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리데스크 (r3판)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MBC 뉴스데스크


파일:mbcnews_new.png
[ 펼치기 · 접기 ]

MBC TV
파일:newsdesklogo_ko_white_re2.png파일:newstodaylogo_ko_white_re2.png파일:930mnews2.png파일:12mnews.png
평일 19:40
주말 19:55
평일 06:00
토 07:00
평일 09:30평일 12:00
파일:2mbcnewslogo1.png파일:5mnews.png파일:mbc_election.png파일:MBC 시사_스트레이트.png
평일 13:55, UHD평일 16:55법정선거일 16:00일 20:30
파일:mbcnews_new.png
토 12:05 / 일 07:00, 11:55
공휴일 정오 시간대
정시 뉴스정오 종합뉴스저녁앤뉴스
매 정시 07:00~23:05(평일)
매 정시 06:00~23:05(주말, 휴일)
12:00평일 19:00
인터넷
파일:MBICNEWS_NEW.jpg파일:14F 로고.svg파일:오늘비와? 로고.jpg파일:뉴스안하니 로고.jpg
상시평일 19:00(데일리 뉴스) / 각 콘텐츠별 상이상시목 저녁 시간대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1. 설명
2. 연혁
3. 코너
3.1. 고정코너
3.1.1. 음악과 함께하는 프리데스크
3.1.2. 뉴스 큐레이션
3.1.3. 큐시트 산책
3.1.4. 프리 초대석
3.2. 월요일 - 뉴스프리데스크 X 딩딩대학
3.2.1. 일정먼데이
3.2.2. 빌런사냥
3.3. 화요일 내부 코너
3.3.1. 배종호의 정치수다
3.4. 수요일 내부 코너
3.4.1. 엄주원의 엠보드 톱5
3.5. 목요일 내부 코너
3.5.1. 정철진의 머니톡
3.6. 금요일 내부코너
3.6.1. 이선영 아나운서의 요즘 이것
3.7. 비정기 코너
3.7.1. 신입기자 특집 프리초대석
4. 폐지된 코너
4.1. 화요일 - 황외진의 아재정치
4.2. 금요일 - 최아리의 날씨앓이
4.3. 금요일 - 이서경의 날씨를 부탁해
4.4. 목요일 - 월드 Now
4.5. 월요일 - 이선영의 손경제
4.6. 금요일 - SEE그널
4.7. 금요일 - 권희진의 세계는...
4.8. 월요일 - 딩딩대학
5. 역사
6. 뉴스프리데스크 역대 진행자



1. 설명[편집]


파일:프리데스크헤드.png
파일:뉴스프리데스크.jpg[1]
방송사 파일:MBC 로고.svg, 파일:mbcnews_new.png
채널 파일:mbcnews_new.png
진행 메인지영은 (화~금)
서브엄주원 (화~목), 이선영 (금)
뉴스데스크 X 딩딩대학염규현, 양효걸 (월)
방송 시간월요일 19:00~19:40
화~금 19:10~19:40

후리(Free~)하게 프리(Pre~)하게 만나는 MBC 뉴스데스크 미리보기!!

성지영 기자와 김민호 아나운서가 40분 먼저 뉴스데스크의 알맹이를 쏙쏙 전해드립니다.


MBC의 2020년 6월 29일 개편에 따라 신설된 MBC 뉴스 NOW 유튜브 전용 코너. 평일에만 진행되며, 30분 정도 방송된다.
화~목요일은 지영은 기자와 엄주원 아나운서, 금요일은 지영은 기자와 이선영 아나운서가 진행하며 정철진의 머니'톡', 뉴스큐레이션, 프리초대석, 큐시트산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중 공휴일에는 결방하고[2] 연말에는 제작진들에게 1년동안 고생했다는 차원에서 휴가를 주는지 방송을 안한다. 그래서 1년중 방송은 크리스마스 이브 이전이 마지노선이다. 또한 올림픽 기간중에는 뉴스데스크와 라이브 링크를 분리하고 월~수만 방송한다.

