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DGB금융그룹)] [include(틀:대한민국의 은행)] ---- ||<-2> '''{{{+2 iM뱅크}}}[br]iM Bank'''[br]{{{-2 대구은행 | Daegu Bank}}}[* 대구경북 소재 지점은 지방은행시절 명칭을 병기한다.] || ||<-2> [[파일:iM뱅크 CI.png|width=300&theme=light]][[파일:iM뱅크 CI 화이트.png|width=300&theme=dark]] || || '''법인명''' ||주식회사 아이엠뱅크 || || '''영문명''' ||iM Bank || || '''설립일''' ||[[1967년]] [[10월 7일]] || || '''업종명''' ||국내 은행 || || '''기업 규모''' ||[[대기업/대한민국|대기업]] || || '''상장 여부''' ||[[상장폐지]][* [[DGB금융지주]] 상장에 따른 [[상장폐지]]. [[금융지주회사]]를 만들기 위한 목적의 상폐다.] || || '''지배 구조''' ||[[DGB금융지주]]: '''100%''' || || '''은행장''' ||[[황병우(1967)|황병우]] || || '''본점'''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2310 ([[수성동2가]]) || || [[금융공동망|{{{#ffffff '''은행 코드'''}}}]] ||'''031''' || || [[SWIFT 코드|{{{#ffffff '''SWIFT 코드'''}}}]] ||DAEBKR22[* 과거 지방은행 시절의 이름인 '대구은행'의 영문 명칭의 SWIFT 코드를 사용한다. '''D''''''A''''''E'''gu '''B'''ank] || || '''행화''' ||[[동백꽃]] || || '''링크''' ||[[https://www.imbank.c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blog.naver.com/imbank_official|[[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WWPqX_dnhmCcVIMfZanKz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imbank.offici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imbank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 '''고객 센터''' ||대표 전화: '''1566-5050 / 1588-5050'''[br]인터넷 뱅킹: '''1661-5100'''[br]어르신 전용: '''1670-9550'''[br]음성 인식: '''1661-5200'''[br]해외: '''82-53-742-5050''' || ||<-2> '''국고수납대리점[br]외국환은행''' || [목차] [clearfix] == 개요 == [[DGB금융그룹]] 계열 [[시중은행]]. 본래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를 기반으로 한 [[지방은행]]이었으며 국내 최초의 지방은행이었다. 2024년 상반기 시중은행으로 전환되었고 대한민국 시중은행 중 유일하게 비수도권에 본점을 둔 은행이다. == 역사 == || [[파일:대구은행 로고 (1985-2007).png|width=35%]] || || {{{#ffffff '''1985년부터 2007년까지 사용한 로고'''}}}[* 2002년부터는 DGB라는 약칭도 병행하여 사용했다. [[https://www.dgb.co.kr/cms/dgi/sdd_4/sdd_41/1187588_1663.html|#]]] || || [[파일:대구은행 로고 (2007-2016).png|width=35%]] || || '''2007년부터 2016년까지 사용한 로고'''[* 폰트는 1985년 로고와 같다.] || || [[파일:DGB대구은행 로고 (2016~2024).svg|width=35%]] || || '''2016년부터 2024년까지 사용한 로고''' || || [[파일:external/img.khan.co.kr/l_2013083101004123000345345.jpg|width=90%]] || || '''▲ (위) 1967년 10월 7일, 대구은행 개업식.''' || || '''(아래) 1967년 10월 재무부 소속의 한 국장이 박정희 대통령 명의로 대구은행 1호 예금통장을 만드는 모습.'''[* 당시는 [[금융실명제]]가 시행되기 한참 전이라 타인명의의 계좌개설이 가능했다.] || 1967년 10월 7일 [[박정희]] 당시 대통령의 지시로 1도 1은행 설립 정책에 따라 납입자본금 1억 5천만 원으로 설립되면서 전국 최초의 [[지방은행]]인 '''대구은행'''으로 개업하였다. 