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파일:vivid/stasis 로고.png|width=240px]]|| ||<-2><#DDDDDD> {{{+2 {{{#FD0573 '''vivid'''}}}'''/'''{{{#0778ED '''stasis'''}}}}}} || ||<#808283> '''개발''' ||<#C0C5C6> hajimeli || ||<#808283> '''플랫폼''' ||<#C0C5C6> [[PC]] || ||<#808283> '''출시일''' ||<#C0C5C6> 2022년 3월 21일 || ||<#808283> '''장르''' ||<#C0C5C6> [[리듬 게임]] || ||<#808283> '''관련 웹사이트''' ||<#C0C5C6>[[https://store.steampowered.com/app/2093940/vividstasis/|[[파일:스팀 아이콘.svg|width=20]]]] ||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uZncwVt8so)]}}} || ||<#C0C5C6> v2.0.0 출시 트레일러 || [[https://twitter.com/hajimeli_vs|hajimeli]]가 개발한 PC 리듬게임. 현재 Steam에 무료로 정식 발매되어 있다. == 게임 정보 == 판정, 노트 종류 등을 서술해두었으며, 게임 내의 User Manual 탭을 통해서도 게임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게임 플레이 === vivid/stasis는 4개의 레인이 있는 4키 리듬 게임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노트의 종류에는 '칩 노트(단노트)'와 '홀드 노트(롱노트)'가 있다. 여기서 추가로 '범퍼 노트'가 있는데 {{{#0778ED 왼쪽}}}의 경우는 1번 또는 2번 키, {{{#FD0573 오른쪽}}}의 경우는 3번 또는 4번 키를 누르면 처리할 수 있다. 즉 범퍼 노트와 칩 노트가 함께 나오는 경우 플레이할 때 가변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시도해 볼 수 있다. ==== 레벨 및 난이도 체계 ==== 레벨은 1~15까지 존재한다. 또한 곡 선택 화면에는 볼 수 없지만 일정 레벨 이상에서는 0.1 단위로 난이도가 상세하게 나눠져 있으며,[* Rating List에서는 자신의 레이팅에 들어간 20곡에 한해서 상세 난이도를 확인할 수 있다.] 11 이상에서는 레벨이 x.7 ~ x.9라면 +가 붙게 된다.[* 기존에는 x.5부터 +가 붙었으나, 2.4.3 업데이트에서 변경되었다.] 따라서 11부터는 11+, 12+, 13+, 14+ 레벨도 존재한다. 난이도 체계로는 곡마다 기본적으로 {{{#00FF21 Opening}}}, {{{#00C4FF Middle}}}, {{{#FF0001 Finale}}} 세 개의 난이도가 있고, 몇몇 곡에는 추가로 {{{#B200FF Encore}}} 난이도가 있다. - {{{#00FF21 Opening}}}: 1~8레벨 채보가 존재한다. - {{{#00C4FF Middle}}}: 5~12레벨 채보가 존재한다. - {{{#FF0001 Finale}}}: 8, 10~14+레벨 채보가 존재한다. - {{{#B200FF Encore}}}: 12~15레벨 채보가 존재한다. 기본적으로 {{{#FF0001 Finale}}} 난이도에서 AA 이상을 달성하면 해금되나, 일부 곡은 특수한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 곡별 스탯 ==== '''Rhythm Play'''에 진입해서 곡을 고를 때 Tab 키를 누르면 Technical Song Stats라 불리는 창이 나타나는데, 이를 통해 곡의 성향을 대략적으로 알 수 있다. 각각의 정보는 다음과 같다. - '''CHIP''': 채보에서 칩 노트가 차지하는 비중 - '''SPEED''': 채보에서 노트의 평균적인 밀도 - '''TECH''': 채보에서 롱 노트와 범퍼 노트가 차지하는 비중 - '''SPIKE''': 채보에서 노트의 순간적인 밀도가 가장 높을 때의 수치. SPIKE 수치의 경우 노트의 밀도의 차가 클 수록 높게 잡히는 경향이 있다. - '''MULTI''': 채보에서 동타, 롱잡, 범퍼 노트 + 다른 노트와 같이 여러 키를 한 번에 눌러야 하는 경우가 많으면 이 수치가 높게 잡히는 경향이 있다. ==== 해독 타입 ==== 게임 옵션 중에 '''DECRYPTION TYPE'''(해독 타입)이라는 것이 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게이지[* 미스가 발생할 때 마다 게이지가 감소하며, 게이지가 0이 되면 그 즉시 게임 오버하는 시스템.] 설정이다 어떤 종류를 선택하냐에 따라서 게이지와 클리어 보상이 변한다. - '''BASIC''': 기본 모드. 게이지가 없다. (보상: {{{#FF00DC 포인트 ×2}}}, {{{#2280FA 배터리 ×2}}}) - '''PERFORMANCE''': 일반 게이지 모드. Song Shop을 위한 {{{#FF00DC 포인트}}} 획득을 빠르게 하려고 할때 선택하면 좋다. (보상: {{{#FF00DC 포인트 ×'''4'''}}}, {{{#2280FA 배터리 ×1}}}) - '''CHARGE''': 일반 게이지 모드. Node Flowchart를 위한 {{{#2280FA 배터리}}} 획득을 빠르게 하려고 할때 선택하면 좋다. (보상: {{{#FF00DC 포인트 ×1}}}, {{{#2280FA 배터리 ×'''4'''}}}) - '''HARMONY''' 하드 게이지 모드. 보상은 위의 2개를 합친 형태이다. 재화를 꽤 많이 모을 수 있는 게이지. (보상: {{{#FF00DC 포인트 ×'''4'''}}}, {{{#2280FA 배터리 ×'''4'''}}}) - '''ULTIMATE''' 쉽게 말해서, 풀 콤보 챌린지. {{{#B20000 FAILED}}}가 1개라도 발생하는 순간 게이지가 0이 되어 게임 오버가 된다. 