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역사재단/총서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동북아역사재단


1. 연구총서[1]
2. 번역총서[2]
3. 자료총서
4. 교양총서


1. 연구총서[3][편집]


권호제목발행
년도
저자쪽수
1고구려의 국가 형성2005년이남규, 지병목, 심광주, 김기흥, 강선293쪽
2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문화2005년전호태, 나희라, 민병찬, 오영찬, 정완진261쪽
3고구려 벽화의 이미지 복원2005년진영선, 아즈마 우시오, 안병찬, 한경순, 이종송153쪽
4고구려의 사상과 문화2005년서영대, 김상현, 이한상, 공석구, 조법종263쪽
5고구려의 국제 관계2005년권오중, 박진숙, 정운용, 양정석, 권덕영218쪽
6고구려 문화의 비교 연구2005년강현숙, 박선희, 이장희450쪽
7고구려와 발해의 계승 관계2005년정진헌, 한규철, 이남석, 문명대, 김정희261쪽
8한중 외교관계와 조공책봉2005년방향숙, 신채식, 이석현, 민경준, 이영옥274쪽
915~19세기 중국인의 조선인식2005년박원호, 권인용, 홍성구, 박정현193쪽
10동아시아 근대 '네이션' 개념의 수용과 변용 :
한·중·일 3국의 비교연구
2005년송규진, 김명구, 박상수, 표세만168쪽
11한·중·일 3국의 근대사 인식과 역사교육2005년김한종, 왕현종, 신주백, 김정인,
마쓰모토 다케노리, 롱웨이무, 하종문
296쪽
12중국의 동북공정과 중화주의2005년이개석, 이희옥, 박장배, 임상선, 유용태294쪽
13미토콘드리아 DNA변이와 한국인 집단의 기원에 관한 연구2005년김욱, 김종열105쪽
14고고자료에서 찾은 고구려인의 삶과 문화2006년권오영, 성정용, 강현숙, 이한상, 김창석, 전덕재268쪽
15한국 고대국가와 중국왕조의 조공·책봉관계2006년고구려연구재단297쪽
16연변 조선족 사회의 과거와 현재2006년채영국, 박민영, 장석흥, 김태국, 염인호, 김춘선296쪽
17중국 역사가들의 몽골사 인식2006년김장구, 서인범, 김성수, 이평래, 김선호236쪽
18중국의 역사교육과 교과서2006년권소연, 김유리, 박장배, 오명수, 구난희272쪽
19고분으로 본 발해 문화의 성격2006년정영진, 윤현철, 이동휘352쪽
20낙랑 문화 연구2007년이성규, 정인성, 이남규, 오영찬, 김무중392쪽
21고대 동아시아 세계론과 고구려의 정체성2007년박대재, 정운용, 위정, 조윤재, 시노하라 히로카타250쪽
22고구려 불상과 중국 산동 불상2007년문명대, 최성은, 양은경, 류펑쥔219쪽
23한 중 일의 해양인식과 해금2007년이문기, 장동익, 우인수, 홍성구, 이에나가 쥰지272쪽
24아시아의 발칸 만주와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2007년백준기, 최정수, 정상수, 최재희205쪽
25발해 5경과 영역 변천2007년한규철, 김종복, 박진숙, 이병건, 양정석283쪽
26근대 만주 도시 역사지리 연구2007년유지원, 김영신, 김주용, 김태국, 이경찬297쪽
2719세기 동북아 4개국의 도서분쟁과 해양경계2008년이근우, 김문기, 신명호, 조세현, 박원용305쪽
28이어도 문제의 해양법적 해결방법2008년김영구170쪽
29중국의 영토분쟁2008년이동률, 이정남, 박병광, 김예경, 전병곤,
김애경, 하도형, 신종호, 김흥규
283쪽
30근대 중국 대외무역을 통해 본 동아시아2008년홍성구216쪽
31동북아시아의 갈등과 대립 :
청일전쟁에서 한국전쟁까지
2008년김영수, 김종헌, 김지환, 이재훈229쪽
32중국 학자들의 소수민족 역사 서술2008년강현사216쪽
33중국의 청사공정 연구2008년정혜중203쪽