1972년 5월 기업공개 후 8월에 서울지점을 열고 1977년에 전자계산소를 열었으며, 1979년 10월 미국 뉴욕에 첫 해외 사무소를 열고 12월 서울~대구 간 온라인 업무를 개시했다. 1983년에는 전 점포로 온라인망을 확대했다. 1985년 기존 [[중구(대구광역시)|중구]] [[남일동]]에 있던 본점을[* 기존 본점 자리에는 대구은행 중앙로지점이 있었으나 2024년 1월에 동성로지점으로 통합되었다.] [[수성구]] [[수성동2가]]로 이전했으며 6월부터 [[비씨카드]]와 제휴하여 [[신용카드]] 업무를 시작한 후 10월 자회사 대구리스를 세웠다. 1987년 대구창업투자를 세운 뒤 1991년 9월 종합 온라인을 실시했으며 12월 대구은행장학회를 세우고 1993년 금융업계 최초로 현금카드 즉시발급제와 낙동강 살리기 신탁을 실시했다. 1994년 대은금융경제연구소, 1997년 미래선물, 2000년 대구신용정보 등을 각각 세워서 사세를 확장해 갔다. [[1997년 외환 위기]]로 1990년대 대한민국 5대 시중은행이 모두 퇴출되고 통폐합으로 이름이 바뀌거나 공적자금이 투입된 것과 달리 1997년 외환 위기 때도 공적자금을 1번도 받지 않았다고 하는데 특유의 보수적 자금 운용으로 경제 위기에서 살아남았다. 1998년 대구리스 자산을 한국리스여신에 팔고 [[BNK금융지주|BS금융지주]]에 이어 2011년 5월 17일 지방은행 중 2번째로 [[금융지주회사]]인 [[DGB금융지주]]를 설립하고 대구은행을 완전자회사로 편입하면서 이에 따라 대구은행은 [[상장폐지]]되었다. 2016년 [[캄보디아]] 프놈펜상업은행 인수전(후에 전북은행이 인수)에 실패한 DGB대구은행은 2017년 10월 캄보디아 여신전문 특수은행인 캠캐피탈 특수은행(Cam Capital Specialized Bank)의 지분 100%를 인수하는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하고 2018년 2월 최종 완료하여 캄보디아 DGB 특수은행(DGB Specialized Bank)을 출범시켰다. 2009년 설립된 캠캐피탈 은행은 캄보디아 [[프놈펜]]에 5개 지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직원은 약 300명이다. 2017년 12월에는 [[동대구역]] 매표소 좌측에 스마트 키오스크를 처음으로 선보였다. [[BNK부산은행]]과 [[우리은행]]의 그것처럼 바이오(정맥)정보 등록도 되는 키오스크로, 3기가 깔려 있다. 이 키오스크를 설치하면서 [[대구신세계]]점을 없앴으며, '''"셀프창구"'''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이후 [[수성동2가]] 본점, [[상인동]]지점, [[시지지구|시지]]지점, [[영남대학교|영남대]]지점으로 셀프창구를 확대했다. 2019년에는 [[경북대학교|경북대]]ㆍ[[계명대학교|계명대]]ㆍ영대병원ㆍ학정로ㆍ[[다사읍|다사]]ㆍ[[대곡역(대구)|대곡역]]ㆍ[[대구테크노폴리스|테크노폴리스]]지점에 셀프창구를 추가했다. 2019년 12월에는 시내권에도 셀프창구 기계가 처음으로 생겼다. [[파일:DGB금융센터.jpg]]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남대문로]] 125 ([[명동|다동]])의 DGB금융센터. [[파일:restmb_allidxm12ake.jpeg.jpg|width=600]]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팔공로]]53길 70 (봉무동)의 DGB혁신센터. 2024년 5월 16일에 금융위원회가 시중은행 전환을 승인하면서 1992년 평화은행 이후 32년만의 신규 시중은행이 되었다. [[윤석열 정부]]가 5대 시중은행의 독과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장려하기로 한 것인데 대구은행이 가장 먼저 그 의사를 타진했고, 금융위원회에서 내부 통제 사항에 대한 보고와 본사 대구 잔류를 조건으로 승인했다. 1962년 [[서울은행]]이 지방은행에서 시중은행으로 전환한 이후 약 62년만에 지방은행에서 시중은행으로 전환한 2번째 사례가 되었다. 은행 명칭은 5월 27일 임시주주총회에서 상호 변경에 대한 정관 개정에 결의함에 따라 2024년 6월 5일부터 스마트폰 뱅킹 앱 명칭과 동일한 '''iM뱅크'''로 변경되었다. 다만 [[대구·경북]]지역 지점은 역사성과 지역마케팅을 고려해 '''대구은행''' 명칭이 병기된다. 또한 [[대구은행역|대구 도시철도 2호선 대구은행역]] 역시 역명 그대로 유지된다. 