2020년 12월 7일부터 시작하기 전 음악을 틀어준다. 큐시트 산책 시작할 때 댓글로 신청하면 된다. 영어로 NPD라고 부르기도 한다. 출연진이 본 문단의 존재를 알고 있으며, 뉴스프리데스크 진행 도중 본 문단이 언급되기도 하였다.

2. 연혁[편집]


  • 2020년 6월 29일 뉴스데스크의 대규모 개편에 따라 신설되었다.
  • 2021년 4월 23일에 MBC 뉴스 NOW 유튜브 채널 구독자 100만 달성으로 골드버튼 언박싱을 진행했다. 왕종명, 이재은 앵커도 직접 출연하여 진행했다.
  • 2021년 5월 6일부로 방송센터 1층에 위치한 새 스튜디오로 이사했다. 이전 스튜디오는 인터뷰룸으로 다른 프로그램들도 사용하는데, 새 스튜디오는 뉴스프리데스크같은 인터넷뉴스 전용 스튜디오다.[3]
  • 2021년 9월 10일부터는 지영은 기자와 윤효정 기자가 금요일 진행을 맡게 되었다.
  • 2022년 1월 10일 부로 노재필 기자가 회사 내 다른 업무로 인해 프리데스크를 하차하게 되었다.
  • 2022년 1월 27일 성지영 기자가 프리데스크를 하차하였다.
  • 성지영 기자의 하차 시기와 맞물려 지난 도쿄올림픽때 뉴스데스크와 링크 분리를 해서 방송했던 것과는 달리 이번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기간[4]에는 뉴스프리데스크는 결방한다.[5]
  • 2022년 4월 11일부터 5월 이맘때쯤 까지 지영은 기자가 근속 20주년 기념 휴가로 자리를 비워서 그 자리는 윤효정 기자가 채워준다.
  • 2022년 5월 23일부로 윤효정 기자가 2년간 유학으로 인하여 프리데스크를 하차하게 되었다.
  • 2022년 6월 13일부터 월요일에 같은 시간대에 뉴스 세계는 코너가 신설되면서 방송은 화~금요일까지 편성변경이 되었다.(화~목 :지영은 기자, 엄주원 아나운서, 금 : 지영은 기자 이선영 아나운서 체제로 변화)

3. 코너[편집]



3.1. 고정코너[편집]



3.1.1. 음악과 함께하는 프리데스크[편집]


2020년 12월 7일에 신설된 코너이다. 프리데스크가 시작하기 전에 음악을 틀어주는 코너이다. 12월 7일 월요일에 마마스 앤 파파스의 'Monday Monday'를[6] 시작으로 다양한 장르를 오가며 선곡하고 있다. 시청자들이 직접 음악을 신청할 수 있으며, '큐시트 산책' 코너가 시작할 때 노재필 기자가 음악을 신청해달라고 하면, 그 때 실시간 채팅에 올리면 된다. 빠르게 올라오는 신청곡을 받아적는 것은 김민호 아나운서의 몫이다.초기엔 신청곡의 제목만 화면에 띄워놓았지만, 이후엔 신청자의 유튜브 닉네임도 같이 띄워놓기 시작했다.

2021년 4월 노재필 기자가 내부 음악선정위원회의 존재를 밝혔다.

그러다 2021년 10월 초 방송에서 노재필 기자가 직접 노래를 신청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벌어졌다.

3.1.2. 뉴스 큐레이션[편집]


이 코너는 2022년 2월 22일 개편으로 생긴 코너다. 본격적인 시작에 앞서 하루종일 있었던 소식들을 정리하고 가는 코너이다.


3.1.3. 큐시트 산책[편집]


이 코너는 뉴스데스크 큐시트[7]를 지영은 기자와 살펴보는 코너다. 뉴스프리데스크의 핵심 코너이며 어떻게 보면 유튜브로만 나가는 뉴스데스크 헤드라인 코너라고 볼 수 있다.

큐시트산책은 프리데스크 시간대에 매주 월요일마다 진행하는 '뉴스프리데스크 X 딩딩대학'에서도 진행한다.

3.1.4. 프리 초대석[편집]


이 코너는 인물 한 명을 초대하여 토크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간혹 프리 초대석 시간이 길어지면, 큐시트 산책을 진행하지 못할 때가 있다. 그럴 때는 자막으로 핵심 키워드를 송출하는 것으로 대신한다.

