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p.eagate.573.jp/201707_sv_05.jpg]] [목차] == 개요 == [[사운드 볼텍스]] 시리즈의 수록곡으로, 작곡가는 古屋直雪. == [[사운드 볼텍스]] ==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 'The 6th KAC 오리지널 악곡 콘테스트'의 당선곡이다.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5>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난이도 || NOVICE || ADVANCED || EXHAUST || MAXIMUM || || 자켓 || [[파일:rhythmology study nov.png|width=150]] || [[파일:rhythmology study adv.png|width=150]] || [[파일:rhythmology study exh.png|width=150]] || [[파일:rhythmology study mxm.png|width=150]] || || 레벨 || 05 || 11 || 14 || 17 || || 체인 수 || - || 0644 || 1083 || 1745 || || 일러스트 담당 ||<-4> Nogi-To ||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4> [[Ether99]] || || 수록 시기 ||<-4> {{{#0099ff,#0098ff IV 20(2017.07.27)}}} || || [[BPM]] ||<-4> 270 || ||<-5> The 6th KAC × 여름의 사볼 해금 순서 || || [[dreamin' of u]] ||<|2> → || '''rhythmology study''' ||<|2> →|| [[Game Over(BEMANI 시리즈)|Game Over]] || 자켓의 캐릭터는 [[사운드 볼텍스/캐릭터#그레이스|그레이스]]. 국내 자켓 일러스트 심의 문제로 삭제 됨. === 채보 상세 === [youtube(Y6tG_G93YzM, width=420, height=600)] MXM 손배치 포함 PUC 영상 BPM 270이라는 굉장히 빠른 속도임에도 불구하고 쉬는구간이라고 할 만한 구간이 없어 극 체력곡 형식을 띄고 있다. 이 곡의 하이라이트는 최후반부의 fx 2개를 한 손으로 잡은 채 bt 3,4를 12비트로 트릴을 쳐야하는데 그냥 쳐도 처음보는 유저들은 당황 할 만한 구간이지만 이 트릴의 끄트머리에서 '''8비트로 박자가 감소한다!''' 다행히 [[Monkey Business#s-3.3|이 곡]]처럼 트릴이 길진 않아 완전히 말리지만 않으면 클리어에 큰 지장은 없으나 스코어링을 하는 유저들의 경우엔 반드시 숙지해야 하는 부분. 또한 트릴 직후 등장하는 겹계단에서 손이 잘못하면 꼬일 수 있으므로 주의. 클리어 난이도는 17렙 상위권 정도로 보고 있다. 여름의 사볼 다단계 해금의 [[Game Over(BEMANI 시리즈)|다음 곡]]보다 어렵다는 의견이 대다수. 스코어링 역시 체인수가 적은 편인 데다 노트 박자가 난해해서 상당히 어려우며, 특히 PUC 난이도는 17레벨 중 탑을 달린다. === 당선자 코멘트 === ||사운드 볼텍스에서는 처음 뵙겠습니다. 후루야 나오유키(古屋直雪)라고 합니다. 이렇게 이 장소에서 인사드릴 수 있어서 정말 기쁩니다. 희비가 교차해 글을 적어내리고는 싶지만 여기서는 속에만 품어두고 있겠습니다. 그럼, 이번에 제작하게 된 악곡은 The 6th KAC를 위해 고난이도가 되어야 할 악곡이란 것이 하나의 명제였다고 생각합니다만, 고속 BPM에 엄청난 기교가 있는 악곡을 만드는 것은 서투르기에 그야말로 타이틀 그대로 「리듬」을 비튼 곡이 되었습니다. 게임성과 음악성을 어떻게 양립할 수 있을까 고심한 부분도 많기에 플레이해도 좋고 들어도 좋을 악곡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그럼 rhythmology study를 아무쪼록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rhythm의 스펠은 어려우니까 이걸 계기로 기억해주세요.|| [[분류:사운드 볼텍스 IV 헤븐리 헤이븐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