전환 추진 당시 전국은행 성장을 위해 [[지구오락실]]로 인기를 얻고 있는 [[미미(오마이걸)|미미]], 미미의 후임으로는 [[츄(가수)|츄]]를 광고 모델로 내세우고 [[ENA]] 드라마 [[행복배틀]]에 은행권은 잘 하지 않는 [[PPL]]을 하는 등 인지도 높이기에 주력했다. || [[파일:iM뱅크 CI.png|width=60%]] || || {{{#ffffff '''현 iM뱅크 로고'''}}} || == 지배 구조 == 2019년 8월 기준. || '''주주명''' || '''지분율'''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DGB금융지주]] || 100%|| == 역대 은행장 == * [[김준성]] (1967~1975) * 남옥현 (1975~1981) * 정달용 (1981~1984) * 권태학 (1984~1989) * [[이상경(1932)|이상경]] (1989~1992) * 홍희흠 (1992~1996) * 서덕규 (1996~2000) * 김극년 (2000~2005) * 이화언 (2005~2009) * [[하춘수]] (2009~2014) * 박인규 (2014~2018) * [[김태오(1954)|김태오]] (2019~2020) * [[임성훈(금융인)|임성훈]] (2020~2022) * [[황병우(1967)|황병우]] (2023~ ) == 해외 법인 == * [[미얀마]]: DGB마이크로파이낸스 미얀마 * [[베트남]]: 호치민지점 * [[중국]]: 상하이지점 * [[캄보디아]]: DGB Bank Cambodia == 제1ㆍ2본점 == ||<-2> '''{{{+2 iM뱅크 제1본점}}}'''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06321_410307_1755 (1).png|width=100%]]}}} || || '''착공''' ||1980년 6월 || || '''완공''' ||1985년 5월 || || '''소재지'''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2310 ([[수성동2가]])[*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대구은행역]]과 직결되며, 바로 뒤에 [[대구광역시교육청]]이 있다.] || ||<-2> '''{{{+2 iM뱅크 제2본점}}}'''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7009_36572_420.jpg|width=100%]]}}} || || '''착공''' ||2013년 12월 || || '''완공''' ||2016년 4월 || || '''소재지''' ||[[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 [[옥산로(대구)|옥산로]] 111 ([[칠성동2가]]) || == 상품과 서비스 == === '''[[은행/수수료#s-3.18|수수료]]''' === 은행들 중에서 유난히 수수료를 많이 받는 것으로 악명높다.[* 수수료 하면 알아주는 곳으로 iM뱅크 말고도 한 곳이 더 있는데, 체크카드 발급비로 5만 원을 받아먹고 은행권에서 유일하게 계좌유지 수수료라는 것을 받아먹는 [[한국씨티은행]]이 바로 그 곳이다. 다만 한국씨티은행은 2023년 초 소매금융 취급을 포기했다.] 시중은행 중에서는 밑에서 까이는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이 수수료 면제에 인색한 편. 게다가 당행에서 발급하는 [[아이행복카드]] 및 [[국민행복카드]]를 제외한 모든 [[체크카드]]에는 발급비 2천 원이 든다. 그래도 체크카드 발급비 환급을 안 해 주는 [[BNK부산은행]]보다는 낫다. [[금융IC카드]]를 만들 때 발급 수수료 2,000원을 받는 것도 모자라서 [[현금카드]]에 [[마에스트로 카드]] 및 Cirrus 마크가 붙은 [[직불카드]] 기능을 인터넷뱅킹에서 신청하면, '''그 순간 계좌에서 칼같이 수수료 1천 원을 더 뜯어 간다.''' 고로 직불카드가 되는 현금카드를 발급하게 되면, 토탈 발급 수수료는 총 3천 원이다. [[마에스트로 카드]] 해외직불 수수료율은 0.5$ + 1.1%다. [[부산은행]]은 [[마에스트로 카드]] 장착 [[체크카드]]를 발행 중이지만, [[연회비]] 1천 원을 받는다. 정작 [[마스터카드]]가 달려 있는 BNK프렌즈 체크카드와 썸뱅크BC 체크카드는 연회비가 없다. 후불교통카드가 강제된다는 게 아쉽지만. 그리고 [[보안카드]] 재발급에 수수료 500원을 받는다. 그러니 iM뱅크에 거래를 틀 때 인터넷뱅킹을 신청했다면, 보안카드를 쓰지 말고 깔끔하게 [[OTP]]를 구입하자. [[OTP]]는 토큰형과 카드형을 모두 취급하며 토큰형은 5,000원, 카드형은 15,000원이다. [[2015년]] [[3월 10일]]에 스마트뱅크 개인 뱅킹 앱이 나왔지만, 수수료 면제 이벤트는 없었다. 