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오르기 3세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타오-클라제티 공작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아쇼트 1세바그라트 1세(타오-클라제티)아다르나세 2세과람
타오 공작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다비트 1세구르겐 1세(타오)아다르나세 3세아쇼트 2세
타오 공작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구르겐 2세바그라트 1세아쇼트 3세아다르나세 4세
타오 공작
제9대제10대제11대-
바그라트 2세(타오)다비트 3세바그라트 3세-
클라제티 공작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숨바트 1세(클라제티)다비트 1세(클라제티)바그라트 1세(클라제티)숨바트 2세
클라제티 공작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다비트 2세(클라제티)바그라트 2세(클라제티)숨바트 3세바그라트 3세(클라제티)
이베리아 국왕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아다르나세다비트 2세숨바트 1세바그라트 2세
이베리아 국왕
제5대---
구르겐 1세---
조지아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바그라트 3세기오르기 1세바그라트 4세기오르기 2세
조지아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다비트 4세데메트리우스 1세다비트 5세데메트리우스 1세
조지아 왕국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기오르기 3세타마르기오르기 4세루수단
조지아 왕국
제13대제14대--
다비트 6세다비트 6세
다비트 7세
--
서부 조지아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다비트 6세콘스탄틴 1세(서부 조지아)미켈(서부 조지아)바그라트 1세(서부 조지아)
동부 조지아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다비트 7세데메트리우스 2세바흐탄그 2세다비트 8세
동부 조지아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기오르기 5세바흐탄그 3세다비트 8세기오르기 6세
동부 조지아 왕국
제9대---
기오르기 5세---
1차 통합 조지아 왕국
초대제2대제3대-
기오르기 5세다비트 9세바그라트 5세-
1차 이메레티 왕국
초대제2대제3대-
알렉산드레 1세(이메레티)기오르기 1세(이메레티)콘스탄틴 2세(이메레티)-
2차 동부 조지아 왕국
초대2대--
바그라트 5세기오르기 7세--
2차 통합 조지아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기오르기 7세콘스탄틴 1세알렉산드레 1세바흐탄그 4세
2차 통합 조지아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기오르기 8세바그라트 6세알렉산드레 2세콘스탄틴 2세
2차 이메레티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알렉산드레 2세바그라트 3세(이메레티)기오르기 2세(이메레티)레반(이메레티)
2차 이메레티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로스톰(이메레티)바그라트 4세(이메레티)기오르기 3세(이메레티)알렉산드레 3세
2차 이메레티 왕국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바그라트 5세(이메레티)바흐탄그 츠추나슈빌리아르칠리(이메레티)디미트리오스 구리엘리
2차 이메레티 왕국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기오르기 4세(이메레티)알렉산드레 4세기오르기 5세(이메레티)시몬(이메레티)
2차 이메레티 왕국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마미아 구리엘리기오르기 6세(이메레티)기오르기 7세(이메레티)기오르기 8세(이메레티)
2차 이메레티 왕국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알렉산드레 5세기오르기 9세(이메레티)마무카솔로몬 1세
2차 이메레티 왕국
제25대제26대제27대-
테이무라즈(이메레티)다비트 2세(이메레티)솔로몬 2세-
카헤티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기오르기 8세알렉산드레 1세(카헤티)기오르기 2세(카헤티)레반(카헤티)
카헤티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알렉산드레 2세(카헤티)다비트 1세(카헤티)콘스탄틴 1세(카헤티)테이무라즈 1세
카헤티 왕국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아르칠리(이메레티)에레클레 1세다비트 2세(카헤티)콘스탄틴 2세(카헤티)
카헤티 왕국
제13대제14대--
테이무라즈 2세
타마르 2세
에레클레 2세--
카르틀리 왕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콘스탄틴 2세다비트 10세기오르기 9세루아르사브 1세
카르틀리 왕국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시몬 1세다비트 11세기오르기 10세루아르사브 2세
카르틀리 왕국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바그라트 7세시몬 2세로스톰바흐탄그 5세
카르틀리 왕국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기오르기 11세에레클레 1세카이호스로(카르틀리)예세
카르틀리 왕국
제17대제18대--
바흐탄그 6세테이무라즈 2세
타마르 2세
--
카헤티와 카르틀리 연합 왕국
초대제2대--
에레클레 2세기오르기 12세--



조지아 왕국 9대 군주
გიორგი | 기오르기 3세
파일:기오르기 3세.jpg
제호한국어기오르기 3세
조지아어გიორგი
라틴어George III
가족디미트리오스 1세(아버지)
다비트 5세(형)
루수단(누이)
바그라티오니(누이)
알라니아의 부르두한(아내)
타마르(장녀)
루수단(차녀)
생몰 년도미상 ~ 1184년 3월 27일
재위 기간1156년 ~ 1184년 3월 27일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조지아 왕국 9대 군주. 다비트 4세부터 시작된 조지아의 황금시대를 이어갔다.

