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에로게]][[분류:1998년 게임]][[분류:야애니]][[분류:2000년 애니메이션]] ||<-2>
{{{#000000,#dddddd '''{{{+1 러브 웨이브}}}'''[br]''luv wave''[br]ラヴ・ウェーブ}}}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63783480_145008536-gigapixel.jpg|width=100%]]}}} || || '''{{{#000000,#dddddd 발매}}}''' ||C's ware || || '''{{{#000000,#dddddd 장르}}}''' ||[[어드벤처 게임]] || || '''{{{#000000,#dddddd 시나리오}}}''' ||야마토 타마키(大和環) || || '''{{{#000000,#dddddd 캐릭터 디자인}}}''' ||<|2>에자키 미노루(江崎稔) || || '''{{{#000000,#dddddd 원화}}}''' || || '''{{{#000000,#dddddd 음악}}}''' ||오가타 마사후미(尾形雅史) || || '''{{{#000000,#dddddd 플랫폼}}}''' ||[[Microsoft Windows 95|[[파일:Windows 95 로고.svg|height=16]]]] | [[Microsoft Windows 98|[[파일:Windows 98 로고.svg|height=16]]]] || || '''{{{#000000,#dddddd 출시}}}'''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1998년 7월 31일 || || '''{{{#000000,#dddddd 한국어 지원}}}''' ||미지원 || || '''{{{#000000,#dddddd 심의 등급}}}''' ||'''{{{#000000,#dddddd 심의 없음}}}''' || || '''{{{#000000,#dddddd 해외 등급}}}''' ||'''{{{#000000,#dddddd 18금}}}''' || || '''{{{#000000,#dddddd 관련 사이트}}}''' ||[[http://www.csware.co.jp/products/luvwave/luvwave.htm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현재 폐쇄 상태.] || [목차] [clearfix] == 개요 == 'C's Ware'에서 발매한 [[에로게]]. [[공각기동대]]처럼 [[전뇌화]]가 발달한 근미래의 [[도쿄]]가 배경으로, 갑자기 전세계적으로 들이닥친 컴퓨터 바이러스와 죽어도 되살아나는 정체불명의 크래커에 관한 사건을 풀어나가고 진상에 다가가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멀티 엔딩으로 진행되며, 엔딩은 총 8개. 메인 히로인 앨리스를 비롯한 등장인물들의 결말이 주인공의 행동에 따라 변화한다. 시나리오를 중시하는 게임 치고는 H신이 다수 존재하는 편. 다만 플레이하기에는 이런저런 애로사항이 많다. 버그나 오자가 많고, UI 성능도 떨어지는데다 세이브 로드 기능 역시 한정되어 있어서 현 세대 기준으로는 매우 불친절하다. 이런 UI로 여기저기를 오고가고 대화를 반복하는 노가다가 없으면 스토리를 진행시키지 못하는데, 환장하게도 각 엔딩의 조건 분기도 난이도가 높은데다 스킵 기능도 써먹기가 힘들다. 원작자 야마토 타마키의 [[https://amatsukami.jp/pukiwiki/?Products/luvwave|홈페이지]]에서 개발 비하인드 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다. == 스토리 == >서력 2039년 9월, 도쿄. XINN이라는 이름의 컴퓨터 바이러스가 전세계를 떨치고, 아직 그 상흔이 낫지 않을 무렵, 미코가미 카오루에게 암살 지령이 하나 내려온다. 청년 실업가 머시 스펙터를 암살하라고. 카오루가 소속된 제첩(帝諜) 13과는 임무 달성률 100%를 자랑하는 암살 집단. 카오루는 머시의 암살을 성공시키고, 그 달성률을 유지하는 듯 보였으나 그 다음 날, 다시 머시 스펙터의 암살 지령이!? 녀석은 죽은 것이 아니었나? 바이러스 XINN과 머시 스펙터를 통해 일어나는 수많은 사건. 머시는 어떤 자인가? 그리고 XINN이란 대체 무엇인가. 진상에 가까워져 가면서, 사건은 더욱 가까이 다가와 마치 카오루를 노리는 것처럼 음습해온다……. >---- >[[Getchu]] 소개 페이지 == 등장인물 == 성우는 OVA판에서만 참여했다. [[파일:Iuv_A037.jpg]] * 미코가미 카오루(御子神 薫) * 성우: [[히야마 노부유키]] 주인공. 제실국(帝室国) 안전조사실 특무과 첩보국(이하 '제첩(帝諜)')의 제 13과 소속 에이전트. [[파일:Iuv_A015.jpg|width=450]] * 앨리스(アリス / Alice) * 성우: 키무라 케이코(木村圭子) 제첩 13과 소속 에이전트이자 카오루의 파트너. 미 육군이 개발한 군용 안드로이드. [[파일:Iuv_A036.jpg]] * 미코가미 마모루(御子神 衛) * 성우: [[타카노 나오코|야마노 미레이(山野美嶺)]] 카오루의 친 여동생이자 공안의 수사관. [[파일:Iuv_A043.jpg|width=450]] * 마히토 마유미(真人 真由美) * 성우: [[카와사키 에리코|하즈키 미카]] * 스티븐 메이휴(スティーブン・メイヒュー / Stephen Mayhew) * 성우: 아오키 스스무(青木進) * 타키가와 카나코(多岐川 加奈子) * 성우: 우사우사Y(うさうさY) 제첩의 엔지니어. [[파일:Iuv_A023.jpg]] * 야마시타 키요카(山下 聖香) * 성우: YUMIKO [[파일:Iuv_A072.jpg]] * 다인 와이즈맨(ダイン・ワイズマン / Dyne Wiseman) * 성우: 타쿠미 요우(匠搖) 웨즈마의 수하. [[파일:Iuv_A071.jpg]] * 타카시마 유리(高階 ユリ) 카오루의 연인.