3.2. 월요일 - 뉴스프리데스크 X 딩딩대학[편집]



3.2.1. 일정먼데이[편집]



3.2.2. 빌런사냥[편집]



3.3. 화요일 내부 코너[편집]



3.3.1. 배종호의 정치수다[편집]


원래 정치부 기자들이 돌아가며 출연하였고
어느새부터 배종호 세한대학교 교수만 출연하고 있다.

결국 개편으로 2022년 2월 22일부로 배종호의 정치수다로 변경되었다.

3.4. 수요일 내부 코너[편집]



3.4.1. 엄주원의 엠보드 톱5[편집]


2022년 1월, 29회로 종영된 남다른 뉴스의 엠보드 톱10을 톱5로 줄여서 뉴스프리데스크의 코너로 편입 시킨 것으로 보인다.

3.5. 목요일 내부 코너[편집]



3.5.1. 정철진의 머니톡[편집]


정철진 경제평론가와 돈의 흐름을 살펴본다

3.6. 금요일 내부코너[편집]



3.6.1. 이선영 아나운서의 요즘 이것[편집]


뉴스프리데스크 개편으로 생긴 코너다. 본 코너의 첫 방송일은 개편 첫 주는 2차 대선후보 법정 TV토론 - 정치분야 방송으로 인해 그 바람잡이 방송으로 마련된 미리보는 TV토론으로 대체되며 결방되어 방송이 불가능했고 3월 4일이 첫방송이 되었다.

3.7. 비정기 코너[편집]



3.7.1. 신입기자 특집 프리초대석[편집]


매년도마다 공채 등으로 입사한 신입 기자들을 데려다가 인터뷰를 진행하는 코너다.

현재까지 2021년 2월 8일에 6명[8], 2022년 1월 26일에 10명의 기자가 뉴스프리데스크에 출연하였다

4. 폐지된 코너[편집]



4.1. 화요일 - 황외진의 아재정치[편집]


황외진 선임기자가 MBC C&I 사장에 내정되면서 코너가 '정치수다'로 변경되었다.

4.2. 금요일 - 최아리의 날씨앓이[편집]


6월 21일 뉴스 개편으로 뉴스데스크가 10분 일찍 시작하게 되면서 진행하기 어렵게 되자 6월 18일을 끝으로 코너는 '이서경의 날씨를 부탁해'로 변경되었다.

4.3. 금요일 - 이서경의 날씨를 부탁해[편집]


9월 10일부터 지영은, 윤효정 기자가 뉴스프리데스크를 진행하게 되면서 자동으로 폐지되었다.

4.4. 목요일 - 월드 Now[편집]


격주로 진행되는 코너로 이름 그대로 국제 뉴스를 살펴본다. 참고로 노재필 기자는 목요일마다 나비넥타이를 하고 뉴스토랑(혹은 큐시토랑) 셰프로 출연한다. 최근 '멋진놈'이라는 유저가 뉴스프리데스크 신청곡으로 웬 클래식 음악을 신청해서 시청자들이 너무 지루하다며 난리를 피웠는데 그게 하필 김정원 기자였다....
12월 23일 방송을 끝으로 김정원 기자는 뉴스프리데스크에서 하차하였다.

4.5. 월요일 - 이선영의 손경제[편집]


이선영 아나운서와 살펴보는 이선영의 손경제. 주로 경제 이야기를 다룬다. 가끔 실시간 채팅창에 '선영구'라는 닉네임이 올라오는데 그게 바로 이선영 아나운서이다.

4.6. 금요일 - SEE그널[편집]


최근 새로만든 유튜브 엠라운지의 컨텐츠인 다, 시그널을 리뷰한다.

2022년 2월 22일 개편으로 인해 폐지된 것으로 보인다.

4.7. 금요일 - 권희진의 세계는...[편집]


매주 금요일 통일외교국제팀 권희진 기자와 함께 전세계에서 벌어진 주요 이슈들을 정리한다. 선술한 SEE그널의 연장선상이다.
2022년 2월 22일 개편으로 인해 폐지된 것으로 보인다.

