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투모로우바이투게더/음반]][[분류:한국의 음반]][[분류:2024년 음반]] [include(틀:투모로우바이투게더)] ||<-5>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음반 목록|{{{#c57c5a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음반'''}}}]] || || {{{-2 한국 미니 6집}}}[br][[minisode 3: TOMORROW|{{{#fd562a '''minisode 3: TOMORROW'''}}}]][br]{{{-2 (2024)}}} || {{{+1 →}}} || {{{-2 한국 EP}}}[br]'''minisode 3: TOMORROW with Remixes'''[br]{{{-2 (2024)}}} || {{{+1 →}}} || [[미정]] || ||<-5>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음반 목록#한국 음반|{{{#c57c5a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한국 음반'''}}}]] || || {{{-2 미니 6집}}}[br][[minisode 3: TOMORROW|{{{#fd562a '''minisode 3: TOMORROW'''}}}]][br]{{{-2 (2024)}}} || {{{+1 →}}} || {{{-2 EP}}}[br]'''minisode 3: TOMORROW with Remixes'''[br]{{{-2 (2024)}}} || {{{+1 →}}} || [[미정]] || ||<-2> {{{+1 '''minisode 3: TOMORROW with Remixes'''}}}[br]'''Extended Play'''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nisode 3: TOMORROW with Remixes.jpg|width=100%]]}}} || || '''발매일'''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2024년]] [[4월 5일]] || || '''가수''' ||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 '''프로듀서''' || [[방시혁]] ([[빅히트 뮤직]]) || || '''기획사''' || [[빅히트 뮤직]] || || '''유통사''' || [[YG PLUS]] || || '''곡 수''' || 9곡 || || '''재생 시간''' || 22:37 || || '''타이틀곡''' || {{{#c57c5a '''[[Deja vu]]'''}}}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4년]] [[4월 1일]] 발매된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EP. == 수록곡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트랙''' || '''트랙''' || '''프로듀싱''' || || 01 || {{{-1 내일에서 기다릴게 (I'll See You There Tomorrow)}}} ||{{{-1 '''Produced by Shift K3Y'''}}}[br]{{{-2 Lewis Jankel, Uzoechi Emenike, [[연준|YEONJUN]], 김인형, Ellie Suh (153/Joombas), Maiz, 이이진, “hitman” bang, [[휴닝카이|HUENINGKAI]], [[태현|TAEHYUN]], 전지은, danke, STELLA JANG}}} || || 02 || {{{-1 - -\-\- -\- -\-\- .-. .-. -\-\- .-\-}}} ||{{{-1 '''Produced by “hitman” bang, Slow Rabbit'''}}}[br]{{{-2 “hitman” bang, Slow Rabbit}}} || || '''03''' || {{{-1 [[Deja vu|{{{#c57c5a '''Deja vu'''}}}]]}}}[br]{{{-4 {{{#!html TITLE}}}}}} ||{{{-1 '''Produced by Slow Rabbit, martin, “hitman” bang'''}}}[br]{{{-2 “hitman” bang, Slow Rabbit, martin, Supreme Boi, Ryan Lawrie, Moa ‘Cazzi Opeia' Carlebecker (Sunshine), Ellen