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상이자 크래커를 겸하는 '바이너리 브로커'로, 아리스가 입수한 머시의 가방에 있던 데이터의 분석을 의뢰받는다. * 마히토 쿄코(真人 京子) 정크샵 '기계옥'을 운영하는 수수께끼의 점주 여성. * 웨즈마 디오르그(ウェズマ / Wezmar Diorg) * 성우: [[와카모토 노리오|히루마 쿄노스케(比留間狂之介)]] * 머시 스펙터(マシー・スペクター) 일본으로 망명을 온 미국 출신의 청년 실업가이자 천재 해커. CIA로부터 극비 정보를 훔친 것을 계기로 미국 대사관으로부터 암살 지령을 받게 되었고, 작중에서는 초반부터 VIP 룸에서 의뢰를 받은 카오루에게 암살당했다. 그러나 사실 그의 뇌내에는 'NINE-HEAVEN'이라는 마약을 이용해 탄생한 다른 인격이 존재하는데다, 그 인격의 본체가 네트워크상에 있었기에 죽여도 죽여도 나타나며 끈질기게 카오루를 괴롭힌다. == 미디어 믹스 == === [[야애니|성인 OVA]] === ||<-2>
{{{#373a3c,#dddddd '''{{{+1 그녀는 사이보그!}}}''' (2000)[br]''luv wave''[br]ラヴ・ウェーブ}}}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37018.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373a3c,#dddddd 원작}}}''' ||'luv wave' (C's Ware) || || '''{{{#373a3c,#dddddd 기획}}}''' ||피스톤 호라구치(ビストン洞口) || || '''{{{#373a3c,#dddddd 통합 프로듀서}}}''' ||란 코타로(乱交太郎) || || '''{{{#373a3c,#dddddd 프로듀서}}}''' ||타나카 타츠야(田中辰弥)[br]텐치 유다이(天地悠大)[br]쿠마베 쇼지(隈部昌二) || || '''{{{#373a3c,#dddddd 감독}}}''' ||[[카나자와 카츠마]] || || '''{{{#373a3c,#dddddd 각본}}}''' ||[[요시오카 타카오]] || || '''{{{#373a3c,#dddddd 그림 콘티}}}''' ||코야마 카즈히로(小山和弘) || || '''{{{#373a3c,#dddddd 그림 콘티}}}''' ||<|2>아미야 마사카즈(阿宮正和)[br]콘도 노부타카(近藤伸隆) || || '''{{{#373a3c,#dddddd 연출}}}''' || || '''{{{#373a3c,#dddddd 캐릭터 원안}}}''' ||미우라 타케히로(みうらたけひろ) || || '''{{{#373a3c,#dddddd 캐릭터 디자인}}}''' ||이이지마 히로야(飯島弘也) || || '''{{{#373a3c,#dddddd 메카닉 디자인}}}''' ||[[하시모토 타카시(애니메이터)|하시모토 타카시]] || || '''{{{#373a3c,#dddddd 슈퍼바이저}}}''' ||Dr.POCHI || || '''{{{#373a3c,#dddddd 미술 감독}}}''' ||이케바타 시게루(池端茂) || || '''{{{#373a3c,#dddddd 색채 설정}}}''' ||<|2>노구치 미노루(野口稔) || || '''{{{#373a3c,#dddddd 색지정}}}''' || || '''{{{#373a3c,#dddddd 촬영 감독}}}''' ||시마다 나기사(嶋田渚) || || '''{{{#373a3c,#dddddd 음향 감독}}}''' ||이와타 야스히로(岩田靖弘) || || '''{{{#373a3c,#dddddd 음악}}}''' ||에릭 챠테이(エリック茶亭) || || '''{{{#373a3c,#dddddd 제작 진행}}}''' ||호리카와 카츠토시(堀川勝年) || || '''{{{#373a3c,#dddddd 제작 협력}}}''' ||스튜디오 쿠마(スタジオ九魔)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암스(기업)|TripleX]] || || '''{{{#373a3c,#dddddd 제작}}}''' ||[[핑크 파인애플|[[파일:PinkPineapple.png|height=20]]]][br][[디스커버리|DISCOVERY]] || || '''{{{#373a3c,#dddddd 발매 기간}}}''' ||2000. 03. 24. ~ 2000. 10. 27.[br]2009. 12. 25. ,,(골든 디스크),,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박스]] || || '''{{{#373a3c,#dddddd 편당 방영 시간}}}''' ||30분 || || '''{{{#373a3c,#dddddd 화수}}}''' ||3화 || || '''{{{#373a3c,#dddddd 국내 심의 등급}}}'''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19세 이상 시청가}}}]] || }}}}}}}}} ||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 '''발매일''' || || {{{-3 The 1st process}}} || {{{-3 コネクト[br]커넥트}}} || {{{-3 2000.03.24.}}} || || {{{-3 The 2nd process}}} || {{{-3 プロトコル[br]프로토콜}}} || {{{-3 2000.07.28.}}} || || {{{-3 The 3rd process}}} || {{{-3 ネクロス[br]네크로스}}} || {{{-3 2000.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