반대로, '''풀 콤보가 가능만 하다면 재화를 많이 모을 수 있다.''' (보상: {{{#FF00DC 포인트 ×'''6'''}}}, {{{#2280FA 배터리 ×'''6'''}}}) 아래는 게이지에 대한 상세 정보. ||<-2> 판정 ||<-4> 게이지 변화량 || ||<-2> 게이지 || PERFORMANCE, CHARGE, CHALLENGE || HARMONY || ULTIMATE || Course || ||<|2> {{{#FFB929 '''A.CRITICAL'''}}}[br]{{{#FF8800 '''CRITICAL'''}}} || 탭 노트, 범퍼 노트 || +0.5% || +0.4% || +0% ||<|2> +0.4% || || 홀드 노트, 홀드 틱 || +0.25% || +0.2% || +0% || ||<-2> {{{#D000E9 '''GREAT'''}}} || +0.35% || +0.28% || +0% || +0.28 || ||<-2> {{{#008BE0 '''GOOD'''}}} || +0.2% || +0.16% || +0% || +0.16% || ||<|2> {{{#B20000 '''FAILED'''}}} || 탭 노트, 범퍼 노트 || -18% || -25% || '''-10,000%'''[*즉시게임오버 시스템 상으로는 게이지 변화량이 다음과 같으므로 서술. 실제 게임에서는 {{{#B20000 '''FAILED'''}}} 발생 시 즉시 게임오버다.] || -20% || || 홀드 노트, 홀드 틱 || -9% || -12.5% || '''-5,000%'''[*즉시게임오버] || -10% || === 모드 === - '''Rhythm Play''': 원하는 곡을 선택해서 플레이하는 모드. - '''Course Mode''': 정해진 4개의 코스를 전용 게이지로 플레이하는 모드. 코스를 클리어하면 레이팅 왼쪽의 클래스가 변동된다. - '''Song Shop''': 게임에서 모은 {{{#FF00DC 포인트}}}로 악곡을 해금할 수 있다. - '''Node Flowchart''': 게임에서 모은 {{{#2280FA 배터리}}}로 스토리 및 악곡을 해금할 수 있다. - '''Profile''': 자신의 이름, 레이팅, 클래스, 칭호 등을 확인할 수 있다. - '''Rating List''': 자신의 레이팅에 들어간 곡 20개와 해당되는 곡에서 얻은 레이팅을 보여준다. - '''User Manual''': 게임 관련 정보가 적혀있는 pdf를 확인할 수 있다. - '''System Options''': 게임 관련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 '''Boundary Shatter''' : 특수 모드. 만우절 전용 채보나 특수한 기믹이 있는 채보를 플레이할 수 있다. === 판정 및 점수 === vivid/stasis에는 안에 {{{#FF8800 CRITICAL}}}, {{{#D000E9 GREAT}}}, {{{#008BE0 GOOD}}}, {{{#B20000 FAILED}}} 판정이 있고, {{{#FFB929 A.CRITICAL}}}이라는 세부 판정이 있다. 범퍼 노트와 홀드 노트는 예외적으로 {{{#FFB929 A.CRITICAL}}}과 {{{#B20000 FAILED}}}만이 존재한다. 이 중 홀드 노트는 틱마다 {{{#FFB929 A.CRITICAL}}} 판정이 발생하고 너무 일찍 떼면 {{{#008BE0 GOOD}}} 판정이 발생함과 함께 남은 틱은 전부 {{{#B20000 FAILED}}} 판정으로 처리된다. || '''판정 이름''' || '''정확도 스코어''' || '''EX 스코어''' || '''판정 범위''' || || {{{#FFB929 '''A.CRITICAL'''}}} || 101% || 3 || ±35ms (칩 노트)[br]±150ms (범퍼 노트, 홀드 노트) || || {{{#FF8800 '''CRITICAL'''}}} || 100% || 2 || ±70ms || || {{{#D000E9 '''GREAT'''}}} || 70% || 1 || ±110ms || || {{{#008BE0 '''GOOD'''}}} || 30% || 0 || ±150ms || || {{{#B20000 '''FAILED'''}}} || 0% || 0 || ±200ms[br]노트를 놓치는 경우 || 스코어는 '''정확도 스코어'''와 '''EX 스코어''' 두 가지가 존재한다. '''정확도 스코어'''는 본인의 최고 기록이 저장될 때 해당 스코어로 저장 되고, 랭크도 해당 스코어로 저장되는 등, 타 게임의 일반적인 점수라고 보면 된다. 가능한 최고 점수는 1,010,000점이며, 위의 표에서 서술된 %는 {{{#FF8800 CRITICAL}}}이 1,000,000점임을 기준으로 서술하였다. '''EX 스코어'''는 [[beatmania IIDX]]의 점수 시스템과 비슷하다. EX 스코어는 본인의 기록에 저장되지 않는다. || 랭크 || 점수 || || V || 1,008,000 ~ || || SS+ || 1,004,000 ~ 1,007,999 || || SS || 1,000,000 ~ 1,003,999 || || S+ || 990,000 ~ 999,999 || || S || 980,000 ~ 989,999 || || AA || 950,000 ~ 979,999 || || A || 900,000 ~ 949,999 || || B || 850,000 ~ 899,999 || || C || 800,000 ~ 849,999 || || D || 500,000 ~ 799,999 || || E || ~ 499,999 || == 캐릭터 == == [[vivid/stasis/수록곡|수록곡]]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vivid/stasis/수록곡)] == [[vivid/stasis/코스 모드|코스 모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vivid/stasis/코스 모드)] [[분류:vivid/sta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