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planetarian]][[분류:2004년 Windows 게임]][[분류:2006년 PlayStation 2 게임]][[분류:2009년 PlayStation Portable 게임]][[분류:2011년 모바일 게임]][[분류:2019년 Nintendo Switch 게임]][[분류:일본 게임]][[분류:전연령 미소녀 게임]] [include(틀:Key)]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파일:Planetarian_Logo.png|width=100%]]||{{{#3c383a '''{{{+3 플라네타리안 ~작은 별의 꿈~}}}'''[br]planetarian ~ちいさなほしのゆめ~[br]planetarian ~The Reverie of a Little Planet~}}} ||}}}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lanetarian HD.jpg|width=100%]]}}}|| || '''개발''' ||[[Key(브랜드)|Key]] || || '''유통''' ||[[비주얼 아츠]] {{{-2 (PC, 모바일, Steam/HD)}}}[br][[프로토타입(기업)|프로토타입]] {{{-2 (콘솔)}}}[br][[Sekai Project]] {{{-2 (Steam)}}} || || '''플랫폼''' ||'''PC'''[br][[Microsoft Windows]][br]'''모바일'''[br]FOMA | [[소프트뱅크]] 3G[br][[iOS]] | [[Android]][br]'''콘솔'''[br][[PlayStation 2]] | [[PlayStation Portable]][br][[Nintendo Switch]] || || '''ESD''' ||'''PC'''[br][[Steam]] | [[DLsite]][br]'''모바일'''[br][[App Store]] | [[Google Play]][br]'''콘솔'''[br][[닌텐도 e숍/Nintendo Switch|Nintendo eShop]] || || '''장르''' ||[[키네틱 노벨]] || || '''출시''' ||'''PC'''[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04년 11월 29일 {{{-2 (야후 BB 유저 다운로드판)}}}[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06년 4월 28일 {{{-2 (초회판·통상판)}}}[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10년 4월 30일 {{{-2 (메모리얼 에디션)}}}[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출력= )] 2014년 9월 12일 {{{-2 (Steam)}}}[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16년 7월 29일 {{{-2 (HD 에디션)}}}[br][[파일:세계 지도.svg|width=27]] 2017년 5월 8일 {{{-2 (Steam/HD)}}}[*지원언어A 일본어, 영어, 중국어(간체, 번체), 독일어, 스페인어, 프랑스어][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21년 9월 3일 {{{-2 (Ultimate Edition)}}}[br]'''PS2'''[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06년 8월 24일[br]'''PSP'''[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09년 2월 28일[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11년 5월 12일 {{{-2 (지진 자선판)}}}[br]'''iOS'''[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11년 11월 8일[br]'''Android'''[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11년 11월 30일[br]'''Nintendo Switch'''[br][[파일:세계 지도.svg|width=27]] 2019년 1월 31일[*지원언어B 일본어, 영어, 중국어(간체, 번체), 프랑스어] || || '''엔진''' ||RealLive[br]SiglusEngine {{{-2 (Steam/HD)}}} || || '''한국어 지원''' ||비공식 지원 || || '''심의 등급''' ||'''{{{#000000,#dddddd 심의 없음}}}''' || || '''해외 등급''' ||'''[[컴퓨터 소프트웨어 윤리 기구|{{{#000000,#dddddd EOCS 전연령}}}]]''' {{{-2 (PC)}}}[br]'''[[컴퓨터 오락 