 추가된 악곡인데, 당시 이 곡을 하기 위해서는 스탠다드 모드에서 1~3스테이지를 모두 랜덤 선곡으로 어나더 채보로 플레이하여 엑스트라 스테이지로 진출하면 해당 곡에 없던 어나더가 생긴 것을 확인하고 플레이하면 해금이 되었었다. 당시 작품에서는 이 곡을 플레이하기 위해 맥시멈의 어나더를 고르면 곡 제목 표시화면에서 제목이 맥시멈에서 팬텀으로 바뀌었다. IIDX RED에서는 어나더 채보밖에 존재하지 않았었으나 후에 가정용 IIDX 13 DistorteD에 구곡으로 수록되었는데, 이 때 노멀과 하이퍼 채보까지 추가되었다. 게임 내 특징으로는 첫째로 [[BPM]]이 꽤 높다는 것인데, 초반에는 135 BPM으로 시작했다가 도입부가 끝나고 잠깐의 노트 공백 사이에 BPM이 두배로 껑충 뛴다. 처음 하면 약간 당황스럽기도 하지만 BPM이 바뀌는 중간에 SUDDEN+ 조정이나 배속조정을 해주면 OK(마침 CS RED에는 SUDDEN+와 플레이 도중 배속조정이 선행적용되었다.). BPM이 꽤 높아서 박자에 맞춰 베이스 처리가 힘들며 중반에는 스크래치 연사가 배정되어 있다. 그리고 끊임없는 트릴에도 1번노트의 잔연타가 자잘하게 끼어있기 때문에 약간의 실수라도 한다면 줄줄히 배드가 나는 모습을 보게 될것이다. 또 노트수도 많고 곡의 길이도 길기에 체력곡에 속하기도 한다. [[BGA]]는 RED 수록 당시는 [[MAX 300]], [[Digitank System]] 등에 쓰인 7th 테크노 [[범용 BGA]]에 빨간 레이저 형태의 레이어가 덧댄 형태였으나, 가정용 Happy Sky의 한정판 내용물 중 하나인 VISUAL EMOTIONS 5(IIDX의 전용 [[BGA]]의 일부를 선정하여 수록하는 시리즈 DVD)에 새로 제작된 pam씨가 제작한[* 생체적인 느낌과 기계적인 느낌을 적당히 융합한 탓에 은근 살벌해 보이는 [[BGA]]지만, 그가 제작한 [[BGA]]중에 [[The Hope of Tomorrow]] 신전용 [[BGA]]같이 상큼한 느낌의 [[BGA]]도 있는 걸 감안한다면 그야말로 분위기 반전인 셈.] 전용 [[BGA]]가 들어갔으며, CS DistorteD에 이 곡이 재수록될 때 전용 [[BGA]]가 대응되었다(위의 동영상). 아케이드 이식판에는 전용 [[BGA]] 적용. 아케이드 17 SIRIUS의 시스템 중 하나인 '패러렐 로테이션'을 통해 아케이드로 이식되었다. 더불어 [[beatnation summit]]에서도 공연된 적이 있는데, 스크래치 연사부 이후가 게임판 악곡과 조금 다른 진행을 보였다. === 싱글 플레이 === [include(틀:beatmania IIDX/비공식 난이도표/싱글/12레벨 하드 게이지/지력 D)] [include(틀:beatmania IIDX/비공식 난이도표/싱글/12레벨 노말 게이지/지력 D)] [youtube(M2XCInTPeZE)] 싱글 어나더 영상 여담으로 싱글 어나더 채보의 1번키에 할당된 노트수가 무려 '''460개.''' 전 보면 1위다. 싱글 하이퍼는 10레벨에서 굉장히 까다로운 패턴으로 하드 게이지 서열표에서도 꼭대기에 있다. === 더블 플레이 === [youtube(KkbRDnTXbHE)] 더블 어나더 영상 [[분류:beatmania IIDX 17 SIRIUS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