34다민족 국가의 통합정책과 평화정착의 문제2008년문형진, 김지영, 권오중, 노명환175쪽
35요동군과 현도군 연구2008년서영수, 배진영, 윤용구, 김용성, 방향숙285쪽
36러시아의 민족정책과 역사학2008년류한수206쪽
37고고학으로 본 옥저문화2008년강인욱, 김재윤, N. A. 클류에프, A. L. 수보니타289쪽
38개항기의 재한 외국공관 연구2009년하원호, 나혜심, 손정숙, 이은자, 이헌주320쪽
39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식민지적 근대2009년이승일, 김대호, 정병욱, 문영주, 정태헌364쪽
40유엔에서의 영토문제 논의현황과 사례분석2009년김학린210쪽
41근현대 일본의 한국 인식2009년함동주, 김광열, 임현순132쪽
42중국의 지역문명 만들기와
역사 고고학자료 이용 사례 분석
2008년김진우, 정하현, 이명화, 김병준205쪽
43동아시아 세계의 일본사상 :
'일본 중심적 세계관' 생성의 시대별 고찰
2009년동북아역사재단253쪽
44하상주단대공정 : 중국 고대문명 연구의 허와 실2008년김경호, 심재훈, 민후기, 최진묵205쪽
45중국 동북지역 고고학 연구현황과 문제점2008년송호정, 이해련, 이재현, 이청규278쪽
46중국 문명탐원공정과 선사고고학 연구현황 분석2008년박양진, 정대영, 오세은, 이성구264쪽
47일본 내셔널리즘 : 형태와 성격2009년김희선, 허동현, 권태억, 김승태, 이규수410쪽
48청일전쟁기 한 중 일 삼국의 상호 전략2009년왕현종, 은정태, 오비나타 스미오, 다이둥양, 강효숙501쪽
49중국 역사학계의 청사연구 동향 :
한국 관련 분야를 중심으로
2009년유장근258쪽
50고구려의 등장과 그 주변2009년동북아역사재단414쪽
51북방민족과 중원왕조의 민족인식2009년류영표200쪽
52횡혈식석실분의 수용과 고구려 사회의 변화2009년권오영324쪽
53유럽과 미국의 동아시아사 교육2009년한운석321쪽
54중국 동북연구 방법과 동향2010년이동진448쪽
55동북아 중세의 한족과 북방민족2010년이근명356쪽
56중국의 청사 편찬과 청사 연구2010년김형종241쪽
57한반도 고대문화 속의 울릉도 : 토기문화2010년이성주165쪽
58동아시아 국제질서 속의 한중관계사 : 제언과 모색2010년이익주, 김병준, 김창석, 윤영인, 계승범438쪽
59낙랑군 호구부 연구2010년권오중, 윤재석, 김경호, 윤용구, 이성제290쪽
60중국의 발해 대외관계사 연구2011년정병준, 김종복, 권은주, 윤재운, 박진숙287쪽
61유럽의 독도 인식2011년민유기, 최재희, 최호근, 민경현372쪽
62중국 역사교과서의 통일적다민족국가론2011년김종박, 정유선, 이동훈, 김종건207쪽
63전근대 일본의 영토인식2012년홍성화, 송완범, 김보한, 신동규197쪽
64한일공문서를 통해 본 독도2013년이원덕, 전상숙, 장박진, 조윤수, 최희식, 정미애, 박선영390쪽
65전통시대 동아시아 외교와 변경기구2013년연민수, 이성제, 전덕재, 허인욱, 김병준, 이명희416쪽
66야스쿠니에 묻는다 : 야스쿠니 무단합사 철폐 소송2014년동북아역사재단323쪽
67연동하는 동아시아 문화2016년동부강역사재단432쪽
68중국 정사 외국전이 그리는 '세계'들 :
「사기」부터 「명사」까지
2016년김정희, 송정수, 정면, 김유철, 박지훈, 송미령471쪽
69조일수호조규, 근대의 의미를 묻다2017년한일관계연구소328쪽
70독도 영토주권과 해양영토2018년동북아역사재단 독도연구소339쪽
71고조선사 연구동향 : 2000년 이후 국가별 쟁점과 전망2018년동북아역사재단 한중관계연구소234쪽
72전후 일본 패러다임의 연속과 단절2017년전진호424쪽
73중국 산동 지역과 동이2018년동북아역사재단 한중관계연구소420쪽
74고조선의 언어계통 연구2018년동북아역사재단 북방사연구소341쪽
