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게키츄마이)] [include(틀:maimai 시리즈)] [목차] == 개요 == [[파일:maimai DX Logo.png]] ||<|2> '''{{{#white 가동 날짜}}}'''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2019년]] [[7월 11일]][br] '''197일''' 가동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대한민국]] || [[2020년]] [[1월 15일]][br] '''197일''' 가동 || ||<|2> '''{{{#white 차기작 업데이트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일본]] || [[2020년]] [[1월 23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대한민국]] || [[2020년]] [[7월 29일]] || ||<-3> [[https://maimai.sega.jp/|공식 홈페이지]] / [[https://maimai.sega.com|해외판 홈페이지]] || [[SEGA]]에서 새로 출시한 리듬게임. 기존작인 [[maimai]]를 계승하며, 일본에서는 2019년 7월 11일에 가동을 시작하였다. 새로운 기체에서만 플레이 가능하며, 기존의 기체에서는 업그레이드가 불가능하다. 기체가 변경됨에 따라 기판도 [[RINGEDGE]] 2에서 [[ALLS]] HX2로 변경되었다. 2019년 11월 25일에 해외판 사이트가 개설되었으며, 2019년 11월 26일 [[https://rra.go.kr/ko/license/A_b_popup.do?app_no=201917210000301503|국립전파연구원 적합성평가에 적합등록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이후 2019년 12월 26일에 [[https://www.grac.or.kr/Statistics/Popup/Pop_ReasonInfo.aspx?c04e78275a549b7d681fba12e914a33ba6c813a6a053e8e5ec12581d53453bb0|게임물관리위원회로부터 전체이용가로 심의를 통과하였다.]] 이후 2020년 1월 15일에 가동 시작. 국내 유통사는 [[연세어뮤즈먼트]], 퍼블리셔는 [[UNIANA]]이며 중국 내 유통사는 华立科技[* 영문명 WAHLAP. 중국의 아케이드 유통/제조업체 중 하나다. 중국산 아케이드게임 몇몇이 이 회사의 손을 거쳤으며, 그루브 코스터도 이 회사에서 유통한다.]이다. 한국 기준 기체가격은 약 2500만원. 2020년 1월 초에 한국어 포스터가 [[https://twitter.com/_thebunker_/status/1215178937896062982?s=19|발부]]되었고 2020년 1월 15일부터 입고가 시작되었다. == 상세 == 2018년 12월 8일에 있었던 SEGA의 생방송에서 [[maimai FiNALE]]와 함께 공개되었으며, 방송 이후 몇주간 로케테스트를 진행하고 [[JAEPO]] 2019에서도 선행 체험이 가능했다. 굳이 신기체를 내는 이유를 두고 의문을 가지는 유저들이 많았었는데, 개발총괄자인 KOHA-D의 말에 따르면 기존 기체의 노후화와, 유지보수를 위한 추가 부품의 수급의 어려움 때문이라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부품은 버튼등의 소모품이 아닌 내부의 IO컨트롤러나 컴퓨터 등의 부품이다. 결국에 아케이드 기체도 컴퓨터 기반으로 돌아가는 만큼 컴퓨터가 고장날 가능성이 있는데, 기존 기체에 들어가는 [[RINGEDGE]]기판의 경우 9년 전에 나온 부품들로 구성되어 현재로서는 구하기 힘들고, 기존에 있던 부품들마저 동났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다만 해외의 유저들은 많은 우려를 보이는데, 세가가 점점 해외판에 대한 관리와 해외사업에 소홀해지고 있다고 말이 많았기 때문이다.