2022년 6월 13일 월요일에 "뉴스 세계는" 이라는 단독방송(월요일 프리데스크 시간대에)으로 부활했는데 약 7회만에 사라졌다..

4.8. 월요일 - 딩딩대학[편집]


2022년 6월 13일 월요일부터 "뉴스, 세계는" 편성 관계로 자동 폐지되었다.

그런데 이미 2022년 4월 13일부터 매주 수, 금 오전 8시에 딩딩라이브[9]를 방송하고 있다.

2022년 5월 26일부터는 매주 목요일마다 월급루팡 특별생방송으로 오전 10시 30분에 방송하고 있다.[10]

2022년 9월 즈음부터는 아예 뉴스데스크 x 딩딩대학이라는 이름으로 독립된 딩딩라이브 방송이 생겨버렸다.

그래서 이 코너의 폐지가 큰 의미가 없어져버렸다.

5. 역사[편집]


뉴스프리데스크 - 역사
연도시작 일자방송 요일방송 시간비고
2020년6월 29일평일19:25~19:55뉴스프리데스크 첫방송
9월 14일19:20~19:50시간대 조정
2021년1월 4일19:10~19:50방송분량 연장
6월 21일19:00~19:40시간대 변동
2022년2월 22일19:10~19:40방송분량 축소
6월 13일화~금방송편성 축소[11]
8월 1일19:00~19:40뉴스프리데스크 X 딩딩대학 신설
화~금19:10~19:40방송편성 환원


6. 뉴스프리데스크 역대 진행자[편집]


뉴스프리데스크 - 메인 진행자
이름 직위 진행 기간 비고
성지영디지털뉴스제작부장2020년 6월 29일~2022년 1월 27일
지영은차장급 기자2021년 9월 10일~2022년 2월 4일[12]
2022년 2월 22일~현재[13]


뉴스프리데스크 - 서브 진행자
이름 직위 진행 기간 비고
김민호아나운서2020년 6월 29일~2022년 1월 27일
윤효정차장급 기자2021년 9월 10일~2022년 2월 4일[14]
2022년 2월 28일~2022년 5월 30일[15]
엄주원아나운서2022년 2월 22일~현재화~목 진행
이선영아나운서2022년 3월 4일~현재[16]



월요일 뉴스프리데스크 시간대 프로그램
프로그램명 잔행자 진행 기간 비고
뉴스, 세계는류수민, 권희진, 문희정2022년 6월 13일~2022년 7월 25일
뉴스프리데스크 X 딩딩대학염규현, 양효걸2022년 8월 1일~현재



큐시트 산책 진행자
이름 직위 진행 기간 비고
노재필부장급 기자2020년 6월 29일~2022년 1월 10일월~목 큐시트 산책 진행자 [17][18]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20 22:09:49에 나무위키 뉴스프리데스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왼쪽부터 김민호 아나, 성지영 기자, 노재필 기자이다.[2] 명절은 신청곡만 들려주다 뉴스데스크 방송시 화면 전환한다.[3] 남다른뉴스도 같은 스튜디오를 쓰고 있다.[4] 2022년 2월 7일(월) ~ 2월 18일(금)[5] 또, 추가로 2월 21일(월)은 대선후보 토론으로 인해 결방된다[6] 곡을 선정한 이유는 월요일이라서 그렇다고 한다. 노재필 기자가 선곡했다. 그런데 초기라 그런지 곡 제목과 가수명 적은 글자도 작았고 노래 트는 시스템도 엉성해서 다시보기에선 짤렸다.[7] 대본과 비슷한 것이라 보면 된다.[8] 이 날은 1명이 당일 뉴스데스크에 예정된 기사 작성/편집 일정으로 바빠서 5명만 나왔다.[9] 이름은 0교시 라이브 딩딩대학이다.[10] 이후 목요일방송도 오전 8시로 옮겼다.[11] 월요일 시간대에 뉴스, 세계는 편성[12] 금요일 진행[13] 화~금 진행[14] 금요일 진행[15] 월요일 진행[16] 금요일 진행[17] 9월 10일 이전까지는 금요일에도 큐시트 산책을 진행했다.[18] 하차 이후에는 뉴스프리데스크 진행자가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