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beatmania IIDX 7th style의 수록곡]][[분류:팝픈뮤직 9의 수록곡]] [include(틀:다른 뜻1, other1=Rayark사의 리듬게임 수록곡 Entrance, rd1=Entrance)] [목차] == [[kobo]]의 곡 == === [[beatmania IIDX]] === || 장르명 |||||| TECHNO[BR][[테크노]] || [[BPM]] |||| 180 || || 전광판 표기 ||||||||||||<#454545> '''{{{#FF5A00 ENTRANCE}}}''' || |||||||||||||||| [[beatmania IIDX]] [[beatmania IIDX/난이도 체계|난이도 체계]] || || |||| {{{#blue 노멀}}} |||| {{{#orange 하이퍼}}} |||| {{{#red 어나더}}} || || 싱글 플레이 || {{{#blue 5}}} || {{{#blue 480}}} || {{{#orange 8}}} || {{{#orange 740}}} || {{{#red 9}}} || {{{#red 845}}} || || [[더블 플레이]] || {{{#blue 5}}} || {{{#blue 648}}} || {{{#orange 7}}} || {{{#orange 778}}} || {{{#red 10}}} || {{{#red 1150}}} || * [[beatmania IIDX/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 [[beatmania IIDX 7th style|7th Style]] ~ [[beatmania IIDX 9th style|9th Style]], [[beatmania IIDX 19 Lincle|19 Lincle]] ~ [[beatmania IIDX 22 PENDUAL|22 PENDUAL]] * 가정용판 수록 : [[beatmania IIDX 5th style|5th Style]], [[beatmania IIDX 7th style|7th Style]], [[beatmania IIDX INFINITAS|INFINITAS]] (19년 2월 추가) * [[단위인정]] 수록 * 싱글 하이퍼 : 4단 (CS 7th) [[kobo]]가 Kobo project with Masa라는 명의로 가정용 5th에 제공하였고, 아케이드 7th style에 이식되었다. 아케이드로 이식되고 3작품만에 삭제되었다가 7년이 넘게 지나서 [[beatmania IIDX 19 Lincle|19 Lincle]] 에서 해금곡으로 부활했으나, 4작품 뒤인 23 copula에서 삭제되었다. 원래는 전용 [[BGA]]가 있었으나 무슨 이유에서인지 부활하면서 [[범용 BGA]]로 교체되었다. ==== 싱글 플레이 ==== [youtube(jreB2BZhzKg)] 싱글 어나더 영상 노멀을 제외하고는 초반의 세로 연타패턴이 좀 성가시게 느껴질 수 있다. 세로축 지대만 통과하면 그 이후는 간단해진다. ==== 더블 플레이 ==== [youtube(3eLBez5uCcg)] 더블 어나더 영상 ==== 아티스트 코멘트 ==== ||여러분 처음 뵙겠습니다. beatmania IIDX 5th Style이라는 비트매니아의 궁극이라고도 할 수 있는 타이틀의 가정용 오리지널 추가곡 제작에 이번에 처음으로 참가하게 된 「Kobo project」의 코보리라고 합니다. 아직 신참 풋내기지만 나중에도 알아봐주시기를. 이번에 협력해준 Masa 군은 프로그래머로 웃는 얼굴이 대담한 나이스 가이입니다. 그럼, 곡에 대해 코멘트를 말해봅시다. 제 나름대로 IIDX 다운 건 무엇인지 생각하면서 여러가지 요소와 Masa 군의 미친... 아니, 센스 있는 아이디어를 받아들이면서 곡 제작을 진행하며 시행착오의 끝에 완성한 것이 이 「entrance」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디자이너인 kella 씨의 멋진 무비와 맞아 떨어져 IIDX 다운 완성이 된 것은 아닌가 싶습니다. 이것저것 집어넣은 결과, 애매한 「테크노(같은 것)」가 되어버렸는데, 명확한 장르명 분류에 고민했던 저는 선배인 L.E.D. 씨한테 코보리 「이거 장르는 뭐라고 하면 될까요?」 [[L.E.D.]] 씨 「음.」 코보리 「...개인적으로는 약간 하드코어계 곡・・・으로 만든 건데요.」 [[L.E.D.]] 씨 「그건 아닌 것 같은데(웃음).」 