참고로 다른 은행들은 보안카드 교체 수수료를 아예 안 받는다. 일례로 [[신한은행]] 계좌가 있는 사람들은 알겠지만, [[보안카드]]가 오래 되면 빨리 교체하라고 귀찮을 정도로 [[신한은행]] 계좌를 보유한 고객들에게 자꾸만 문자가 온다. 반면 iM뱅크는 정말 칼같이 보안카드 교체 수수료를 받는다.[* 물론 이것도 예외는 있는 법인데, 위에 적힌 [[한국씨티은행]]이 바로 그곳. 여기는 보안카드 재발급 비용으로 무려 2,000원을 뜯어간다! --iM뱅크도 울고 가겠다-- 대신에 씨티은행의 경우 보안카드가 오래되면 (발급/교체한 지 2년이 지났다면) 교체 수수료가 면제된다.] iM뱅크의 [[교통카드]] 환불 수수료는 200원이다. 잔액이전 수수료는 없지만, 동종 카드끼리 창구에서 잔액 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잘 확인해야 한다. 하지만 이런 중에 쥐꼬리만한 수수료 혜택이 몇 가지 있다.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을 이용하여 다른 은행으로 송금했을 때 영업 시간 내 1일 1회, 1만원까지 송금하면 수수료가 없다.(인터넷은 안 된다.) 추가로 영업시간 외에 ATM에서 현금을 인출할 때 1일 1회, 1만원만 인출하면 출금 수수료가 없다. 또 다른 수수료 혜택이 있다면, 대구·경북 지역 소재 대학교의 학생증에 탑재된 iM뱅크 현금 및 [[체크카드]]로 '''학교 내''' iM뱅크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서 현금을 출금하면 출금 수수료가 없다. 본인이 졸업했더라도 카드 유효기간까지 이 수수료 혜택은 적용된다. 당연하게도 학교 근처에 살지 않는 이상, 졸업하면 더 이상 쓸 데가 없다. 이런 수수료 천국에 만족하지 못 했는지, 2014년 10월 6일에는 기존의 급여통장인 '직장인'''재테크'''통장'의 판매를 종료하고 직장인재테크통장을 '''개악'''시킨 '직장인'''우대'''통장'을 내놓았다. '직장인재테크통장'은 전자금융 이체 수수료 면제 횟수가 무제한이었는데, '직장인우대통장'은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처럼 면제 횟수 제한이 생겼다. 수수료 면제 조건도 심히 어려워졌다. 당연히 '직장인'''우대'''통장' 출시와 동시에 '직장인 재테크 통장'은 더 이상 가입할 수 없다. 직장인 재테크 통장을 보유하고 있는 고객은 해지하지 말고 꼭 유지하자. 기존 약관 그대로 유지된다. 2015년 11월에는 계좌이동제에 맞춰 주거래 우대통장을 내놓았으나, 최소 2개 요건을 만족해야 수수료 혜택이 주어진다. 물론 면제 횟수 제한도 있다. 오히려 급여자작[* 지정일 방식 혹은 문구 방식의 선택이 가능하나, 특이하게도 문구 방식을 선택하면 특정 문구를 직접 지정하라고 한다. "급여"같은 직접적인 문구는 지정이 안 되고, 아무거나 비슷한 의미로 지정하면 된다. 통장에 해당 지정문구가 친절하게 찍혀 나오며, 그 문구를 넣어서 급여자작하면 된다.] 한 번이라도 해서 쓰면 되는[* 자작 한 번만 해도 전자금융 수수료 및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수수료 통합 면제 20회 기본 확보다.] 직장인우대통장보다 조건을 맞추기가 더 어렵다. 라디오에서는 "행복파트너통장"을 선전하고 있지만, 이거는 50대부터 가입이 가능하다. 영플러스 통장의 경우는 무통장식으로 선택하면 10회를 더 부여한다. 그런데 그래 보았자 최대 20회다. 그나마 장점이 있다면, 입출금상품의 경우 전환가입에 있어서 [[BNK부산은행]]보다 좀 더 플렉서블하다는 것. 인터넷뱅킹에서 자신이 갖고 있는 통장 상품을 다른 상품으로 전환가입할 수 있다. 자신의 연령대와 사용 기간에 따라 지금 전환가입이 가능한 상품들을 (차등적으로) 보여 주며, 그 중 본인이 선택해서 전환하면 된다. [[체크카드]] 중 [[단디카드|단디]], 단디[[그린카드(대한민국의 금융상품)|그린]], 영플러스([[마스터카드|마스터]]버전 포함)의 전월 실적 충족시 월 10회 시간외 현금인출 수수료를 면제해 준다. 단디카드가 10만 원이고 나머지는 20만 원이다. 2019년 4월 9일 my smart 비대면전용 [[통장]]이 출시되었다. 기존 회원도 가입할수 있으며, 타행자동이체 월 무제한 [[인터넷뱅킹]], 스마트뱅킹 합쳐서 월 30회/ATM 인출 수수료 월 10회 수수료가 면제되고 면제 횟수의 이월은 안 된다. 2019년 10월 14일부터는 CU에서 출금만 면제된다. ATM의 RF거래 기능은 UbiTouch의 서비스 종료로 작동하지 않는다. 반대로 NH농협의 경우 입금 빼곤 타행도 가능하다. 