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millennium parade]][[분류:일본의 음악 그룹]] [include(틀:상위 문서, top1=millennium parade)] [목차] = 개요 = 일본의 음악 그룹 [[millennium parade]] 의 디스코그래피를 정리한 문서. = 앨범 = == 1st 앨범 《THE MILLENNIUM PARADE》 == ||||
<#DCD6C6>
{{{-2 {{{#E06B46 1st Full Album}}}}}}[br]'''{{{+2 {{{#E06B46 THE MILLENNIUM PARAD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mlp_1st_al.png|width=100%]]}}} || ||<#DCD6C6><:>{{{#E06B46 '''발매일자'''}}}||2021년 2월 10일 || ||<#DCD6C6><:>{{{#E06B46 '''앨범 길이'''}}}||39분 04초 || ||<#DCD6C6><:>{{{#E06B46 '''장르'''}}}||[[J-POP]], [[아트 록]] || ||<#DCD6C6><:>{{{#E06B46 '''수록곡 수'''}}}||14곡 || ||<#DCD6C6><:>{{{#E06B46 '''레이블'''}}}||'''Sony Music Labels''' || ||||<#000000><:>[youtube(xc2jdy5gVdg)]|| ||||<#DCD6C6><:>{{{#E06B46 '''공식 티저 영상'''}}}||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트랙 리스트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트랙 || 곡명 || 비고 || || 01 || Hyakki Yagyo[*Inst.] || || || 02 || [[Fly with me(millennium parade)|Fly with me]] || [[https://youtu.be/fuXZMQAD9vU|MV]] || || 03 || Bon Dance || [[https://youtu.be/5jnbzK0zrr0|MV]] || || 04 || Trepanation || [[https://youtu.be/vdmBqZDzpM8|MV]] || || 05 || Deadbody[*Inst.] || || || 06 || Plankton || [[https://www.youtube.com/watch?v=f4RO5fnO_0g|MV]] || || 07 || lost and found || [[https://www.youtube.com/watch?v=nO2BuaA74Kg|MV]] || || 08 || matsuri no ato[*Inst.] || [[https://youtube.com/watch?v=wkEkkV9XX3s|MV]] || || 09 || 2992 || || || 10 || TOKYO CHAOTIC!!! || || || 11 || Philip || [[https://www.youtube.com/watch?v=zSq80izsCZk|MV]] || || 12 || Fireworks and Flying Sparks || || || 13 || The Coffin[*Inst.] || || || 14 || [[FAMILIA]] || [[https://www.youtube.com/watch?v=QyZDoDTB6cQ|MV]] || }}}}}}}}} || [[https://millenniumparade.com/the-millennium-parade|앨범 공식 홈페이지]] [[millennium parade]]의 첫 정규 앨범이다. 츠네타에 의하면 최대한 팝적인 마무리를 의식하고 만들었다고 한다. 고로 DTMP시절과는 다르게 대중이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키치한 후렴이 가미되었다. 물론 그 뒤로 쏟아지는 악기들은 여전. 츠네타가 자신의 친한 친구 몇 명을 비슷한 시기에 연달아 잃은 것이 앨범제작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죽음'을 테마로 하는 음악들이 몇 개 들어가있다. 또한 [[King Gnu]]만 듣다가 미레파로 처음 넘어오는 사람들에 대한 고려도 충분히 했다고 한다. 충격(?)받고 백스텝하지 않도록 [[J-POP]]적인 곡도 일부 들어가 있다. 6번 트랙 plankton과 14번 트랙 [[FAMILIA]]는 J-POP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 디지털 싱글 = == Veil == ||<-3> {{{-2 1st Digital Single}}}[br]'''{{{+2 {{{#FF0000 Veil}}}}}}'''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veil_cover.jpg|width=100%]]}}} || ||<-3> 2019. 05. 22. || || 트랙 || 곡명 || 비고 || || '''1''' ||'''Veil''' || [[https://www.youtube.com/watch?v=5lqLU6OoSN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Plankton == ||<-3> {{{-2 2nd Digital Single}}}[br]'''{{{+2 Plankton}}}'''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lankton_cover.jpg|width=100%]]}}} || ||<-3> 2019. 06. 28. || || 트랙 || 곡명 || 비고 || || '''1''' ||'''Plankton''' || [[https://www.youtube.com/watch?v=f4RO5fnO_0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Stay! == ||<-3> {{{-2 3rd Digital Single}}}[br]'''{{{+2 {{{#a54242 Sta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tay_cover.jpg|width=100%]]}}} || ||<-3> 2019. 09. 27. || || 트랙 || 곡명 || 비고 || || '''1''' ||'''Stay!''' || [[https://www.youtube.com/watch?v=TSrXH_WMDU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lost and found == ||<-3> {{{-2 4th Digital Single}}}[br]'''{{{+2 {{{#cd484d lost and found}}}}}}'''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ost_and_found_upscale.jpg|width=100%]]}}} || ||<-3> 2019. 12. 06. || || 트랙 || 곡명 || 비고 || || '''1''' ||'''lost and found''' || [[https://www.youtube.com/watch?v=nO2BuaA74K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Philip == ||<-3> {{{-2 5th Digital Single}}}[br]'''{{{+2 {{{#a20101 Philip}}}}}}'''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hilip_cover.jpg |width=100%]]}}} || ||<-3> 2020. 10. 02. || || 트랙 || 곡명 || 비고 || || '''1''' ||'''Philip''' || [[https://www.youtube.com/watch?v=zSq80izsCZ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싱글 = == 1st 싱글 《[[Fly with me(millennium parade)|Fly with me]]》 == ||<-3> {{{-2 1st Single}}}[br]'''{{{+2 {{{#FF0000 Fly with m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ly_with_me_cover.jpg|width=100%]]}}} || ||<-3> 2020. 