Berg (Sunshine), JAMES, SCORE (13), Megatone (13)}}} || || 04 || {{{-1 Miracle (기적은 너와 내가 함께하는 순간마다 일어나고 있어)}}} ||{{{-1 '''Produced by Slow Rabbit, “hitman” bang'''}}}[br]{{{-2 Slow Rabbit, “hitman” bang, JAMES, [[수빈(투모로우바이투게더)|SOOBIN]], Supreme Boi, [[연준|YEONJUN]], martin, [[태현|TAEHYUN]], Maiz, Kristine Bogan, Ido Nadjar, Kirat Singh, Léon Palmen, Sophia Brenan, Mathi Wang, Nick Hahn, [[휴닝카이|HUENINGKAI]]}}} || || 05 || {{{-1 The Killa (I Belong to You)}}} ||{{{-1 '''Produced by Dystinkt Beats, uv killin em, Ebby'''}}}[br]{{{-2 Tomislav Ratesic, Yuval Haim Chain, Ebenezer Marango, Ari PenSmith, “hitman” bang, 나정아 (153/Joombas), 1월8일, 김보은, 황유빈, [[태현|TAEHYUN]], [[연준|YEONJUN]], 조윤경, 김인형, 4계절 (153/Joombas), danke, 송재경}}} || || 06 || {{{-1 Quarter Life}}} ||{{{-1 '''Produced by Krupa, Steve Manovski'''}}}[br]{{{-2 Jordan Shaw, Alexander Shilov, Steve Manovski, “hitman” bang, Chester Krupa Carbone, 황유빈, [[태현|TAEHYUN]], danke, Ellie Suh (153/Joombas), [[수빈(투모로우바이투게더)|SOOBIN]], 나정아 (153/Joombas)}}} || || 07 || {{{-1 Deja Vu (Anemoia Remix)}}} ||<|3>{{{-1 '''Produced by Slow Rabbit, martin, “hitman” bang'''}}}[br]{{{-2 “hitman” bang, Slow Rabbit, martin, Supreme Boi, Ryan Lawrie, Moa ‘Cazzi Opeia' Carlebecker (Sunshine), Ellen Berg (Sunshine), JAMES, SCORE (13), Megatone (13)}}} || || 08 || {{{-1 Deja Vu (Sped Up Ver.)}}} || || 09 || {{{-1 Deja Vu (Slowed + Reverb Ver.)}}} || }}} === 내일에서 기다릴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_leEAeA7Zrk)]}}} || ||'''{{{+3 내일에서 기다릴게 (I'll See You There Tomorrow)}}} {{{-1 | 01}}}'''[br]3' 16"[br][br]'''{{{-2 "내일 만나자"는 평범한 인사말이자 약속의 표현이다. 하지만 약속대로 내일 상대방과 재회하는 것은 사실 일상 속 마법 같은 일이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는 "내일 만나자"라는 말을 지키고 싶은 마음을 노래로 표현했다. 연준과 휴닝카이, 태현이 작사에 참여해 아련한 감성을 담았다. 밝고 신나는 트랙에 그루비하고 감미로운 멜로디가 얹힌 UK 스타일의 하우스(House) 장르의 곡이다.}}}'''[br][br] || || {{{#!folding [ 가사 보기 ] [br]^^'''ALL {{{#cc48ff,#8300b7 연준}}} {{{#00c4f2 수빈}}} {{{#ff83a2 범규}}} {{{#ffda00 태현}}} {{{#0bf1c3 휴닝카이}}}'''^^ {{{#00c4f2 Someone like you 이 세상 단 하나 서로를 길들였지 너와 난}}} {{{#ffda00 도망치고 싶던 나에게 “내일 또 만나” 말해주던 아이}}} {{{#0bf1c3 반짝임에 현혹돼 네 손을 다 놓친 채}}} {{{#ff83a2 한참을 헤맨 뒤에 깨닫게 돼 오랜 너의 한마디}}} {{{#cc48ff,#8300b7 나는 믿어 we are meant to be 늦어져도 돼 난 늘 여기}}} {{{#ffda00 내일에서 기다릴 테니 There’ll be no more sorrow I’ll see you there tomorrow}}} {{{#00c4f2 