2. 생애[편집]


조지아 왕국 6,8대 군주 디미트리오스 1세의 차남이다. 형으로 다비트 5세, 누이로 루수단, 바그라티오니가 있었다. 아버지 디미트리오스 1세는 왕위 후계자로 예정된 다비트 5세보다 그를 총애했다. 이에 다비트 5세는 이러다 자기 대신 그가 왕위에 오를 것을 두려워하여 1155년 반란을 일으켜 아버지를 퇴위시키고 자기가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그는 6개월만에 사망했고, 디미트리오스 1세는 복위한 뒤 그를 공통 통치자로 지명했다가 1156년 사망했다. 현대 학자들은 다비트 5세가 신의 저주를 받아 갑자기 죽었다는 중세 조지아 기록에 의문을 표하며, 그가 음모를 꾸며 형을 죽이고 아버지를 복위시켰을 거라고 추정한다.

아버지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그는 아버지 대에 조지아를 상대로 지속적으로 침공했던 샤-아르멘을 선제 공격해 큰 타격을 입혔다. 1161년 바그라투니 왕조 시절 아르메니아 왕국의 수도였으며 다비트 4세 시절 조지아에 복속되었다가 디미트리오스 1세 대에 다시 무슬림에게 넘어갔던 아니와 드빈을 탈환하고 이바네 오르벨리 장군을 아니의 통치자로 임명했다. 이에 여러 토후국 에미르들이 연합군을 형성하여 아니 탈환 작전에 착수했지만 격파당했다. 이후 연합군에 가담한 인물 중 한 사람인 에르제룸의 알 말리크를 응징하고자 원정에 착수해 승리를 거두로 사로잡은 후 큰 몸값을 받고 석방했다. 뒤이어 1162년 8월 아르샤쿠니 왕조 시절 아르메니아 왕국의 수도였던 드빈을 공략하고 드빈의 귀족 아나니야를 그곳의 통치자로 삼았다.

1163년 초, 아란과 아자르바이잔의 통치자 일디귀즈가 이끄는 무슬림 연합군이 조지아로 쳐들어갔다. 조지아군은 이들에 맞서 싸웠지만 패배했고, 무슬림군은 간자 요새를 공략하고 게가르쿠니크 일대를 황페화시킨 뒤 아니로 이동했다. 하지만 1166년 초 그가 반격을 가해 간자를 탈환하고 무슬림을 상대로 막대한 제물을 확보한 뒤 귀환했다. 1167년, 그는 하자르족과 킵차크의 침입을 받은 시르반을 도와주고 그 지역에 대한 조지아의 지배력을 강화했다. 이후 엘디구즈가 휴전을 제안하자, 그는 이를 받아들이고 아니를 샤다드 가문에 돌려줬다. 그러나 그는 1174년 다시 아니를 점령하고 이븐 마흐무드를 포로로 잡고 이바네 오르벨리를 그곳의 총독으로 삼았다.

1177년, 그에 대항한 대규모 봉기가 일어났다. 다비트 5세의 아들 뎀나는 왕위 계승권을 박탈당한 것에 불만을 품고 반란을 일으켰고, 조지아 동부와 남부의 대다수 영주들이 왕이 자신들의 권리를 지나치게 침해한다고 여기고 그에 가담했다. 심지어 그동안 그의 지시를 충직하게 따랐던 이바네 오르벨리 마저 반란군의 편에 들어갔다. 그들은 트빌리시 밖에 나가 있는 그를 체포하려 했지만 실패했고, 그는 트빌리시로 귀환한 뒤 지지자들을 끌어모아 반격에 나섰다. 반란군은 무슬림 통치자들에게 사절을 보내 구원을 요청했지만 별다른 호응을 얻지 못했다. 그 사이에 그가 민중의 호응을 얻고 공세를 개시해 반군을 여러 차례 격파했다.

뎀나와 이바네 오르벨리는 아르메니아의 로르헤 요새에 갇혔다. 왕실 군대는 반란군 영주들의 영지를 점령하고 로르헤를 포위했다. 결국 뎀나와 오르벨리는 항복했고, 그는 뎀나를 실명형과 거세형에 처한 뒤 감옥에 집어넣고 오르벨리 가문을 멸족시킨 뒤 그들의 토지와 부를 몰수했다. 뎀나는 감옥에 수감된 후 형벌로 인한 고통을 이기지 못하고 곧 죽었다. 반란을 진압한 후, 그는 자신에게 헌신한 이들을 고위직에 임명했다.

그는 북캅카스의 알란 부족 지도자 쿠르단의 딸 부르두한과 결혼하여 딸 타마르와 루수단을 낳았다. 아들이 태어날 가망이 없다는 게 분명해지자, 그는 장녀 타마르를 왕위에 올리기로 했다. 1178년 타마르를 공동 통치자로 선정해 공동으로 나라를 다스렸다. 같은 해에 그와 타마르의 주도로 회의를 소집해 강도와 도적을 사형에 처하는 법을 마련하고 도둑을 잡는 치안관들을 신설하기로 했다. 이 법은 13세기까지 유효했지만 강도는 오랫동안 근절되지 않았다. 한편, 그는 교회의 압력에 따라 교회 재산에 대한 과세를 면제하기로 했다.

1184년 3월 27일 트빌리시에서 사망한 뒤 겔라티 수도원에 안장되었고, 공동 통치자였던 타마르가 단독 군주로 등극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17:10:16에 나무위키 기오르기 3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