입금은 후불교통 기능을 활성화한 자사 카드만 가능. 그러므로 해외용 삼성전자 단말기나 누워있는 와이파이가 그려진 카드는 다른 ATM에 가자. === 전자금융 === 2015년 12월에 스마트폰 뱅킹 앱 “iM뱅크”를 런칭했으며, 기존의 “대구은행 스마트뱅크”는 2020년 2월 18일 종료되었다. 다른 은행들은 보통 하나씩 가지고 있는 [[SWIFT 코드]]를 2개나 가지고 있다. [[수성동2가]] 본점 주소로 등록된 DAEBKR22와 [[명동|다동]]에 있는 서울영업부 주소로 등록된 DAEBKR22SEL. 게다가 CHIPS UID도 따로따로 가지고 있다. 2013년 여름부터 [[오픈인터넷뱅킹]]을 시작하였다. 2015년 3월에 스마트뱅크 앱이 업데이트된 후 타행 공인인증서를 등록하여 사용할 때 하나 번거로운 점이 생겼다. 타행 인증서를 갱신하고 스마트폰에 복사했음에도, 갱신하기 전의 인증서가 목록에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이 때는 해당 인증서를 목록에서 삭제하고, 스마트폰에 저장되어 있는 새 인증서를 다시 불러와야 한다. 타행 [[OTP]]를 등록하고 이용시에도 한 가지 번거로운 게, 해당 [[OTP]]를 갱신할 때 '''반드시 갱신 전에 쓰던 OTP 등록을 해지한 후''' 새 OTP를 등록해야 한다. 거래알림 푸시는 DGB알리미 앱을 이용했다. 그러다가 2020년 7월에 iM뱅크 앱을 업데이트하면서 스마트폰뱅킹 앱에 알리미를 내장하기 시작했다. === [[교통카드]] === [[대경교통카드]], [[탑패스]], [[원패스]]의 발급사인 [[iM유페이]]를 계열사로 두고 있어서 [[교통카드]]와 iM뱅크 계좌를 연결시키면 교통카드만 가지고 있어도 iM뱅크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서 계좌 잔액을 땡겨다가 교통카드를 충전할 수 있다. 단, 교통카드를 RF판에 올려놓은 후 [[현금카드]]를 넣어서 비밀번호와 충전금액을 입력하고 충전하는 '''시중은행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의 계좌이체 충전 방식과 크게 다르다.'''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을 보면 알겠지만, RF판에 교통카드를 올린 후 "대구은행 계좌연결"을 선택해야 계좌이체 충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해당 카드의 계좌연결 해제는 iM뱅크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서 가능하다. iM뱅크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서는 교통카드를 1천 원부터 천 원 단위로 충전할 수 있다. 대구 외 소재 지점에도 [[UbiTouch]] 동글이 달려 있는 ATM이 있기 때문에 충전이 가능하다. [[탑패스]], [[원패스]]를 계좌이체해서 충전하면 거래 내역에 "신교통"이라고 찍힌다. 탑패스 ATM 충전 서비스는 합병 이전부터 제휴를 통해 이뤄졌지만, 정작 당시 ATM 코너에는 [[대경교통카드]] 충전가능 스티커만 붙어 있었다. 2013년 3월에 카드넷이 [[iM유페이|DGB유페이]]에 합병되면서 [[대경교통카드]]가 2014년에 단종되었는데, 아직도 iM뱅크 비씨 [[체크카드]]에 들어가는 [[선불교통카드]]는 [[탑패스]]가 아니고 [[대경교통카드]]다. 일반 체크카드는 구 자재를 털어내고 신 자재부터 [[탑패스]]나 [[원패스]]로 바꾸면 되겠지만, 신분증형 제휴 카드는 [[교통카드]]뿐만 아니라 출입 통제에도 쓰이기 때문에 당분간 Ubi [[체크카드]]에서는 [[대경교통카드]] 마크를 계속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2014년]] [[11월 17일]]에 [[비씨 글로벌]]을 달고 출시된 [[대구백화점]] 제휴 [[체크카드]]인 대백플러스 [[체크카드]]에도 [[대경교통카드]] 선택사양이 있다. 하지만 [[국토교통부]]의 압력으로 2017년 3월에 대구권 대학교들의 은행연계 학생증이 [[원패스]]로 바뀔 예정이라 [[선불교통카드]] 사양이 바뀔 지에 대해서는 그 이후를 지켜보아야 할 것으로 보이지만, 2021년까지 바뀌지 않았다. 그러다가 2022년부터 Ubi 체크카드에서의 대경교통카드 사양이 제거되고, iM뱅크 비씨 체크카드 중 아이조아 체크카드는 이미 2019년부터 원패스로 바뀐 상황이다. 