[* 일례로 애니곡은 무라사키 이후로는 극소수를 빼면 거의 들어오지 않았다.] 신기체를 내면서 겸사겸사 해외에서의 가동을 전면 중단한다는 말까지 나오기도 했다. 물론, 개발진이 해외 사업을 접을 일이 없다고 JAEPO 2019에서 말했던 만큼 두고 볼 일. 모 오락실의 점주분이 마이마이 차기버전이 출시된다고 언급했었긴 하다.[[https://twitter.com/_thebunker_/status/1126379728577765376|#]] 결국 [[maimai FiNALE]]의 일본 서버 가동 종료 공지 내용에 2019년 내 해외 발매를 예정하고 있다는 안내가 들어갔으므로 일단 해외판 발매는 확정된 사항.[[https://twitter.com/maimai_official/status/1160159042292969472|#]] [* 디렉터인 코하D가 실제로 중국에서 진행된 마이마이 디럭스 시연회에 참여했었다. 이를 감안하면 아시아 지역은 높은 확률로 들어오게 될 것이다.] 초기에는 기존에 있던 데이터가 인계되지 않는다는 말이 있어 유저들이 반발이 심했다. 그간 해 왔던 노력들이 사라지는건 물론 [[리플렉 비트 유구의 리플레시아]]의 선례도 있기에 더더욱 반응이 안 좋았다. 결국 기존의 데이터들은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이 되었다. 다만, 이전 작인 [[maimai FiNALE]]의 플레이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만 인계가 가능하며, [[maimai FiNALE]] 의 플레이 데이터가 아닌 [[maimai MiLK PLUS]] 이전 플레이 데이터가 있는 경우는 인계할 수 없다. 또한, 컬렉션은 일부 아이콘/네임플레이트에 한해서 이전 가능하며 이전 불가능한 컬렉션의 경우 자동으로 빠지게 된다. 그리고 한번 이전하면 [[maimai FiNALE]]에서 플레이 해도 디럭스로의 재인계는 불가능하다. 하지만 이 시리즈부터 해외판의 데이터와 내수판의 데이터가 분리 운영된다는 소식에 사람들의 반응이 매우 좋지 않다. 어느 유저가 세가에 직접 메일을 보내 내수판과 해외판의 서버가 다르다고 답장이 왔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aimai1&no=7649|#]] 특히나 이 문제로 인해 maimai FiNALE의 데이터를 일본판과 아시아판 둘 중 하나로만 이전할 수 있고, 이전 이후에는 다른 한 쪽에서는 플레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비판적인 여론이 많았다. 실제로 일본에서 모르고 일본판 DX에 데이터를 인계했다가 아시아판에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처음부터 다시 게임을 시작하게 된 사례도 발생했다. 2019년 12월 8일에 중국의 한 오락실에 입고되었다. QR코드 리더기가 있는 대신 카드메이커가 제거되었다. 내부 언어도 대부분 중국어(간체)로 되어 있다. == 해금 요소 == === 디럭스 투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aimai DX/디럭스 투어)] == 변경점 == 일부 내용은[[https://blog.goo.ne.jp/otoge_checker/e/6fa47dd624140fde429cb1d0dd841ce6|이 사이트]]에서 발췌함 === 하드웨어적 요소 === * 기체의 크기가 커지고 화면도 커졌다. 다만 큰 체감이 느껴질 정도로 완전히 커지지는 않았다.[* 한글판 포스터에 보면 화면을 가리키며 더 커진 화면이라는 언급이 있다.[[https://twitter.com/_thebunker_/status/1215178937896062982?s=19|#]] 바뀌지 않은 내용을 광고했을리는 없으니 결론은 조금이나마 커졌다는 것이다.][* 커지긴 커졌는지 디럭스를 파다가 피날레를 해보면 역체감이 있다는 의견이 있다.] * 터치 스크린에 특수 코팅이 추가되어 맨 손으로 플레이해도 괜찮다. 