등급 기구|{{{#000000,#dddddd CERO A}}}]]''' {{{-2 (콘솔)}}}[br]'''12+''' {{{-2 (App Store)}}}[br]'''12+''' {{{-2 (Google Play)}}} || || '''관련 사이트''' ||[[https://key.visualarts.gr.jp/product/planetaria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상점 페이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623080/planetarian_HD/|[[파일:스팀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dlsite.com/soft/work/=/product_id/VJ010327.html|[[파일:DLsite 아이콘.png|width=25]]]] | [[https://apps.apple.com/jp/app/planetarian-%E3%81%A1%E3%81%84%E3%81%95%E3%81%AA%E3%81%BB%E3%81%97%E3%81%AE%E3%82%86%E3%82%81/id474121500|[[파일:App Store 아이콘.svg|width=25]]]]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jp.co.prot.planetarian|[[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width=25]]]] | [[https://store-jp.nintendo.com/list/software/70010000014771.html|[[파일:닌텐도 e숍 아이콘.svg|width=25]]]]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제작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기획''' ||<|2>[[스즈모토 유이치]] || || '''시나리오''' || || '''원화''' ||[[코마츠 에지]] || || '''음악''' ||[[토고시 마고메]] || || '''이그제큐티브[br]프로듀서''' ||[[바바 타카히로]]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천국을 둘로 나누지 말아주세요.''' >'''(天国をふたつに、わけないでください。)'''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ctI2--Y9K4)]}}}|| || '''PV''' || [[비주얼 아츠]]에서 설립한 브랜드 [[키네틱 노벨]]의 첫 번째 게임으로 [[Kanon]], [[AIR(게임)|AIR]] 등으로 유명한 [[Key(브랜드)|Key]]에서 개발을 담당했다. === 시놉시스 === [[포스트 아포칼립스|30년 전부터 세계적인 규모의 대전쟁이 계속되어 인구는 극도로 줄고 방사능 비가 1년 내내 내리는 미래.]][* 후에 [[2078년]] 11월이 본편 배경임이 밝혀졌다.][* 인류는 포화된 지구를 대체할 행성을 찾기 위해 우주개척 계획을 차근차근 진행하고 있었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진전이 없게 되자, 국가간의 갈등은 점점 심해지고, 결국엔 달에 건설되었던 우주기지가 파괴되는 것을 계기로 [[제3차 세계대전|돌이킬 수 없는 대전쟁이 발발하게 된다]]. 핵무기, 생화학무기, 무인병기 등 온갖 병기들을 써먹었다. 일본의 경우 무인병기 발달 국가로 추정되며 애니메이션에선 본편의 꽃발게 외에 쓰레기통만한 대인용 소형 무인병기 또한 있다.] 이런 와중에도 살아남은 소수의 생존자들 간에는 생존을 위해 서로 죽이고 약탈하는 소규모 분쟁이 끊이지 않는다. 주인공은 이런 전쟁의 폐허 속에서 쓸만한 물건을 구해오는 '[[폐품업자|폐품상]]' 이며, 전쟁 초기에 생화학무기의 공격을 받아 버려진 '봉인도시'로 향한다.[* 전쟁 당시에 기동되었던 무인병기들이 아직도 기동하고 있어서 목숨을 걸어야 하는 일이지만 운이 좋으면 전쟁 전에 생산되었던 [[담배]] 나 [[리큐르]] 같은 귀한 물건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봉인도시에서 동행의 배신과 무인 병기에 쫓기던 주인공은 피할 곳을 찾아 백화점이였던 건물 옥상의 돔형 건물로 피신을 하게 되고, 그 곳에서 자신이 250만번째 손님이라며 환영하는 [[호시노 유메미]]라는 소녀형 로봇을 만나게 되는데... == 상세 == 초기에는 키네틱 노벨 다운로드 판매로만 유통되었으나 현재는 PC 패키지판(유메미 풀보이스), PS2판(전 캐릭터 풀보이스)이 발매되어 있다. 2009년 발매된 key 10th memorial box(10주년 기념판)에 포함된 플라네타리안에는 주인공까지 더불어 풀 더빙이 되어 있다. 주인공의 성우는 [[오노 다이스케]]. 주인공의 독백 부분과 해설 부분은 제외한 주인공이 직접 말하는 부분만 더빙되어있다. 