그러나 영플러스, 해피포인트, 대백플러스 체크카드는 2024년 기준으로도 여전히 대경교통카드가 탑재되고 있다. iM뱅크 지점 창구에서 [[대경교통카드]], [[탑패스]], [[원패스]]의 잔액 이전도 가능하지만, 동종 카드 간에만 가능하다. [[교통카드]]가 손상되어 창구의 교통카드 인식용 기계에서 못 읽어내면 잔액 이전이 안 되며, 해당 카드를 iM뱅크 창구에서 수수료 200원을 떼고 환불받거나 [[iM유페이]]로 넘겨서 환불 처리를 한다. 후불교통카드 [[payOn]]을 제외하면 마지막 남은 '''[[MIFARE]] Classic''' 기반 교통카드이다. === [[현금카드]] === [[체크카드]]가 아닌 일반 '''[[금융IC카드]][* 이 일반 [[금융IC카드]] 발급비가 2천 원이라는 게 크리. 유효기간은 당연히 없다.]에 [[직불카드]] 기능이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는데, 인지세 1천 원을 내고(인터넷뱅킹에도 있음) 직불카드를 활성화시키면 해외에서 [[마에스트로 카드]], 즉 [[국제현금카드]]로 사용할 수 있다. 고로 [[금융IC카드]] 발급비는 총 3천 원이다. 이 금융IC카드에는 [[K-Cash]]도 장착되어 있'''었'''다.[* 이는 [[대경교통카드]] 사용불가 지역이자 구 [[센스패스]] 지역이었던 [[안동시]], [[포항시]]를 위해 탑재한 것이기도 했다. 실제로 [[https://www.dgb.co.kr/cms/site/esb/sdj_72/sdj_722/sdj_7221/sdj_72211/1188267_2006.html|Ubi-ID 카드 안내]]를 보면 포항/안동 교통카드로 나와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지금은 K-Cash 사업이 종료되었고 센스패스가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 [[/카드|카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iM뱅크/카드)] === [[군인적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군인적금)] === 우수고객제도 === [[신한은행]]의 우수고객 우대 프로그램인 "탑스클럽"처럼 iM뱅크와 거래한 실적에 따라 부여되는 '''"DGB VIP 고객 등급"'''을 받아야 그나마 수수료 면제 혜택이 많이 주어지는 편이다. 단, VIP 안에서도 가장 낮은 Prime부터 시작하여 Ace, Top, Gold 순서로 최상위의 Royal 등급이 있다. VIP 등급으로 선정되면, 모든 VIP 고객에게는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을 통한 타행 송금 수수료 및 영업시간 외 iM뱅크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현금출금 수수료가 기본으로 면제된다. 통장도 "VIP 고객 통장"으로 따로 찍혀서 나온다. Ace 이상 등급을 받으면 그 악명 높은 [[보안카드]] 재발급 수수료도 아예 안 받으며, Top 이상의 등급을 받으면 [[OTP]]도 무료다. [[체크카드]] 발급비도 Ace 등급부터는 아예 안 받는다. 자세한 내용은 iM뱅크 홈페이지의 "금융서비스" - "프라이빗 뱅크" - "DGB VIP" - "우수고객제도"에 나와 있으니 참고. == [[/사건 사고|사건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iM뱅크/사건 사고)] == 여담 == [[파일:external/dk.breaknews.com/201203165603506.jpg]] * [[수성구]] [[수성동2가]] 본점 앞에 [[대구 도시철도 2호선|2호선]] [[대구은행역]]이 있는데 전국 최초로 상업 은행명이 전철 역명으로 쓰인 경우이다. 참고로 현재 전철 역명으로 상업 은행명을 사용하는 곳은 대구은행과 [[BNK부산은행]](2014년 [[부산 도시철도 2호선]]에 생긴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둘 뿐이다. 대구은행역과 본점이 있는 네거리도 대구은행네거리인데 대구은행네거리에서 [[범어역]] 쪽으로 가면 수성네거리가 나온다. 수성동2가 본점 영업부에 한하여 미국 달러, 일본 엔(JPY), 유럽연합 유로(EUR) 주화 환전이 가능하다. * 통장 출금시 따로 승인번호가 없고 4자리의 계좌 비밀번호만 이용한다. 즉, 대구은행을 오랫동안 쓰다가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에서 통장으로 출금 및 계좌이체할 때 계좌 비밀번호 외에 5~6자리 승인번호를 1번 더 요구하는 은행들을 이용하면 컬쳐 쇼크가 밀려온다. * 인터넷뱅킹에서 상품의 전환가입이 가능한 특성 때문에, 일반저축예금 [[뱅크라인통장]]을 이용하다가 영플러스통장이나 직장인우대통장으로 전환가입시에도 통장 이월은 뱅크라인통장 그대로 해 준다. 