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목차] == 개요 == * 기간: 2003년 10월 11일 ~ 2004년 2월 29일 * 우승: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슈마 GO]], 준우승: [[위메이드 폭스|투나 SG]] * 결승 장소: 서울 [[올림픽공원(서울)|올림픽공원]] [[KSPO 돔|체조경기장]] * 대회 캐치프레이즈: 즐거움이 다른 게임사이트, [[피망(네오위즈)|피망닷컴]]! == 특이 사항 == * 4강 풀 리그를 진행, 1위는 결승 직행, 2위와 3위는 플레이오프 진출 * 사상 최초로 프로리그 결승전이 일요일에 열림. * [[위메이드 폭스|투나 SG]]가 창단 후 처음으로 참여한 프로리그.[* 비슷한 시기 열린 [[팀리그#s-2.1.3|옆 동네 리그]]에도 처음 도전했으나 이쪽은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슈마 GO 프로리그 첫 우승 * 우승팀 상금 2,500만원, 준우승팀 상금 1,000만원 [[http://www.youtube.com/watch?v=KobaZzI08VU|피망 프로리그 03-04 오프닝 링크]] [[http://www.youtube.com/watch?v=WaKcnIEQVSE|피망 프로리그 03-04 결승전 오프닝 링크]] == 사용 맵 == [[어나더데이]](Another Day), [[기요틴(스타크래프트)|기요틴]](Guillotine), [[노스탤지아(스타크래프트)|노스탤지아]](Nostalgia), [[개마고원(스타크래프트)|신 개마고원]], [[버티고#s-4|버티고 플러스]](Vertigo Plus), [[헌트리스#s-3]](Huntress) == 상세 == '''1라운드''' ||순위||팀||승||패||득실|| ||1||[[한빛 스타즈]]||6||1||14-7|| ||2||[[SouL]]||5||2||13-8|| ||3||[[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슈마 GO]]||4||3||13-8|| ||4||[[위메이드 폭스|투나 SG]]||4||3||11-10|| ||5||[[하이트 스파키즈|KOR]]||4||3||10-11|| ||6||[[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F 매직엔스]]||2||5||9-12|| ||7||[[SKT T1/스타크래프트|4U]]||2||5||9-12|| ||8||[[eSTRO|AMD 드림팀]]||1||6||5-16|| (빨강:1라운드 탈락) '''2라운드''' ||순위||팀||승||패||득실|| ||1||[[위메이드 폭스|투나 SG]]||6||1||6-3|| ||2||[[한빛 스타즈]]||5||2||5-4|| ||3||[[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슈마 GO]]||4||3||4-5|| ||4||[[SouL]]||4||3||3-6|| (노랑:결승 직행, 초록:플레이오프 진출) ||<-5>플레이오프(2004.2.21)|| ||서지훈 T||승||<:>신 개마고원||패||<)>유인봉 T|| ||강민 P[br]박태민 Z||승||<:>버티고 플러스||패||<)>강도경 Z[br]박영민 P|| ||전상욱 T||승||<:>어나더데이||패||<)>박경락 Z|| ||강민 P[br]박태민 Z|| ||<:>헌트리스|| ||<)>박영민 P[br]강도경 Z|| ||이재훈 P|| ||<:>노스탤지아|| ||<)>나도현 T|| ||'''슈마 GO'''||3||<:>'''결과'''||0||<)>한빛 스타즈|| ||
<-5>결승(2004.2.29)|| ||박태민 Z||승||<:>노스탤지아||패||<)>홍진호 Z|| ||강민 P[br]박태민 Z||승||<:>헌트리스||패||<)>이윤열 P[br]홍진호 P[* 랜덤으로 해서 둘 다 플토가 나왔다]|| ||서지훈 T||패||<:>신 개마고원||승||<)>이윤열 T|| ||강민 P[br]서지훈 T||승||<:>버티고 플러스||패||<)>심소명 Z[br]안기효 T|| ||전상욱 T||승||<:>어나더데이||패||<)>이병민 T|| || || ||<:>헌트리스|| || || || || ||<:>기요틴|| || || ||'''슈마 GO'''||4||<:>'''결과'''||1||<)>투나 SG|| 전 시즌 우승팀이었던 4U와 지난 시즌 플레이오프 진출팀 KTF 매직엔스가 지난 시즌과 대비되는 모습으로 몰락하였고, [[팀리그]]의 강자였던 슈마 GO가 결승전에서 신흥 강호이자 개인전 다승왕과 신인왕을 동시에 수상한 [[이병민]]을 앞세운 투나 SG를 상대로 결승전에서 세트스코어 4:1로 승리하면서 팀 최초의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프로리그]] 우승과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브루드 워]] 시즌 유일한 팀의 프로리그 우승트로피를 얻게 되었다. 또한 전 시즌과 대비되게 SouL과 KOR의 약진도 이 대회의 포인트였다. 참고로 이 대회는 [[온게임넷]] 단독중계 시절 열린 프로리그 중 유일하게 [[온게임넷 스타리그|스타리그]]와 앰블럼을 공유했다. 상징색은 파란색이었다. 이때 시청률은 낮았는데, 당시 [[MBC GAME]]에서 진행하던 KT-메가패스 네스팟 [[KT-KTF 프리미어 리그|프리미어 리그]]에 시청률에서 밀렸다. 이는 MBC GAME이 온게임넷보다 보급률이 낮았던 걸 생각한다면 온게임넷 입장에선 굴욕이 아닐 수 없다. 그래도 결승전은 관중이 1만 여 명이 넘게 왔을 정도로 흥행은 성공해서 어느 정도 체면치례는 했다. 그외에 주목할 만한 명경기로는 정규시즌 2라운드 [[투나 SG]]와 [[SouL]] 간의 대결에서 [[이윤열]]과 [[한승엽]]의 [[https://www.youtube.com/watch?v=xmzyn02lRn0|경기]]로 한승엽이 거의 이윤열의 스타팅 멀티와 앞마당 멀티를 제외한 전 지역을 장악했지만 이윤열이 결사항전과 한승엽의 공격을 핵으로 막아내는 대역전승을 차지하였다. 자세한 대진은 [[neowiz Pmang Cup 온게임넷 프로리그/대진표]] 참고. [[분류: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version=1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