잠시 생각하고... [[L.E.D.]] 씨 「큰 묶음으로는 테크노라고 해도 될 것 같은데?」 코보리 「역시 그렇죠.」 그래서 제 안에서 비마니 시리즈에서 테크노라 한다면 친숙한 L.E.D. 씨가 「테크노일지도」라고 말씀 해주셨으니 역시 테크노지!! 이렇게 된 결과물입니다. 그럼, 채보 쪽에 대해서 말해보자면 어렵죠? 힘들죠? 네. 참고로 선배가 사박거리며 클리어하는 중에도 전 얼마나 해도 못 하겠던데요. 그래도 엄청 난이도 높은 곡이 많은 IIDX에서는 그렇게 어렵지도 않을지도? 그렇죠. 뭐든지 기합으로 커버 할 수 있어요. 그럼, 또 여러분의 귀에 들리는 날이 오기를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by Kobo project의 코보리)|| ||제 옆 자리의 홋카이도와 바이크를 각별히 사랑하는 Y 씨의 영향으로 이곡을 들었을 때 바이크로 질주하는 이미지가 떠올랐습니다. 그래서 바이크 질주 무비입니다. 여러가지 일의 시작과 끝은 이어져 있지요. 무언가 끝나면 무언가 시작된다. 그 무언가를 시작하는 entrance를 향해 달려나가는 이미지로 무비를 만들었습니다. 그걸 위해서 일단 폭발시켰습니다. 파괴했습니다. 세계의 종말입니다. DJ.Kobo 씨의 질주감 있는 기분 좋은 소리를 즐겨주신다면 좋겠습니다. (by kella) - CS 5th style 공식 홈페이지의 코멘트|| ||kobo / SOUND 가정용 beatmaniaIIDX5th style용으로 쓴 이 곡이 설마 아케이드판에 재데뷔 할 줄이야! 이런 기회를 만들어 준 [[dj TAKA]] 씨께는 감사합니다. 제게 있어서 처음 비트매니아용 악곡 제작이기도 하고, 제작에 있어서는 생각 착오의 반복이었습니다. 제작 당시를 회상하자면 제가 좋다고 생각한 요소가 문득 떠오르자마자 바로 툭툭 채워보고는 뭔가 다른데- 하고 그만두고, 또 다른 걸 넣어보고는 역시 아까 그게 좋았을지도...라는 느낌의 나날이었습니다. 고생한 만큼 특별한 마음도 한층 더. 가정용도 부디 여러분 꼭 즐겨주세요!|| ||kella / MOVIE 처음 만나뵌 것이 가정용이였던 이 곡에 관계된 것도 벌써 1년 정도 전이네요. 어쨌든 제작 말기에 날아들어와서 정말 힘들었던 기억이.... 그건 이제 그리운 경지에 들어섰지만요. 좋은 곡인만큼 조금 더 만들어 넣고 싶었던 건 지금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영상의 이미지는.... 그러고보니, 만들기 시작했을 때 작곡가인 kobo 씨에게 어떤 이미지가 좋을까요? 라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맡기겠습니다라는 답장이여서 멋대로 바이크 무비로 해버렸습니다. 죄송합니다. 이제 와서지만 화 안 내셨으면 좋겠네요.... 무척 질주감 있는 곡이니까 여러분들도 올라타서 플레이 하실 수 있으셨으면. 처음이신 분도, 그렇지 않으신 분도 즐겨주신다면, 하고 생각합니다. - 7th 공식 홈페이지에 있는 코멘트|| == [[Naya~n]]의 곡 == ee'MALL의 수록곡. === [[팝픈뮤직]] === |||||| [[파일:엔트런스팝픈.png]] ||<#FFFFD2> [[BPM]] || 132 || ||<#FFFFD2> 곡명 |||||||| '''Entrance''' || ||<#FFFFD2> 아티스트 명의 |||||||| [[Naya~n|ナヤ~ン]] with 樽木栄一郎 || ||<#FFFFD2> 장르명 |||| Urban Blues |||| 우르반 블루스 || ||<#FFFFD2> 담당 캐릭터 |||| Paul |||| 바울 || ||<#FFFFD2> 수록된 버전 |||||||| [[팝픈뮤직 9|pop'n music 9]] || ||<#FFFFD2> [[팝픈뮤직/난이도 체계|난이도]] || {{{#blue EASY}}} || {{{#green NORMAL}}} || {{{#orange HYPER}}} || {{{#red EX}}} || ||<#FFFFD2> 43단계 || {{{#blue 12}}} || {{{#green 16}}} || {{{#orange 28}}} || {{{#red -}}} || ||<#FFFFD2> 노트 수 || {{{#blue 308}}} || {{{#green 326}}} || {{{#orange 617}}} || {{{#r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