04. 22. || || 트랙 || 곡명 || 비고 || || '''1''' ||'''[[Fly with me(millennium parade)|Fly with me]]''' || [[https://youtu.be/fuXZMQAD9v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2''' ||Fly with me - Live || [[https://youtu.be/PvK-bLWgK0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2nd 싱글 《U》 == ||<-3> {{{-2 2nd Single}}}[br]'''{{{+2 {{{#e7341c U}}}}}}'''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_cover.jpg|width=100%]]}}} || ||<-3> 2021. 08. 18. || || 트랙 || 곡명 || 비고 || || '''1''' ||'''U''' || [[https://youtu.be/R3V4sAXUJ-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2''' ||U -Instrumental- || || == 3rd 싱글 《Secret Ceremony / No Time to Cast Anchor》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0deg, #da5f5a, #3a8589, #da5f5a)" {{{-2 {{{#fff 3rd Single}}}}}}[br]'''{{{+2 {{{#fff {{{#!html Secret Ceremony}}}[br]{{{#!html No Time to Cast Anchor}}}}}}}}}'''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c_ntca_cover.png|width=100%]]}}} || ||<-3> 2022. 06. 01. || || 트랙 || 곡명 || 비고 || || '''1''' ||'''Secret Ceremony''' || [[https://youtu.be/UxaiWXqUpjk?si=opEZZVX401nvC94H|[[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2''' ||'''No Time to Cast Anchor''' || [[https://youtu.be/gLRmfnzmDm0?si=3lPwEUr7KO1XifW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3''' ||Secret Ceremony{{{-3 (Instrumental)}}} || || || '''4''' ||No Time to Cast Anchor{{{-3 (Instrumental)}}} || || }}} || == 4th 싱글 《W●RK / 2◯45》 == ||<-3> {{{-2 4th Single}}}[br]'''{{{+2 {{{#b3332e W●RK / 2◯45}}}}}}'''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ork_cover.jpg|width=100%]]}}} {{{#!folding [ 2◯45 커버 ] [[파일:2045_cover.jpg |width=100%]]}}} || ||<-3> 2023. 05. 17. || || 트랙 || 곡명 || 비고 || || '''1''' ||'''[[W●RK]]''' || [[https://youtu.be/dYzgZVhiqmU?si=NHSpsaJnXfo26bgR|[[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2''' ||'''[[2◯45]]''' || [[https://youtu.be/9tlmmN_ntL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4번째 피지컬 싱글, 기간 생산 한정반 블루레이에는 2021 "THE MILLENNIUM PARADE" TOKYO GARDEN THEATER 에서의 라이브 영상이 담겨있다. = Daiki Tsuneta Millennium Parade 명의 = == 1st 앨범 《http://》 == ||<-3> {{{-2 1st Album}}}[br]'''{{{+2 {{{#dbcfb7 http://}}}}}}'''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ttp_album_jacket.jpg|width=100%]]}}}|| || '''발매 일자''' ||2016.07.20. || || '''앨범 길이''' ||- || || '''장르''' ||[[익스페리멘탈 록]], [[포스트 록]], [[일렉트로닉]], [[IDM]] || || '''수록곡 수''' ||20곡 || || '''작사・작곡''' ||[[츠네타 다이키]]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트랙 리스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트랙 || 곡명 || 비고 || || '''1''' ||'''Angya''' || [[https://youtube.com/tbd|[[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2''' ||Ennui || [[https://www.youtube.com/tbd|[[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3''' ||Mannequin || || || '''5''' ||θ || || || '''6''' ||Onibi || || || '''7''' ||Heroin || || || '''8''' ||Kowloon || || || '''9''' ||com || || || '''10''' ||Down&Down || || || '''11''' ||#blank || || || '''12''' ||Mirror Neuron || || || '''13''' ||Ice will not burn.. || || || '''14''' ||Sweet Complex || || || '''15''' ||Internet meme || || || '''16''' ||Dr.Brodsky || || || '''17''' ||Ludovico Technique || || || '''18''' ||Prêt || || || '''19''' ||porter || || || '''20''' ||Kink" || || }}}}}}}}} || ||<-3>[youtube(Gz4kTK_uVE4)]|| ||<-3> '''티저 영상''' || >그림 같은 건 '빽' 이런 게 있는데 음악에는 왜 그런게 적을까? 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예술은 폭발이다]]'. 라는 말이 있는데 , 「잘 모르겠지만 대단해」같은 것은 왜 음악에는 적은 것일까, 하고. 그러한 의미에서, 이번 「http://」를 통해서 거부반응이든 뭐든지 좋으니까 사람들의 반향을 들을 수 있으면 기쁠거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미지의 세계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이런 느낌.[[https://qetic.jp/interview/daikitsuneta-pickup/199481/3/|#]] >---- >[[츠네타 다이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uzp1Z7AJS8)]}}}|| || 수록곡 "Internet meme" || 킹누와 미레파의 팬들조차 존재 자체를 모르는 경우가 많은 앨범이다. 왜나하면 전반적으로 이 앨범은 매우 사이키델릭하며 [[전위음악]]적인 색채가 있는 곡들도 많기 때문에, 대중성이 매우 낮고 이런 음악을 찾는 수요층도 상당히 얇기때문이다. 그래도 츠네타는 이런 앨범을 내 놓았다는 것에 큰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듯하다. 실제로 리스너들 중에서도 DTMP시절 음악이 제일 좋다는 사람들도 적지않다. 여담으로 3번 트랙 Mannequin은 당시에 츠네타가 앤디 워홀에 영감을 받아서 만든 곡인데, 신기하게도 6년 뒤 교토에서 열린 앤디 워홀 전시전의 주제곡으로 선정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