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예징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철부김구해김거칠부김세종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수을부을제수품비담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알천금강김유신김군관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진복김문영김개원인품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배부김사공김정종김사인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신충만종신유김양상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김경신충렴세강김언승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김숭빈김수종김충공김균정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김명김귀장보고김예징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김의정김안김정위진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김위홍준흥김성계강
제45대제46대
박위응김성
문헌상 기록이 확인된 인물
김춘추, 김순정, 김옹, 김주원




金禮徵
? ~ 849년

신라의 상대등. 김균정의 매제[1]이며, 신무왕의 조카라고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이 부분은 무시된다. 항렬상 조카뻘인 것을 대강 기록한 것으로 추정[2].

흥덕왕 사후 벌어진 희강왕김균정 간 왕위쟁탈전에서 김균정을 지지했으나 김균정이 패배하자 청해진으로 후퇴한다. 이후 김균정의 아들 신무왕이 왕위에 올랐으나 일찍 사망하여 그 아들 문성왕에 의해 상대등이 된다. 849년 사망해 후임 상대등은 문성왕의 숙부 김의정이 이어받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12:11:00에 나무위키 김예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김균정의 여동생, 즉 김예영의 딸이 황아왕후 김귀승과 동일인물인지는 불명이다. 다만 김귀승의 장남이 본래 김균정의 아내였던 김정교와 재혼하는 점을 보면 김균정과 김귀승의 장남은 같은 세대이며, 김귀승이 김균정의 손윗누이일 가능성이 높아진다.[2] 만약 그가 김균정의 매제인 동시에 신무왕의 조카였다면, 그는 자신의 고모할머니와 혼인한 것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