75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의 허상2018년동북아역사재단 독도연구소243쪽
76탈냉전기 동아시아의 민족주의 갈등과 해결2018년동북아역사재단 한일역사문제연구소224쪽
77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고대편)2019년편집부465쪽
77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고려편)2018년동북아역사재단 한국외교사편찬위원회425쪽
78조선후기 왜관과 왜학역관2018년윤유숙200쪽
79이방인이 바라본 우리땅 독도2018년이상균190쪽
80해외 언론의 '동해' 인식2018년이상균255쪽
81제국주의 열강의 해군과 동아시아2018년최덕규277쪽
82초기 백제사의 제문제2018년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255쪽
83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일본의 역사수정정책2018년동북아역사재단 일본군 위안부 연구센터265쪽
84일본회의와 아베 정권의 우경화2018년이명찬157쪽
85조선시대 한중관계사2018년동북아역사재단 북방사연구소359쪽
86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재조명. 1 :
군주제에서 민주공화제로
2019년김현철300쪽
87고려의 국가의식과 동아시아2019년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311쪽
88제국의 이중성 : 근대 독도를 둘러싼 한국 일본 러시아2019년김영수598쪽
89한국 고대사 계승 인식. 1 : 전근대 편2019년임상선285쪽
90발해 유민사2019년임상선299쪽
91식민 청산과 야스쿠니2019년남상구311쪽
92요서지역의 청동기문화-문화접경,다양성,상호작용2019년이유표381쪽
93일본의 국가정체성과 동북아 국제관계2019년동북아역사재단 한일문제연구소399쪽
94일본은 왜 독도에 집착할까--일본 국회의사록을 중심으로2019년곽진오268쪽
95중국의 변경 연구 2- 20세기 전반기 서남부의 국경과 변경2019년박장배235쪽
96중국의 변경 연구 3-신장 개발과 역사해석2019년박장배318쪽
97메이지유신의 침략성과 재인식의 문제2019년이원우367쪽
98현대 중국의 세계전략 Ⅰ'일대일로'와 동아시아, 갈등과 협력2019년차재복425쪽
9919세기 동아시아 통신 네트워크와 국제 정치2019년윤상길307쪽
100독도 영토주권과 국제법적 권원2019년도시환381쪽
101세계의 역사교육 어디로 가고 있는가2019년서종진376쪽
102한일협정과 한일관계-1965년 체제는 극복 가능한가?2019년동북아역사재단 한일문제연구소411쪽
103일본군‘위안부’문제와 과제Ⅱ-피해자 중심 해결
일본군'위안부' 문제와 과제 Ⅲ 관점과 실태
2020년도시환
박정애
276쪽
345쪽
104동북아 정세와 고구려 역사문화2020년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219쪽
105북방지역 주요 고고 유적-신석기시대부터 철기시대까지-2020년이청규431쪽
106안용복 '진술'에 대한 새로운 검증2020년정영미207쪽
107역사화해의 이정표 1- 이론적 기초를 찾아서2020년이병택323쪽
108발해유적의 국가별 발굴 성과와 재해석2020년김은국395쪽
109움직이는 국가, 거란2020년김인희311쪽
110한일 관계의 궤적과 역사인식2020년조윤수338쪽
111한일 상호 인식과 역사 문제의 기원(1945~1979)2020년이원우366쪽
112청일전쟁과 근대 동아시아의 세력전이2020년동북아역사재단 한일문제연구소330쪽
113독도 영토주권의 실증적 연구(상, 중, 하)2020년신용하640쪽, 836쪽, 548쪽