2014년 9월 10일 PSP판 한글 패치가 나옴으로써 풀보이스 대응 버전을 한글로 플레이 할 수 있게 되었다.([[https://cafe.naver.com/hansicgu/12654|#]])[* PSP 실기에서 실행 시 엔딩 영상이 정상적으로 나오지 않는 버그가 있다. 패치 제작자는 2014년 9월 18일 버그를 수정하겠다고 말했으나 1년을 넘겨서도 버그는 수정되고 있지 않다. [[PPSSPP]] 등의 에뮬레이터에서는 정상 작동.] 게임의 실제 배경은 [[시즈오카]] 현 [[하마마쓰]] 시로 원경 배경도 같고 백화점(플라네타리움 제외), 슈크림 가게 등이 실제로 있었으나 백화점은 재건축되었다고 한다. 영문 패치도 있는데, '''천문학자'''의 감수를 받았다고 한다. 또한 유메미의 이름도 'Reverie Planetarian'으로 변경되었다.[* 스팀판에서는 Hoshino Yumemi로 나오되, 그 뜻이 함께 표시된다.] 참고로 이 이후 스즈모토 유이치는 비주얼아츠에서 퇴사. 블로그에는 '해고당했다'라고 올라와 있다. 해고 원인은 한달에 회사에 두번 출근해서 그랬다는 말이 있는데 [[마에다 준]]의 발언 등을 미루어 보면 거의 사실로 받아들여진다.[* 스즈모토 유이치는 이전에도 클라나드의 미야자와 유키네 루트 시나리오를 제때 완성하지 않는 등 태업을 부린 전적이 있었다.] 오프닝과 엔딩에서 흐르는 'いつくしみ深き'[* 星の界(별의 세계)라는 일반 가곡으로도 알려져있다.]라는 곡의 원곡은 북유럽 지방의 민요를 [[https://en.wikipedia.org/wiki/Charles_Crozat_Converse|찰스 크로잣 컨버스]](Charles Crozat Converse)가 편곡한 [[찬송가]] 'What A Friend We Have In Jesus'이며, 한국 교회에서 쓰이는 찬송가에도 '죄짐 맡은 우리 구주'라는 제목으로 번역된 이 곡이 실려 있다. 덕분에 교회 다니는 오덕들이 초반부터 충격과 공포에 휩싸이게 되는 경우가 가끔 있다. 플라네타리안의 각 장면에 쓰인 OST 목록. 장면 설명은 한글 패치를 따름.([[https://blog.naver.com/gncks66/220334023890|#]]) == 후속 전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planetarian)] 본편 발매 이후 소설판으로 프리퀄과 시퀄이 제작되면서 세계관이 확장되었고, 이를 토대로 드라마 CD와 애니화도 이루어졌다. 플라네타리안의 전체적인 시나리오를 이해하려면, 소설판이나 드라마 CD를 통해 게임판의 내용과 연계해서 이해해야 한다. 이것들은 어디까지나 본편을 플레이 한 것을 전제로 하고 만들어졌으므로, 본편을 먼저 플레이한 후에 감상하도록 하자. == 평가 == [include(틀:평가/미소녀 게임, game=planetarian ~작은 별의 꿈~, vndb=34, rate=7.88 (good), eroge=4350, midmean=80 / 77, 5ch=73, rank1=비에로게, getchu=pc/rank.phtml?rank_flag=1, rank2=20위권 밖, moege=, prize=설립 전)] 2~3시간 정도의 짧은 플레이 타임을 가지고 있지만 시나리오가 굉장히 탄탄하고 강렬해서 많은 사람들에게 명작 평가를 받고 있다. 가끔 플레이 타임을 문제삼는 사람들이 있지만 다운로드 판매가가 1050엔(현재는 1365엔)임을 생각하면 그렇게 볼륨이 작은 것은 아니다. Key 작품 답게 OST 퀄리티가 매우 훌륭한데, 그중에서도 [[토고시 마고메]]가 작곡한 '''Gentle Jena'''는 플라네타리안을 상징하는 OST로 남았다. 원곡은 가사가 없는 사운드트랙이지만 12년이 지나 극장판 제작과 함께 보컬 버전도 발매됐다. 처음 다운로드판만으로 발매되었을 당시에는 아직 DL 판매 인프라가 보편화되기 전이라 판매량은 저조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후 입소문을 타고 패키지판, 콘솔판 등 다양한 플랫폼으로 누계 13만장 이상이 판매되어 Key의 스테디셀러 작품이 되었다.([[https://animeanime.jp/article/2016/07/06/29352.html|출처]]) 키네틱 노벨의 첫 작품이자 대표격인 작품이기도 하고, 발매로부터 꽤 오랜 세월이 흐른 현재까지도 코어 팬들이 상당수 존재하는 타이틀 중 하나다. 예로, 발매 15주년을 기념하여 2019년 진행된 OVA화 펀딩 프로젝트에서 약 7800만엔이 모였는데, 39만 6000엔, 65만 엔이라는 고액 후원에도 각각 12명씩 지원하였다. == 이식 == === PS2 === === PSP === [[PSP]]판이 3000엔의 가격으로 발매되었으나, '''이벤트 한정 판매'''라서 많은 사람들이 피눈물을 흘렸다. 