다만, 다한증이 있는 유저는 기존과 동일하게 장갑을 끼우고 하는 것이 좋고, 슬라이드가 빠르게 나오는 곡들을 처리할 때에도 장갑을 끼고 하는 것이 좋다.[* 한국의 대다수 오락실에서도 장갑을 끼고 플레이하는것을 권장하고 있다.] * 이어폰 단자가 버튼부 아래쪽에 생겼다. 이전에는 앰프를 달아 해결하던 오락실들도 있었다. * 시스템 기판은 [[ALLS|ALLS HX2]]를 채용하며, OS는 [[Windows 10/제품군#s-2.3|Windows 10 IoT]] [* Windows Embedded의 Windows 10 버전이다.]를 사용한다. * 디스크 저장공간을 HDD에서 SSD로 변경되었다. * 카메라의 위치 변경: 본래는 기체의 좌상단, 우상단에 설치되던 카메라가 이젠 정중앙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인해 플레이 영상은 보이지 않게 되었다. * 카드 인식부가 1개로 감소: [[DANCERUSH STARDOM]]과 동일하게 카드 인식부가 1개가 되었으며, 1P, 2P 버튼을 통해 원하는 위치에서 할 수 있도록 조정되었다.[*중국1 중국판은 Aime 카드 리더기 대신 QR 리더기가 있다. 이는 [[WeChat]] 계정을 이용해 QR코드를 스캔하여 로그인을 지원하기 때문이다.] * 카드 슬롯 추가: [[온게키]]에 있는 그거 맞다. [[카드 메이커]]를 통해 뽑은 카드를 꽂아서 사용하는 방식. 해외판과 중국판에서는 빠진 채로 나왔다. * 이번 작품부터 카메라 미장착 또는 에러 발생 시 게임 구동이 불가능하다. [[:파일:1581490879111.jpg|사진]] * 화면해상도가 1280X720 [[HD(해상도)|HD]]로 변경되었다. === 인 게임 요소 === * 신 캐릭터 '디럭쿠마' 추가.(CV : [[미모리 스즈코]])[* UI로 등장하진 않지만 그 외에도 등장하는 동료로 집에가고싶쿠마([[스기타 토모카즈]]), 다람쥐쿠마([[나카오 류세이]]), 판다쿠마([[타카야마 미나미]]), [[미츠요시 타케노부|미츠요시]]쿠마도 있다.] * UI가 츄니즘, 온게키와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 점수 체계가 소수점 4자리로 세분화: 기존에는 96.99% 이렇게 표시되었다면 디럭스에서는 96.9999%로 표시되게 된다.~~[[역보더|하필 예시가...]]~~ * 모든 곡의 최대 점수가 101%로 고정 * EASY, 연회장 채보 삭제 * EX 노트 추가: 노트 중 빛나는 노트를 말하며, 판정 상관없이 치기만 하면 무조건 CRITICAL PERFECT가 나온다. * 터치 노트 추가: 기존에 있던 버튼과 슬라이드 뿐만 아니라 터치 노트들이 추가되었다. 이 때문에 기존의 '오시(押し)'[* 슬라이드 처리시 끝 부분을 제외하고 미리 슬라이드 그어서 없애두는 것, 슬라이드 판정이 처음과 끝만 있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본래는 편법이었지만 사용하는 사람이 많아지자 채보에도 오시를 사용하는 패턴들을 넣기도 했다.]라는 기술을 사용하기 더욱 까다로워 졌으며, 터치 노트에 대해서는 호불호가 갈리는 중이다. * 프리덤 모드: [[beatmania IIDX]]의 프리미엄 프리와 같은 개념이다. 200엔을 내서 10분간 제한없이 플레이 가능한 모드이다. 디럭스 패스에 있는 카드 중에서 프리덤 모드의 효과가 있을 경우 시간이 추가로 부여된다. 단, 2인 플레이 시 프리덤 모드가 활성화되지 않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 신 해금요소 '디럭스 투어': [[CHUNITHM]], [[Arcaea]]와 비슷하게 곡을 플레이해서 진행도를 올리는 방식으로, 투어 프로그램 맴버를 선택하여 진행할 수 있다. 