There’ll be no more sorrow I’ll see you there tomorrow There’ll be no more sorrow I’ll see you there tomorrow}}} {{{#0bf1c3 There’ll be no more sorrow I’ll see you there tomorrow}}} {{{#ff83a2 There’ll be no more sorrow I’ll see you there tomorrow}}} {{{#ffda00 황금빛 너의 머릿결 땜에 빛나는 밀밭을 사랑하듯}}} {{{#ff83a2 너의 발자욱 소리 소리가 들려오면 난 행복할 거야}}} {{{#cc48ff,#8300b7 그 평범한 약속엔 흔한 말뿐인데}}} {{{#0bf1c3 매 순간 느낀 설렘 너로 인해 내게 온 기적 같아}}} {{{#00c4f2 나는 믿어 we are meant to be 늦어져도 돼 난 늘 여기}}} {{{#cc48ff,#8300b7 내일에서 기다릴 테니 There’ll be no more sorrow I’ll see you there tomorrow}}} {{{#ff83a2 기다릴 테니 There’ll be no more sorrow I’ll see you there tomorrow}}} {{{#ffda00 There’ll be no more sorrow I’ll see you there tomorrow There’ll be no more sorrow I’ll see you there tomorrow}}} {{{#00c4f2 떠올려 봐 너와 내 promise 반드시 널 알아볼 테니}}} {{{#ffda00 내일에서 만나는 우린 함께 저 너머로 I’ll see you there tomorrow}}} {{{#0bf1c3 함께 저 너머로 I’ll see you there tomorrow 함께 저 너머로 I’ll see you there tomorrow}}} {{{#cc48ff,#8300b7 함께 저 너머로 I’ll see you there tomorrow}}} {{{#ff83a2 함께 저 너머로 I’ll see you there tomorrow}}} }}} || === - -\-\- -\- -\-\- .-. .-. -\-\- .-\- === ||'''{{{+3 - -\-\- -\- -\-\- .-. .-. -\-\- .-\-}}} {{{-1 | 02}}}'''[br]7"[br][br]'''{{{-2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멤버 첫 소개 콘텐츠인 'Introduction Film'과 'Questioning Film', 첫 타이틀곡 '어느날 머리에서 뿔이 자랐다 (CROWN)' 도입부 등 데뷔 당시 사용됐던 모스 부호가 다시 등장했다. 곡명 'TOMORROW'는 우리가 함께 만들어 갈 미래이자, 미래가 존재할 것이라는 희망과 긍정을 뜻한다.}}}'''[br][br] || === [[Deja vu]]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XzgHdoKmd5U)]}}} || ||'''{{{+3 Deja vu}}} {{{-1 | 03}}}'''[br]2' 52"[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c57c5a; color: #fcf4f0; font-size: 0.6em;" '''TITLE'''}}}[br][br]'''{{{-2 타이틀곡 'Deja Vu'는 트랩(Trap)의 하위 장르인 레이지(Rage)와 이모 록(Emo Rock)이 하이브리드된 팝(Pop) 곡이다. 방시혁 프로듀서, 빅히트 뮤직 전속 프로듀서 슬로우 래빗(Slow Rabbit), 슈프림 보이(Supreme Boi)가 곡 작업에 참여했다. 세련된 선율과 투모로우바이투게더 특유의 애절함, 벅차오르는 에너지를 동시에 느낄 수 있다. 소년은 우리가 했던 과거의 약속처럼 너와 나는 반드시 다시 만나게 되고, 재회의 순간이 마치 '데자뷔' 같이 느껴질 것이라고 말한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예전 타이틀곡을 연상시키는 가사들 역시 눈여겨볼 포인트다.