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iPhone 13)] [include(틀:관련 문서,top1=iPhone 13 mini,top2=iPhone 13 Pro,top3=iPhone 13 Pro Max)] [목차] == 개요 == [[Apple]]이 2021년 9월 15일에 공개한 [[iOS]] [[스마트폰]]인 [[iPhone]] [[iPhone 13 mini|13 mini]] | [[iPhone 13|13]] | [[iPhone 13 Pro|13 Pro]] | [[iPhone 13 Pro Max|13 Pro Max]]가 공개되기 직전까지 관련 커뮤니티와 언론을 통해 알려진 각종 루머를 정리한 문서. == 공개 전 루머 == === 2020년 === * 2020년 11월 7일, Apple 전문 분석가 [[궈밍지]]의 주장에 따르면 iPhone 13 mini, iPhone 13, iPhone 13 Pro, iPhone 13 Pro Max 총 4종의 모델로 출시되며, 카메라의 업그레이드가 있을 것이라고 한다. * 2020년 11월 10일, 국내 IT 매체 ‘디 일렉’에 따르면 2021년 출시되는 iPhone의 최소 2개 모델에 LTPO OLED 디스플레이가 채택될 것이며, 이 정보가 맞다면 iPhone 13 Pro, iPhone 13 Pro Max 모델에 120Hz 가변 주사율이 가능한 [[ProMotion]] 기능이 탑재될 것으로 보인다. * 2020년 11월 17일, Apple 전문 분석가 [[궈밍지]]의 주장에 따르면 iPhone 13 시리즈에는 ‘소프트 보드 배터리’라는 기술을 탑재하여 배터리의 크기가 더 작아질 수 있다고 한다. 이 경우 셀의 밀도가 개선되어 용량은 유지하되 크기를 줄이거나 용량을 늘리되 크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 2020년 11월 19일, 국내 IT 매체 디 일렉에 따르면 '중국의 디스플레이 업체 BOE가 iPhone용 OLED 패널에 대한 Apple의 테스트에서 탈락했으며, 이로써 iPhone 13의 패널은 [[삼성디스플레이]] 또는 [[LG디스플레이]]가 공급하는 것이 유력하다’고 한다. * 2020년 12월 20일, BIZCHINA의 보도에 따르면 iPhone 13 시리즈의 노치가 줄어들고 LiDAR 스캐너 탑재 라인업이 확대될 것이라고 한다. * 2020년 12월 30일, 국내 IT매체 전자신문은 iPhone 13 시리즈 중 iPhone 13 Pro, iPhone 13 Pro Max 라인업에 국내 디스플레이의 LTPO OLED가 탑재되어 가변 120hz 주사율을 지원하며 나머지 iPhone 13, iPhone 13 mini에는 LTPS OLED가 탑재될 것이라 밝혔다. === 2021년 === * 2021년 1월 17일, 일본의 블로거 맥 오타카라의 주장에 따르면 4종의 iPhone 모두 0.26mm씩 두께가 증가하고, 카메라 디자인은 렌즈를 모두 덮는 디자인이 될 것이라고 한다. 또한 iPhone 13 Pro와 iPhone 13 Pro Max 모두 카메라 모듈 크기가 동일하다고 밝혔다. * 2021년 1월 18일, 블룸버그 통신에 의하면 가칭 iPhone 13의 명칭은 ‘iPhone 12s’가 될 것이며, 화면 내장 지문인식 센서가 탑재될 것이라 밝혔으며, Lightning 커넥터가 사라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궈밍지]]의 예상에 따르면 앞으로도 Apple이 iPhone에 Lightning을 포기할 가능성은 없다고 한다. * 2021년 1월 20일, [[궈밍지]]의 주장에 따르면 Apple은 발열 해소를 위해 ‘iPhone용 베이퍼 챔버 시스템’을 테스트 중이며, 2021년에 출시되는 iPhone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 이번 아이폰에 [[Always On Display|AOD]] 기능이 탑재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AOD와 향상된 칩셋 등의 영향인지 13시리즈는 모두 배터리의 용량 