이곳에서 곡이나 캐릭터들을 해금할 수 있으며, 현재까지 알려진 캐릭터는 샤마, 밀크, 오토히메, 라즈, 솔트이며, 각각 99.999, 999.999, 1999.999, 2999.999, 3999.999km 지점에서 획득 가능하다. * 디럭스 패스: 앞서 말한 [[카드 메이커]] 슬롯에 카드를 꽂아서 마스터 난이도를 자유롭게 선택하거나, 프리덤 모드의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카드 자체의 사용횟수는 없지만 유효기간이 있으며, 유효기간이 지나면 효과가 저하된다. 디럭스 패스는 카드 메이커에서 뽑을 수 있는데 등급에 따라 혜택과 가격이 다르다. 또한, 2인 매칭 시 프리덤 패스를 제외한 같은 패스 사용 시 해당 플레이에 한해 한 등급 높은 패스를 부여받는다. (만약, 2인 매칭으로 2인 모두 골드 패스를 적용시킬 경우 해당 플레이에 한해서 플래티넘 패스로 업그레이드) * 레이팅 표기법 변경: 기존에는 정수 2자리와 소수 2자리로 표시되었던 레이팅이 [[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의 볼포스와 비슷한 방식처럼 5자리의 정수로 표시된다. * 기존에는 엔트리 시에 4인 매칭을 할지 결정했지만, 디럭스 부터는 곡 선택에서 4인매칭 여부를 정할 수 있다. * [[컨티뉴]] 기능이 추가되어 게임이 끝나고 계속 할 것인지 물어본다. 선택하면 카드접촉 없이 플레이했던 계정으로 엔트리가 가능하다.[* [[maimai FiNALE|전작]]에서는 게임 종료 후 컨티뉴 기능은 없었으나, 크레딧이 남아 있을 경우 게임이 종료될 때 크레딧이 남아있다고 알려줬다.] 단, 매장에서 컨티뉴 옵션을 허용하지 않았을 경우와[* 한국판 기준 공장 초기값은 컨티뉴 비허용이다.] 마감시간인 경우, 서버 점검시간이 15분도 채 남지 않은 경우, 그리고 플레이 도중 넷이 나간 경우 컨티뉴가 뜨지 않고 바로 게임을 종료한다. * 이번 작품부터 서버 점검시간이 도입되어 [[JST]] 기준 04:00~07:00에는 마이마이 디럭스 넷을 모든 국가에서[* 일본, 아시아 가릴것 없이 모두 서버 점검 대상이다. 국제판 홈페이지에는 아예 가동되는 지역마다 표준시에 맞춰 환산된 시간을 적어놓았다. [[https://archive.ph/EzqPO|#]]] 이 시간에는 사용이 불가하다. 또한, 점검 시작 '''15분 전'''부터는[* 원래는 04시 정각부터 엔트리 제한이었으나, 03시 55분으로 5분 당겨지더니 1월 중순에는 03시 50분으로 당겨졌다가 1월 말에는 03시 45분으로 당겨졌다. 언제 엔트리 제한 시작시간이 변경될 지 모르므로 밤샘 유저들은 이걸로 낭패보는 일이 없도록 하자.] 카드 엔트리와 게스트 엔트리 또한 제한되어 점검이 종료되기 전까지 이용을 할 수 없다. 매장 24시간 가동모드를 설정해도 점검 시간이면 금일 마감이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며, 한국 한정으로 이 시간에도 코인투입기가 작동하므로 주의를 요구한다. * 일부 구곡에 디럭스 보면 추가: 두 가지 보면이 같이 있는 곡의 경우 2번과 7번 키를 동시에 눌러서 변경할 수 있다. * 대전기능 추가: '오토모다치 대전'이라는 기능이 추가되어 전국의 유저들 또는 CPU 플레이어와 대결할 수 있다. 대결에서 승리하면 솜씨(うでまえ)가 올라가며, 솜씨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올라가면 단위가 승급된다. 단위에 따른 일정량의 레이팅이 추가된다. || 등급 || 추가 레이팅 || || 初心者 || 0 || || 見習い || 100 || || 駆け出し || 200 || || 修行中 || 300 || || 初段 || 400 || || 二段 || 500 || || 三段 || 600 || || 四段 || 700 || || 五段 || 800 || || 六段 || 900 || || 七段 || 1000 || || 八段 || 1200 || || 九段 || 1400 || || 十段 || 1600 || || 皆伝 || 1800 || || 壱皆伝 || 2000 || || 弐皆伝 || 2100 || || 参皆伝 || 2100 || || 肆皆伝 || 2100 || || 伍皆伝 || 2100 || || 陸皆伝 || 2100 || || 漆皆伝 || 2100 || || 捌皆伝 || 2100 || || 玖皆伝 || 2100 || || 拾皆伝 || 2100 || == 문제점 == * 해외와 일본의 서버 분리 - 2019년 12월 9일, 세가 리듬게임 디렉터 KOHA-D가 직접 작성한 입장문이 마이마이 디럭스 해외판 페이스북 계정에 올라왔다. 