}}}'''[br][br] || || {{{#!folding [ 가사 보기 ] [br]^^'''ALL {{{#cc48ff,#8300b7 연준}}} {{{#00c4f2 수빈}}} {{{#ff83a2 범규}}} {{{#ffda00 태현}}} {{{#0bf1c3 휴닝카이}}}'''^^ {{{#8300b7 수없이 도망갔었어 그저 무서웠었어 아직 시작에서 기다리는 너를 두고}}} {{{#0bf1c3 폐허 속의 morse code 오랜 promise, promise 이유를 모르던 나의 눈물 내 anemoia}}} {{{#ffda00 You and I}}}{{{#ff83a2 약속의 별빛 아래서}}} {{{#ffda00 먼지 쌓인 }}}{{{#ff83a2 우리의 왕관 앞에서}}} {{{#00c4f2 영혼에 새긴 꿈처럼 다시 영원이 돼줘 나를 불러줘}}} {{{#8300b7 기억해 마침내 찾은 answer 나의 미래는 너야}}} {{{#ffda00 Say my name 첫날의 약속처럼 널 세게 안을 거야}}} {{{#ff83a2 마치 deja vu}}} {{{#00c4f2 넌 마치 deja vu}}} {{{#0bf1c3 Say it, say it Say it, say it louder}}} {{{#00c4f2 나를 태우는 그 불꽃 비 속에 영겁같이 긴 여행 속에 너와 나눈 슬픔은 my clarity}}} {{{#ffda00 너의 눈물 곁으로}}} {{{#8300b7 Oh 추락해 오는 순간에도 넌 all I need 무너진 폐허 틈의 너와 나의 place of promise}}} {{{#ff83a2 안식의 대지 영원의 회귀 날 기다려 줬던 너}}} {{{#ffda00 기억해 마침내 찾은 answer 나의 미래는 너야}}} {{{#0bf1c3 Say my name 첫날의 약속처럼 널 세게 안을 거야}}} {{{#ff83a2 마치 deja vu}}} {{{#00c4f2 넌 마치 deja vu}}} {{{#8300b7 Say it, say it Say it, say it louder}}} {{{#8300b7 약속해 몇 번을 반복해도 나의 미래는 너야}}} {{{#0bf1c3 빛의 베일에 신부처럼 반짝일 널 세게 안을 거야}}} {{{#ff83a2 마치 deja vu}}} {{{#00c4f2 넌 마치 deja vu}}} {{{#ffda00 Say it, say it Say it, say it louder}}}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 Deja vu)] === Miracl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HNqSKquFEMw)]}}} || ||'''{{{+3 Miracle (기적은 너와 내가 함께하는 순간마다 일어나고 있어)}}} {{{-1 | 04}}}'''[br]2' 43"[br][br]'''{{{-2 서정적인 신시사이저 사운드가 매력적인 일렉트로닉 록(Electronic Rock) 장르로, 방시혁 프로듀서와 빅히트 뮤직 전속 프로듀서 슬로우 래빗(Slow Rabbit)이 공동으로 프로듀싱했다. 멤버들의 자전적 이야기를 토대로 했으며 수빈, 연준, 태현, 휴닝카이가 작사에 참여해 진정성을 더했다. 우리가 서로의 곁에 있다는 사실을 당연하게 여기지 않고, 기적 같은 이 인연을 소중히 여기며 내일로 나아가겠다고 말한다.}}}'''[br][br] || || {{{#!folding [ 가사 보기 ] [br]^^'''ALL {{{#cc48ff,#8300b7 연준}}} {{{#00c4f2 수빈}}} {{{#ff83a2 범규}}} {{{#ffda00 태현}}} {{{#0bf1c3 휴닝카이}}}'''^^ {{{#8300b7 나 홀로 헤매어 왔어 거울 속의 maze 기적 따위는 믿지 않던 나}}} {{{#00c4f2 내일의 태양이 두렵던 내게 넌 어둠 속 candlelight}}} {{{#ff83a2 성공, 명예, 돈 It’s nothing without you}}} {{{#8300b7 두 눈을 감아야 보이는 tomorrow One two three 셋 세면 펼쳐져}}} {{{#0bf1c3 One 너라면 two 너무나 three}}} {{{#ffda00 기다려져 내일이란 기적이}}} La la la la la la la la {{{#0bf1c3 기다려져 내일이란 기적이}}} {{{#8300b7 삐끗할 수 있지 어때 뭐 네가 잡을 테지 나의 손 몸을 편히 맡겨 우리의 온기 추운 겨울날을 make it warm}}} {{{#ff83a2 불빛이 어리던 강에서 나눠 들었던 그 최애 song}}} {{{#ffda00 자전거로 했던 새탈도 기적같이 나를 비추네 it’s like you}}} {{{#00c4f2 그 인연으로 우린 내일로 go}}} {{{#ffda00 두 눈을 감아야 보이는 tomorrow One two three 셋 세면 펼쳐져}}} {{{#00c4f2 One 너라면 two 너무나 three}}} {{{#0bf1c3 기다려져 내일이란 기적이}}} La la la la la la la la {{{#8300b7 기다려져 내일이란 기적이}}} {{{#8300b7 기다려져 내일이란 기적이}}} {{{#0bf1c3 