이는 타 속성 그대로 뱅크라인통장이 가능한 [[BNK부산은행]]과 더불어 유이하다. 아예 처음부터 뱅크라인통장으로 받은 후, 인터넷뱅킹에 들어가서 입맛에 맞는 상품으로 전환가입하면 된다. * 2003년 창단 당시부터 프로축구팀 [[대구 FC]]의 메인 스폰서를 맡고 있으며, 2019년부터 [[대구 FC]]의 새 축구전용구장의 [[명명권]]을 구입하여 [[DGB대구은행파크]]로 이름을 바꿔서 홍보 활동을 하고 있다. 또 야구에도 관심이 있는지 2018년부터 [[삼성 라이온즈]]의 스폰서로 참여하고 있으며, [[헐크파운데이션]]과 함께 [[DGB금융지주]]의 이름으로 [[라오스]] 내 야구 경기장을 짓고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1&aid=0012130092|대회 개최도 하고 있다.]] * 2017년 기준 연말마다 200여 개 지점에서 업무가 제일 성실하고 바른 비정규직 1명을 선정해서 정규직으로 전환한다고 한다. 본사에서 수시로 모니터링하며, 감시관이 칭찬 점수를 준다. [[GS25]]의 제도와 유사하다. 200여 명 중 1등을 뽑는 거라 모양새가 좀 그렇다. 다만 정규직으로 승격되면 여태까지의 짬이 경력으로 인정되어 높은 직급으로 시작할 수 있다. 2020년 이후로 폐지되었다. * 비시즌만 되면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선수들이 iM뱅크 제2본점 체육관에서 훈련을 진행한다. 다만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농구단의 스폰서는 정작 [[하나은행]]이다. 왜냐하면 [[한국가스공사]]의 [[주거래 은행]]은 가스공사 본사가 대구로 이전하기 전부터 하나은행이었기 때문이다. * 2024년 5월 21일, 황병우 DGB금융지주 회장 겸 은행장은 지역신문과의 인터뷰에서 2024년 7월에 서울 마포구에 디지털본부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article/088/0000879394|#]] == 관련 문헌 == * [[https://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pageNum=1&pageSize=30&order=&sort=&srchTarget=total&kwd=%EB%8C%80%EA%B5%AC%EC%9D%80%ED%96%89&systemType=&lnbTypeName=&category=%EB%8F%84%EC%84%9C&hanjaFlag=&reSrchFlag=&licYn=&kdcName1s=&manageName=&langName=&ipubYear=&pubyearName=&seShelfCode=&detailSearch=&seriesName=&mediaCode=&offerDbcode2s=&f1=&v1=&f2=&v2=&f3=&v3=&f4=&v4=&and1=&and2=&and3=&and4=&and5=&and6=&and7=&and8=&and9=&and10=&and11=&and12=&isbnOp=&isbnCode=&guCode2=&guCode3=&guCode4=&guCode5=&guCode6=&guCode7=&guCode8=&guCode11=&gu2=&gu7=&gu8=&gu9=&gu10=&gu12=&gu13=&gu14=&gu15=&gu16=&subject=&sYear=&eYear=&sRegDate=&eRegDate=&typeCode=&acConNo=&acConNoSubject=&infoTxt=#viewKey=65373&viewType=AH1&category=%EB%8F%84%EC%84%9C&pageIdx=16&jourId=|대구은행 오년 (1972)]] *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MONO1198004441&queryText=&zone=&fieldText=&prevQueryText=%EB%8C%80%EA%B5%AC%EC%9D%80%ED%96%89+%EB%85%84%EC%82%AC%3AALL_NI_TOC%3AAND&prevPubYearFieldText=&languageCode=&synonymYn=&refineSearchYn=&pageNum=&pageSize=&orderBy=&topMainMenuCode=&topSubMenuCode=&totalSize=4&totalSizeByMenu=4&seqNo=&hanjaYn=Y&knowPub=&isdb=&isdbsvc=&tt1=&down=&checkedDbIdList=&baseDbId=&selectedDbIndexIdList=&caller=&asideState=&dpBranch=ALL&journalKind=&selZone=ALL_NI_TOC&searchQuery=+%EB%8C%80%EA%B5%AC%EC%9D%80%ED%96%89+%EB%85%84%EC%82%AC|대구은행 