114동아시아사 입문2020년동북아역사재단764쪽
115중국의 바위그림2020년장석호509쪽
116전통시대 사행으로 본 동아시아 국제관계2020년윤유숙336쪽
117중국의 변경 연구 4- 북부변경 연구와 역사해석2020년박장배290쪽
118충주고구려비 연구2020년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236쪽
119부상하는 중국과 동아시아2020년차재복556쪽
120근현대 지식인과 한일 역사화해2020년서종진340쪽
121동북아시아 고고학 개설 1-선,원사시대 편2020년동북아역사재단 북방사연구소449쪽
122주제로 보는 조선시대 한중관계사2020년동북아역사재단 북방사연구소396쪽
123동북공정 이후 현황과 동북아 역사 문제2020년동북아역사재단704쪽
124청사고 기초 연구2020년박장배352쪽
125한일 화해를 위해 애쓴 일본인들2020년최운도430쪽
126한중 역사 교과서 대화2021년오병수494쪽
127동아시아 근대의 형성과 역사학 1-제국의 학술기획과 만주2021년오병수272쪽

2. 번역총서[4][편집]


권호제목발행
년도
저자쪽수
1중국인이 쓴 고구려사. 상, 하2004년지은이 : 겅톄화; 번역 : 박창배2권
2중국의 국경·영토 인식 : 20세기 중국의 변강사 연구2004년마다정 지음; 조세현 역416쪽
3중국의 동북변강 연구2004년이영옥, 마다정, 최광식, 마대정405쪽
4동북아시아와 카라수크 문화2005년지음: E. A. 노브고로도바 ; 번역: 이재정301쪽
5고구려 역사문제 연구 논문집2005년주편 : 리성, 박문일; 번역 : 연변대학381쪽
6민족과 국가 : 중국 다민족통일국가 사상의 계보2005년지음 : 왕커; 번역 : 김정희415쪽
7고구려어 : 일본을 대륙과 연결시켜 주는 언어2006년지음: C.I. 벡위드; 번역: 정광482쪽
8(2005년도) 중국의 고구려사 연구논문집2007년지음 : 중국사회과학원 동북공정변공실,
연변대학 중조한일관계사연구중심;
번역 : 연변대학
413쪽
9(김육불의) 동북통사. 상, 하2007년지음: 진위푸; 번역: 동북아역사재단2권
10발해국 흥망사2008년지음: 하마다 고사쿠 ; 옮김: 신영희250쪽
11중국 화하 변경과 중화민족2008년지음: 왕명가 ; 옮김: 이경룡577쪽
12동아시아의 도성과 발해2008년지음: 다무라 고이치 외 ; 옮김: 임석규570쪽
13동북문화와 유연문명 상, 하2008년지음: 궈다순, 장싱더 ; 옮김: 김정열2책(1319쪽)
14고구려의 역사와 유적2008년아즈마 우시오, 다나카 도시아키 지음 ;
박천수, 이근우 옮김
673쪽
15역사인식 논쟁2009년엮음: 다카하시 데쓰야 ; 옮김: 임성모474쪽
16세계의 전쟁 책임과 전후 보상2009년일본의전쟁책임자료센터 편 ; 서각수, 신동규 옮김554쪽
17중국 현대국가의 기원2009년지음: 필립 큔 ; 옮김: 윤성주218쪽
18역사 검열과 역사 교육 :
일본·독일·미국에서의 공민권과 전쟁의 기억
2009년엮음: 로라 헤인, 마크 셀든 ; 옮김: 정용도476쪽
19위태로운 변경 :
기원전 221년에서 기원후 1757년까지의 유목제국과 중원
2009년지음: 토마스 바필드 ; 옮김: 윤영인630쪽
20러시아인이 바라본 1898년의 한국, 만주, 랴오둥반도 :
가린-미하일롭스키의 여행기
2010년가린-미하일롭스키 지음 ; 이희수 옮김581쪽
21러시아 외교관이 바라본 근대 한국2010년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 포지오 지음 ; 이재훈 옮김540쪽
22일본의 군 '위안부'연구2011년일본의 전쟁 책임 자료센터 엮음, 강혜정 옮김764쪽
23야스쿠니신사의 정치2011년편: 일본의전쟁책임자료센터 ; 옮김: 박환무404쪽
24과거사 청산과 역사교육 :