오늘도 내일도 함께하자던 말 외칠래 마주 보고 말이야}}} {{{#ff83a2 I feel like ‘oh wow’ 고마워 난}}} {{{#ffda00 기다려져 함께하는 기적이}}} La la la la la la la la {{{#8300b7 기다려져 함께하는 기적이}}} La la la la la la la la {{{#8300b7 기다려져 내일이란 기적이}}} }}} || === The Killa (I Belong to You)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n7aXn30MMQU)]}}} || ||'''{{{+3 The Killa (I Belong to You)}}} {{{-1 | 05}}}'''[br]2' 42"[br][br]'''{{{-2 수빈과 연준의 유닛곡으로, 관능적인 느낌의 아프로비츠(Afrobeats) 장르다. 단순히 '사랑한다'는 말로는 표현할 수 없는, 애정에 대한 갈망을 '나를 네 것으로 길들여 달라'는 말로 전한다. "길들여줘", "그저 널 따르겠다", "I belong to ya" 등의 강렬한 가사가 인상적인 가운데, 귀를 사로잡는 캐치하고 중독적인 후렴구 멜로디가 포인트다. 태현과 연준이 작사에 참여했다.}}}'''[br][br] || || {{{#!folding [ 가사 보기 ] [br]^^'''ALL {{{#cc48ff,#8300b7 연준}}} {{{#00c4f2 수빈}}}'''^^ {{{#00c4f2 길들여 줘}}} {{{#cc48ff,#8300b7 점점 더 갈구해 You know I want you bad Show me mercy 우연 속 운명의 강한 얽힘 두 눈 속의 서로를 찾은 그 순간}}} {{{#00c4f2 Want you to tame me now 웃으며 나를 애태워도 but you're worth it 무슨 말이냐며 웃는 널 그저 널 따르겠어 난 serve you 나를 죽여}}} The killa {{{#cc48ff,#8300b7 심장, 영혼까지 다 네 것 넌 나를 앓게 하는 fever 마침내 날 제거하길 빌어}}} {{{#00c4f2 Like champagne 너무 달콤한 너의 reign on me 내가 미쳐 널 위해 나를 give up 흔하디흔한 말 te quiero 대신 I belong to ya}}} The killa {{{#00c4f2 길들여 너로 날 fill up 녹아내려 나는 다 없어져 난 너의 일부처럼 퍼져}}} The killa {{{#cc48ff,#8300b7 길들여져 너에게 속해 happier 이건 나만의 te quiero I wanna belong to ya}}} {{{#00c4f2 오로지 너만이 나의 짙은 결핍 위의 everything 날 지배하고 그대 권능 아래 거두리}}} {{{#cc48ff,#8300b7 You are the only one I want 이 순간 네 손아귀에 틀어쥔 내 영혼은 The killa 너의 것, 영원히 yours}}} {{{#00c4f2 You, you, you 죄책감 따위 you don’t need it 모든 죗값 내 몫이니 넌 그저 날 가지면 돼 Baby now now now now}}} {{{#cc48ff,#8300b7 Yes, I belong to you 희열 속의 죽음 round 2 영원을 네게 바쳐 난 serve it 나를 죽여}}} {{{#00c4f2 The killa 심장, 영혼까지 다 네 것 넌 나를 앓게 하는 fever 마침내 날 제거하길 빌어}}} {{{#cc48ff,#8300b7 Like champagne 너무 달콤한 너의 reign on me 내가 미쳐 널 위해 나를 give up 흔하디흔한 말 te quiero 대신 I belong to ya}}} The killa {{{#cc48ff,#8300b7 길들여 너로 날 fill up 녹아내려 나는 다 없어져 난 너의 일부처럼 퍼져}}} The killa {{{#00c4f2 길들여져 너에게 속해 happier 이건 나만의 te quiero I wanna belong to ya}}} }}} || === Quarter Lif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RVSxYEWAxRw)]}}} || ||'''{{{+3 Quarter Life}}} {{{-1 | 06}}}'''[br]2' 29"[br][br]'''{{{-2 범규와 태현, 휴닝카이의 유닛곡. 후렴구 멜로디에서 청춘의 에너지가 전해지는 미디엄 템포의 스타디움 록(Stadium Rock) 곡이다. 인생의 4분의 1 지점에서 느끼는 존재론적 위기(Quarter-life Crisis)를 대하는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마음가짐을 담은 곡이다. 