증가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iPhone 13 mini: 2,406mAh (전작 2,227mAh)[br]iPhone 13 및 iPhone 13 Pro: 3,095mAh (전작 2,815mAh)[br]iPhone 13 Pro Max: 4,352mAh (전작 3,687mAh)] 그러나 디스플레이 상의 [[Touch ID|지문인식]] 기능은 적용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2021년 1월 21일, 대만의 IT 매체 ‘디지타임스’의 보도에 따르면, iPhone 13에는 새롭게 설계된 [[Face ID]] 모듈이 탑재되며, 후면 LiDAR 스캐너와 같은 모듈에 투광 일루미네이터와 같은 모듈을 통합하여 노치의 크기가 줄어들 것이고, iPhone 13 Pro에는 전작인 [[iPhone 12]]보다 해상력이 뛰어난 소니의 이미지 센서가 탑재될 것이라 밝혔다. * 2021년 1월 27일, IT매체 MacRumors의 바클레이즈 영국 투자은행 보고서 인용보도에 따르면 Apple이 올해 출시할 iPhone 13에 Wi-Fi 6E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라고 한다. * 2021년 1월 30일, 월 스트리트 저널의 조아나 스턴의 보도에 따르면, Apple은 iPhone 13에 탑재될 스크린 내장 지문인식 센서를 개발 중이라 밝혔으며, 광학식 지문인식 방식을 테스트 중이라 밝혔다. * 높은 확률로 [[LTPO 디스플레이]]와 함께 iPhone 13 Pro, iPhone 13 Pro Max 한정으로 120Hz의 주사율이 적용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 RAM은 전작과 같이 기본 모델은 4 GB, Pro 모델은 6 GB RAM이 탑재될 가능성이 높다. * TSMC의 제조단가 인상에 따라 전작에 비해 가격이 3%~5%가량 인상될 가능성이 있다.[* 애플은 가격 인상 이전 미리 1억대 가량 부품을 공급받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또한 가격 인상은 7nm 공정 이상이기 때문에 5nm+ 공정을 사용하는 아이폰 13은 가격 인상에 해당되지 않을 수 있다.][* 한 IT 매체에서 아이폰 13 시리즈의 중국 가격을 유출하였는데, 유출된 가격은 12 시리즈와 모두 동일하였다.] * iPhone 13 Pro, iPhone 13 Pro Max에 스마트폰 최초로 1TB 저장용량이 탑재될 가능성이 있다. * 8월 28일, [[https://www.gizchina.com/2021/08/28/iphone-13-series-price-list-will-exceed-2000/|Gizchina]]에 따르면 프로 라인업에서 256GB 옵션이 빠지고 512GB의 가격이 600위안(약 10만원) 인하된다고 한다. 또한 프로 라인업에 1TB 옵션이 추가되며 가격은 프로 13299위안[* 한화 약 240만원], 프로 맥스 14099위안[* 한화 약 255만원]이라고 한다. * 한국 시간으로 9월 8일 새벽 1시경에 발송된 Apple Event 초대장 홀로그램 등을 통해 보이는 애니메이션으로 Always-On Display(AOD) 기능이 탑재되는 것으로 유추되고 있다. * 2021년 9월 12일 국내 IT매체 ‘전자신문’은 iPhone 13의 1차 출시국 발매일을 2021년 9월 24일로, 국내 출시는 2021년 10월 1일이 될 거라는 소식을 전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5&oid=030&aid=0002969033|#]] 이와 함께 한국이 1차 출시국에서 제외된 이유를 사전예약 기간이 추석 연휴와 겹쳤기 때문으로 설명했다. * 위성통신을 통해 구조대에 비상연락을 할 수 있게끔 한다는 루머가 존재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iPhone 13, version=250)] [[분류:iPhone 13]][[분류:공개 전 정보(스마트 기기)/Ap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