다행히 2009년 8월 24일부터는 2200엔에 다운로드 서비스도 하고 있다. 2011년 5월에 [[도호쿠 대지진]] 의연금 마련을 위해 자선행사판 발매. === 스마트폰 === '''스마트폰 앱 버전'''으로 발매되었다. [[https://itunes.apple.com/jp/app/planetarian-chiisanahoshinoyume/id474121500|iOS 유니버셜 앱]] 2013년 1월 7일자 패치로 텍스트는 일본어와 영어 중 하나를 선택해서 플레이 할 수 있게 되었다. 음성은 일본어만 지원한다. === 스팀 === 2014년 9월에 [[스팀]]으로 영문판이 발매되었다.[[http://store.steampowered.com/app/316720/]] 퍼블리싱은 [[Sekai Project]]가 맡았다. 스팀판(영어)에 패키지판(일본어)용 한국어화 패치를 적용 가능하다. 다만, 패치를 적용하면 폐품상의 목소리가 나오지 않고 도전과제도 해금되지 않는다. 와이드 패치도 적용되지 않는다. 2022년 12월 1일부로 통상판의 스팀 구매가 불가능해진다. [[https://store.steampowered.com/news/app/316720/view/3515651436924010511|#]] HD판에 영어와 일본어가 업데이트된 것으로 보아, 통상판을 배급하던 Sekai Project와의 독점 퍼블리싱 계약이 만료된 것으로 추정된다. === Key 10th Memorial Box === Key 10주년 메모리얼 박스에 동봉되었다. === HD 에디션 === 2016년 7월 29일 HD 에디션이 발매되었다. HD 화질을 지원하고, CG 채색이 살짝 수정되었다. 앞선 패키지 판의 한글 패치를 그대로 이식한 패치가 있다.([[https://gall.dcinside.com/visualarts/4528|#]]) 2017년에는 Steam에서 간체자 중국어로 HD 버전이 이식되었다.([[https://store.steampowered.com/app/623080/planetarian_HD/|#]]) 이후 업데이트로 독일어, 정체자 중국어, 프랑스어, 스페인어가 차례로 추가되었다. 스팀 통상판을 배급한 [[Sekai Project]]가 아닌 비주얼 아츠에서 직접 배급하기 때문인지 영어와 일본어는 지원하지 않았는데, 2022년 9월 20일 업데이트로 영어와 일본어도 추가되었다. 특이점으로는 Realive 엔진이 그대로 사용된 HD 패키지 판과 달리 스팀 이식작 최초로 신형 엔진인 siglus 엔진이 탑재되었다는 것. 마찬가지로 스팀용 한글 패치가 있다.([[https://gall.dcinside.com/visualarts/4534|#]]) === VR === 3D VR 버전 출시를 위해 [[크라우드 펀딩]]을 실시하였고, 목표치를 200% 달성하였다.[[https://camp-fire.jp/projects/view/53685|#]] === Switch === 2019년 1월 31일 Key 게임 중 처음으로 [[Nintendo Switch]]로 발매되었다. 언어로는 일본어, 영어, 프랑스어, 간체/번체 중국어가 수록되었다. === Ultimate Edition === 2021년 9월 3일[* 8월 27일에서 1주일 연기되었다.], OVA 펀딩 공약이었던 프리퀄 스노 글로브의 키네틱 노벨화가 포함된 Ultimate Edition이 발매된다. == 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planetarian, 앵커=등장인물)] * 폐품상(屑屋. 유메미에게는 손님이라 불린다. 영문판에서는 Mr. Customer)[anchor(폐품상)] 성우는 [[오노 다이스케]] / [[데이비드 머트랭가]] * [[호시노 유메미]] == 미디어 믹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planetarian)] === [[planetarian/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planetarian/애니메이션, 앵커=작은 별의 꿈)] == 기타 == * 모바일 게임 [[방주지령]]과 콜라보하여 히로인 [[호시노 유메미]]가 [[호시노 유메미(방주지령)|참전]]하였다. * 당장 살기 위해 발버둥치는 가운데 작은 위안을 얻는 이야기지만, 결국은 절멸이라는 미래가 확정되어 있는 꿈도 희망도 없는 세계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 [[카기나도 시리즈]]에서는 [[카기나도|1기]]에서는 유메미만 등장. 일반적인 등신대로 그려졌으며 우시오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원작의 역할 그대로 출연하였다. 이후 [[카기나도 Season 2|2기]]의 마지막화에서 폐품상이 등장하였다. 작품 특성상 원작과는 달리 폐품상의 표정이 굉장히 밝게 나오며, 유메미와 다음 공연을 준비하자는 장면으로 끝을 맺었다. 원작과는 달리 평화롭게 지내는 것으로 보이기에 원작을 아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상당히 해피 엔딩인 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