문제는 입장문에서 해외랑 일본은 서버를 분리하여 운영한다고 언급하였는데, 사유는 판권 문제와 기존판의 곡 차이 때문에 랭킹에서 해외 유저들이 차별을 받는 것이 싫어서라고 했다. 하지만 유저들의 반응은 좋지 않다. 이미 [[신 태고의 달인/아시아판]]에서 나왔던 여러가지 문제들과, 여태까지 랭킹관련으로 전혀 언급이 없다가 갑자기 언급한 점, 기존에 있던 곡들이 몇 개 삭제되는것에 비해 기존판에서 플레이 불가했던 [[SHINY DAYS(유루캠△)|SHINY DAYS]]가 수록되어 있는 점 등등 미심쩍은 부분이 많기 때문이었다. * 해외판의 곡 대량 삭제 - 2019년 12월 9일 홍콩에서 가동을 시작한 직후, 해외판에서 대량의 곡이 삭제되었다고 글이 올라왔다.[[https://twitter.com/mai2club/status/1203968470372638720|#]] 확인된 곡은 총 60곡으로, 이 중에는 기존에 있었던 애니곡, 보컬로이드뿐만 아니라 BMS 중 [[Calamity Fortune]]와 [[ENERGY SYNERGY MATRIX]] 등의 굵직한 곡이 포함되고 피날레까진 수록된 [[천본앵(VOCALOID 오리지널 곡)|천본앵]], --[[출입금지]]--[* 2020년 5월 8일 기준 복구됨을 확인] 등이 아시아판에서만 삭제되어 논란이 되었다. 이후 [[Calamity Fortune]], [[ENERGY SYNERGY MATRIX]]등은 남아 있는게 확인되었지만 보컬로이드쪽의 곡이 대량으로 삭제되어 유저들의 불만이 심하다. 2020년 5월 8일 기준 거의 모든 곡이 복구되었지만 한국판 기준으로 일부 애니메이션, 보컬로이드곡은 복구되지 않았다. == 여담 == * 발매 초기에 극심한 버그로 인하여 논란이 있었다. * 홀드와 터치홀드를 중간에 떼어도 판정이 유지된다. * 플레이 도중 개점메세지가 표시되고, 곡 선택창에서 노트가 나온다. * 터치 홀드가 늦게 인식된다. * '''4시간 이상 가동시 블랙아웃 현상이 일어난다.''' 이 중에서 1~3번은 일찍 해결되었지만 4번의 경우 일찍 해결되지 않아 결국 4시간마다 강제 재부팅이 되는걸로 임시조치되었다. 그 후 문제가 되는 부품 교체[* 케이블이 문제였다.]11월 25일자 업데이트로 완전히 해결되었다. * 일본 내수판과 수출판의 버전 번호가 다르다. 내수판은 DX1.으로 시작하고 수출판은 EX1.로, 중국판은 CH1.으로 시작한다. * 한국판 기준으로 코인락이 걸려 있다. 보너스 코인 메뉴가 모두 비활성화 처리 되어있으며, 플레이 크레딧은 1크레딧으로 강제 고정이 되어 있다. 단, 1크레딧 당 코인의 개수는 조정이 가능하며, 공장 초기값은 동전 2개에 1크레딧으로 되어 있다. * 해외판 출시를 기념해 매장내 기기별로 20장씩 오리지널 장갑을 증정하는 이벤트가 진행되었다. [[https://www.facebook.com/maimaiDX/posts/154968089277172|#]] 한국은 2020년 2월 13일부터 순차적으로 진행되었다. [[https://twitter.com/UNIANA_AM_SEGA/status/1227507118091059201|#]] 장갑 안에는 설문조사 사이트로 연결되는 QR코드가 동봉되어 있으며, 마이마이 디럭스 관련 질문과 CHUNITHM에 관한 질문, 제작진에게 남기는 한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분류:maimai 시리즈]][[분류:2019년 아케이드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