출구 없는 터널에 갇힌 듯 막막하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살아가고자 하는 의지가 뭉클함을 선사한다. 태현과 수빈이 작사에 참여했다.}}}'''[br][br] || || {{{#!folding [ 가사 보기 ] [br]^^'''ALL {{{#ff83a2 범규}}} {{{#ffda00 태현}}} {{{#0bf1c3 휴닝카이}}}'''^^ A quarter life 누군가가 나의 나이를 부르는 말 4분의 1쯤 걸어온 긴긴 터널 너무 긴긴 터널 좋을 때래 아름다운 청춘은 지금뿐이래 힘들기만 한데 I ain’t happy at all I ain’t happy at all 혹시 어두운 이 터널에도 끝은 있을까 소리쳐도 메아리뿐이야 어디로 가야 하는 건데 답이 없는 참견 사이에 Lonely 홀로 남겨진 채 제자리를 걷는 듯해 quarter life crisis 출구 없이 던져진 삶에 끝을 모르겠는 이 길에 매일이 너무나 막막해 제자리를 걷는 듯해 quarter life crisis Quarter life crisis Quarter life crisis Don’t wanna say 아무리 나 힘들어도 don’t wanna say 이번 생은 망했다고 I f**ked it up Won’t say “I f**ked it up” 어쩜 지금이 제일 깜깜한 지점일지 몰라 지금 멈춰 서지는 말자 어디로 가야 하는 건지 모르겠지만 걷는 거지 당장은 좀 깜깜해도 헤매듯 헤쳐 나가 quarter life crisis Don't look back 돌아갈 순 없지 어른이란 건 어쩜 사실 정답이 꼭 없는 답지 헤매듯 헤쳐 나가 quarter life crisis Quarter life crisis Quarter life crisis Quarter life crisis 헤매듯 헤쳐 나가 quarter life crisis 어디로 가야 하는 건지 모르겠지만 걷는 거지 당장은 좀 깜깜해도 헤매듯 헤쳐 나가 quarter life crisis}}} || === Deja Vu (Anemoia Remi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Va4a4uPnaBY)]}}} || ||'''{{{+3 Deja Vu (Anemoia Remix)}}} {{{-1 | 07}}}'''[br]2' 50"[br][br]'''{{{-2 타이틀곡 'Deja Vu'를 어쿠스틱 기타 중심으로 재구성한 얼터너티브 록(Alternative Rock) 리믹스 버전이다. 가사와 멜로디에 집중할 수 있게 편곡해 곡의 서정적인 느낌을 극대화했다. 'Anemoia'(경험하지 않은 시절에 대한 향수)라는 가사와 같이 오래된 미래처럼 느껴지는 화자의 만남에 대한 기대가 전해진다.}}}'''[br][br] || || {{{#!folding [ 가사 보기 ] [br]^^'''ALL {{{#cc48ff,#8300b7 연준}}} {{{#00c4f2 수빈}}} {{{#ff83a2 범규}}} {{{#ffda00 태현}}} {{{#0bf1c3 휴닝카이}}}'''^^ {{{#8300b7 수없이 도망갔었어 그저 무서웠었어 아직 시작에서 기다리는 너를 두고}}} {{{#0bf1c3 폐허 속의 morse code 오랜 promise, promise 이유를 모르던 나의 눈물 내 anemoia}}} {{{#ffda00 You and I}}}{{{#ff83a2 약속의 별빛 아래서}}} {{{#ffda00 먼지 쌓인 }}}{{{#ff83a2 우리의 왕관 앞에서}}} {{{#00c4f2 영혼에 새긴 꿈처럼 다시 영원이 돼줘 나를 불러줘}}} {{{#8300b7 기억해 마침내 찾은 answer 나의 미래는 너야}}} {{{#ffda00 Say my name 첫날의 약속처럼 널 세게 안을 거야}}} {{{#ff83a2 마치 deja vu}}} {{{#00c4f2 넌 마치 deja vu}}} {{{#0bf1c3 Say it, say it Say it, say it louder}}} {{{#00c4f2 나를 태우는 그 불꽃 비 속에 영겁같이 긴 여행 속에 너와 나눈 슬픔은 my clarity}}} {{{#ffda00 너의 눈물 곁으로}}} {{{#8300b7 Oh 추락해 오는 순간에도 넌 all I need 무너진 폐허 틈의 너와 나의 place of promise}}} {{{#ff83a2 안식의 대지 영원의 회귀 날 기다려 줬던 너}}} {{{#ffda00 기억해 마침내 찾은 answer 나의 미래는 너야}}} {{{#0bf1c3 Say my name 첫날의 약속처럼 널 세게 안을 거야}}} {{{#ff83a2 마치 deja vu}}} {{{#00c4f2 넌 마치 deja vu}}} {{{#8300b7 Say it, say it Say it, say it louder}}} {{{#8300b7 약속해 몇 번을 반복해도 나의 미래는 너야}}} {{{#0bf1c3 빛의 베일에 신부처럼 반짝일 널 세게 안을 거야}}} {{{#ff83a2 마치 deja vu}}} {{{#00c4f2 넌 마치 deja vu}}} {{{#ffda00 Say it, say it Say it, say it louder}}} }}} || === Deja Vu (Sped Up Ver.)