십년사 (1977)]] *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MONO1199202290&queryText=&zone=&fieldText=&prevQueryText=%EB%8C%80%EA%B5%AC%EC%9D%80%ED%96%89+%EB%85%84%EC%82%AC%3AALL_NI_TOC%3AAND&prevPubYearFieldText=&languageCode=&synonymYn=&refineSearchYn=&pageNum=&pageSize=&orderBy=&topMainMenuCode=&topSubMenuCode=&totalSize=4&totalSizeByMenu=4&seqNo=&hanjaYn=Y&knowPub=&isdb=&isdbsvc=&tt1=&down=&checkedDbIdList=&baseDbId=&selectedDbIndexIdList=&caller=&asideState=&dpBranch=ALL&journalKind=&selZone=ALL_NI_TOC&searchQuery=+%EB%8C%80%EA%B5%AC%EC%9D%80%ED%96%89+%EB%85%84%EC%82%AC|대구은행 이십년사 (1987)]] * [[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Detail.do?searchType=INNER_SEARCH&resultType=INNER_SEARCH_DETAIL&searchMehtod=L&searchClass=S&controlNo=MONO1199711299&queryText=&zone=&fieldText=&prevQueryText=%EB%8C%80%EA%B5%AC%EC%9D%80%ED%96%89+%EB%85%84%EC%82%AC%3AALL_NI_TOC%3AAND&prevPubYearFieldText=&languageCode=&synonymYn=&refineSearchYn=&pageNum=&pageSize=&orderBy=&topMainMenuCode=&topSubMenuCode=&totalSize=4&totalSizeByMenu=4&seqNo=&hanjaYn=Y&knowPub=&isdb=&isdbsvc=&tt1=&down=&checkedDbIdList=&baseDbId=&selectedDbIndexIdList=&caller=&asideState=&dpBranch=ALL&journalKind=&selZone=ALL_NI_TOC&searchQuery=+%EB%8C%80%EA%B5%AC%EC%9D%80%ED%96%89+%EB%85%84%EC%82%AC|대구은행 삼십년사 (1997)]] * [[https://nl.go.kr/NL/contents/search.do?resultType=&pageNum=1&pageSize=100&order=asc&sort=ipub_year&srchTarget=total&kwd=%EB%8C%80%EA%B5%AC%EC%9D%80%ED%96%89&systemType=&lnbTypeName=&category=%EB%8F%84%EC%84%9C&hanjaFlag=&reSrchFlag=&licYn=&kdcName1s=&manageName=&langName=&ipubYear=&pubyearName=&seShelfCode=&detailSearch=&seriesName=&mediaCode=&offerDbcode2s=&f1=&v1=&f2=&v2=&f3=&v3=&f4=&v4=&and1=&and2=&and3=&and4=&and5=&and6=&and7=&and8=&and9=&and10=&and11=&and12=&isbnOp=&isbnCode=&guCode2=&guCode3=&guCode4=&guCode5=&guCode6=&guCode7=&guCode8=&guCode11=&gu2=&gu7=&gu8=&gu9=&gu10=&gu12=&gu13=&gu14=&gu15=&gu16=&subject=&sYear=&eYear=&sRegDate=&eRegDate=&typeCode=&acConNo=&acConNoSubject=&infoTxt=#viewKey=92420796&viewType=AH1&category=%EB%8F%84%EC%84%9C&pageIdx=22&jourId=|지역사랑 35년 (2002)]] * [[https://www.dgb.co.kr/cms/dgi/sdd_1/sdd_19/1221651_5691.html|DGB대구은행 50년사 (2017)]]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광역시 소재 대기업 본사)] [[분류:iM뱅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