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턴(한국 영화)

덤프버전 :

녹턴 (2022)
Nocturne
장르
다큐멘터리, 가족[1]
감독
정관조
프로듀서
정관조
출연
은성호, 은건기, 손민서 외
촬영
정관조, 조용규, 장권호, 하민중, 임강빈, 이초여름
편집
김현, 정관조
음향
이성록
조감독
임강빈, 하민중, 송수빈
색보정
함종민
제작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포이에티케, 미디어 나무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시네마달
파일:지구 아이콘_Black.svg 캣앤독스
개봉일
파일:13th_DMZ_logo2021_2.png 2019년 9월
파일:moscow_film_fest_logo.png 2020년 10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8월 18일
화면비
1.78:1
상영 시간
98분
대한민국 총 관객 수
11,311명
상영 등급

1. 개요
2. 개봉전 정보
3. 예고편
4. 등장인물
5. 설정
6. 줄거리
7. 수상
8. 평가
9. 흥행
9.2. 기타 국가
10. 기타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감독은 정관조이다. 한국에서는 2022년 8월에 공식 개봉하였다.


2. 개봉전 정보[편집]


2019년 제11회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한국 경쟁부문에서 상영되었고, 2020년 제42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에서 상영되었다. 수상 내역은 아래 수상 문단을 참조.


3. 예고편[편집]


30초 예고편

메인 예고편


4. 등장인물[편집]


  • 은성호
  • 은건기
  • 손민서


5. 설정[편집]




6. 줄거리[편집]


오직 음악만 잘할 뿐,

자폐 스펙트럼 장애가 있는 ‘성호’는

엄마 ‘민서’가 없으면 혼자서 면도도 하지 못한다.

엄마는 단 하나, ‘성호’의 음악을 위해 모든 걸 바쳤지만

동생 ‘건기’는 그런 형이 '하찮고 쓸모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형의 음악은 점점 빛을 발하고

동생은 형과 엄마의 인생에서 무언가를 발견하게 되는데...

출처: 네이버 영화



7. 수상[편집]


  • 2019년
    • 제11회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 예술공헌상(정관조)[2]
  • 2020년


8. 평가[편집]










[[IMDb|

파일:IMDb 로고.svg
]]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IMDb|

파일:IMDb 로고.svg
]]
(IMDb Top 250 등의 리스트명 순위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순위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기자·평론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전문가평점 / 10
관람객
{{{#!wiki style="display:inline-block"관람객 평점 / 10
네티즌
{{{#!wiki style="display:inline-block"네티즌 평점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기자·평론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전문가평점 / 10
관람객
{{{#!wiki style="display:inline-block"관람객 평점 / 10
네티즌
{{{#!wiki style="display:inline-block"네티즌 평점 / 10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영화코드"
평점 관람객 평점 / 10



























9. 흥행[편집]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개봉일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기준일
전 세계(최초개봉일)$(세계누적)(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북미미정미개봉미정
미정미개봉미정
미정미개봉미정


9.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1,393명미집계11,446,000원
1주차2022-08-18. 1일차(목)1,061명5,346명14위8,851,500원40,672,100원
2022-08-19. 2일차(금)924명15위7,347,500원
2022-08-20. 3일차(토)647명16위5,104,500원
2022-08-21. 4일차(일)633명16위5,149,600원
2022-08-22. 5일차(월)282명17위2,403,700원
2022-08-23. 6일차(화)441명16위3,681,800원
2022-08-24. 7일차(수)1,358명10위8,133,500원
2주차2022-08-25. 8일차(목)308명2,257명20위1,659,500원13,191,000원
2022-08-26. 9일차(금)305명20위1,661,000원
2022-08-27. 10일차(토)346명19위2,263,000원
2022-08-28. 11일차(일)354명19위2,143,500원
2022-08-29. 12일차(월)324명15위1,809,500원
2022-08-30. 13일차(화)324명21위1,897,000원
2022-08-31. 14일차(수)296명27위1,757,500원
3주차2022-09-01. 15일차(목)253명1,707명20위1,286,500원8,550,000원
2022-09-02. 16일차(금)267명21위1,386,000원
2022-09-03. 17일차(토)307명22위1,653,000원
2022-09-04. 18일차(일)332명22위1,784,000원
2022-09-05. 19일차(월)214명20위1,157,500원
2022-09-06. 20일차(화)255명23위1,283,000원
2022-09-07. 21일차(수)79명39위424,000원
4주차2022-09-08. 22일차(목)10명143명77위59,000원1,016,000원
2022-09-09. 23일차(금)32명56위238,000원
2022-09-10. 24일차(토)15명65위110,000원
2022-09-11. 25일차(일)27명57위192,000원
2022-09-12. 26일차(월)31명55위215,000원
2022-09-13. 27일차(화)16명61위122,000원
2022-09-14. 28일차(수)12명73위80,000원
합계누적관객수 11,311명, 누적매출액 79,336,100원[3]


9.2. 기타 국가[편집]




10. 기타[편집]




[1] 이 작품의 감독 정관조는 EBS 뉴스브릿지와의 인터뷰에서 가족 영화로 정의했다.[2] 3명이 공동 수상이다.[3] ~ 2022/11/16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