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5lJZirEx62Q)]}}} || ||'''{{{+3 Deja Vu (Sped Up Ver.)}}} {{{-1 | 08}}}'''[br]2' 23"[br][br] || || {{{#!folding [ 가사 보기 ] [br]^^'''ALL {{{#cc48ff,#8300b7 연준}}} {{{#00c4f2 수빈}}} {{{#ff83a2 범규}}} {{{#ffda00 태현}}} {{{#0bf1c3 휴닝카이}}}'''^^ 수없이 도망갔었어 그저 무서웠었어 아직 시작에서 기다리는 너를 두고 폐허 속의 morse code 오랜 promise, promise 이유를 모르던 나의 눈물 내 anemoia You and I 약속의 별빛 아래서 먼지 쌓인 우리의 왕관 앞에서 영혼에 새긴 꿈처럼 다시 영원이 돼줘 나를 불러줘 기억해 마침내 찾은 answer 나의 미래는 너야 Say my name 첫날의 약속처럼 널 세게 안을 거야 마치 deja vu 넌 마치 deja vu Say it, say it Say it, say it louder 나를 태우는 그 불꽃 비 속에 영겁같이 긴 여행 속에 너와 나눈 슬픔은 my clarity 너의 눈물 곁으로 Oh 추락해 오는 순간에도 넌 all I need 무너진 폐허 틈의 너와 나의 place of promise 안식의 대지 영원의 회귀 날 기다려 줬던 너 기억해 마침내 찾은 answer 나의 미래는 너야 Say my name 첫날의 약속처럼 널 세게 안을 거야 마치 deja vu 넌 마치 deja vu Say it, say it Say it, say it louder 약속해 몇 번을 반복해도 나의 미래는 너야 빛의 베일에 신부처럼 반짝일 널 세게 안을 거야 마치 deja vu 넌 마치 deja vu Say it, say it Say it, say it louder}}} || === Deja Vu (Slowed + Reverb Ver.)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IoGzsM3LXS4)]}}} || ||'''{{{+3 Deja Vu (Slowed + Reverb Ver.)}}} {{{-1 | 01}}}'''[br]3' 16"[br][br] || || {{{#!folding [ 가사 보기 ] [br]^^'''ALL {{{#cc48ff,#8300b7 연준}}} {{{#00c4f2 수빈}}} {{{#ff83a2 범규}}} {{{#ffda00 태현}}} {{{#0bf1c3 휴닝카이}}}'''^^ 수없이 도망갔었어 그저 무서웠었어 아직 시작에서 기다리는 너를 두고 폐허 속의 morse code 오랜 promise, promise 이유를 모르던 나의 눈물 내 anemoia You and I 약속의 별빛 아래서 먼지 쌓인 우리의 왕관 앞에서 영혼에 새긴 꿈처럼 다시 영원이 돼줘 나를 불러줘 기억해 마침내 찾은 answer 나의 미래는 너야 Say my name 첫날의 약속처럼 널 세게 안을 거야 마치 deja vu 넌 마치 deja vu Say it, say it Say it, say it louder 나를 태우는 그 불꽃 비 속에 영겁같이 긴 여행 속에 너와 나눈 슬픔은 my clarity 너의 눈물 곁으로 Oh 추락해 오는 순간에도 넌 all I need 무너진 폐허 틈의 너와 나의 place of promise 안식의 대지 영원의 회귀 날 기다려 줬던 너 기억해 마침내 찾은 answer 나의 미래는 너야 Say my name 첫날의 약속처럼 널 세게 안을 거야 마치 deja vu 넌 마치 deja vu Say it, say it Say it, say it louder 약속해 몇 번을 반복해도 나의 미래는 너야 빛의 베일에 신부처럼 반짝일 널 세게 안을 거야 마치 deja vu 넌 마치 deja vu Say it, say it Say it, say it louder}}} || == 여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