아픈 과거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2010년엮음: 엘리자베스 콜 ; 옮김: 김원중620쪽
25헌법9조의 사상수맥2010년지음: 야마무로 신이치 ; 옮김: 박동성333쪽
26백두산 등정기 :
만주의 역사, 주민, 행정 그리고 종교에 관한 이야기
2011년헨리 에번 머치슨 제임스 지음 ; 조준배 옮김497쪽
27교과서 연구와 수정에 관한 유네스코 안내서2010년지음: 팔크 핑엘 ; 옮김: 한운석186쪽
28러시아-중국 : 문서와 사실에 나타난 동부국경2010년지음: 보리스 이바노비치 트카첸코 ; 옮김: 성종환461쪽
29러시아와 한국2010년박 보리스 드미트리예비치 지음 ; 민경현 옮김799쪽
30일본 '국체' 내셔널리즘의 원형 :
모토오리 노리나가의 국학
2011년지은이: 모토오리 노리나가 ; 옮긴이: 고희탁,
김선희, 박규태, 박홍규, 이규배, 이원우
263쪽
31한국개관. 1부2012년저자: 뀨네르 ; 번역: 김종헌618쪽
32일본서기와 '천황제'의 창출 :
후지와라노 후히토의 구상
2012년오야마 세이이치 지음 ; 연민수, 서각수 옮김291쪽
33안톤 체호프 사할린 섬2013년안톤 파블로비치 체호프 지음 ; 배대화 옮김574쪽
34전함 팔라다2014년이반 알렉산드로비치 곤차로프 지음 ; 문준일 옮김456쪽
35(역주) 몽골 황금사2014년저자 미상 ; 김장구 역주210쪽
36쿠릴 문제 : 역사, 법, 정책 그리고 경제2014년보리스 이바노비치 트카첸코 지음 ; 김종헌 옮김400쪽
37정창원 : 역사와 보물2015년지음: 스기모토 가즈키 ;
옮김: 서각수, 송완범, 서보경
294쪽
38상하이 지역 일본군 위안소2019년쑤즈량, 천리페이, 야오페이 지음 ; 손염홍 옮김541쪽
39러시아 외교관 베베르와 조선2020년벨라 보리소브나 박 지음 ; 최덕규, 김종헌 옮김435쪽

3. 자료총서[편집]


권호제목발행
년도
저자쪽수
1발해사 자료집.상, 하2007년편찬: 동북아역사재단2권
2조선시대 북방사 자료집2007년편찬: 동북아역사재단505쪽
3
4
5조·청 국경회담 자료집2007년편찬: 동북아역사재단407쪽
6백두산정계비 자료집2006년동북아역사재단418쪽
7국역『동문휘고』강역 사료2008년역: 배우성, 구범진788쪽
8예비회담~5차회담2008년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867쪽
9평화선·북송·6차회담 : 예비교섭·청구권2008년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865쪽
106차회담2008년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1051쪽
11고위 정치회담 및 7차회담 : 법적지위·어업관계·문화재2008년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757쪽
127차회담 : 기본관계·청구권·협정체결2008년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704쪽
13국역『동문휘고』범월 사료. 12008년구범진, 배우성820쪽
14요사·금사·원사 외국전 역주2014년역주: 박지훈, 이석현, 고명수,
이근명, 육정임, 김상범 ;
엮은이: 동북아역사재단
344쪽
14역주 『감계사등록』2008년이왕무, 정욱재, 양승률, 서동일 역356쪽
15역주 『감계사등록』.하2010년이왕무, 정욱재, 양승률, 서동일 역280쪽
16고려시대 대외관계사 종합연표2009년장동익 지음521쪽
17중일문제의 진상:
국제연맹 조사단에 참여한 중국 대표가 제출한 29가지 진술
(1932년 4월~8월)
2009년중화민국국민정부외교부 편;
박선영 옮김
631쪽
18국역『동문휘고』범월 사료. 2
19국역『동문휘고』범월 사료. 32011년옮긴이 : 구범진, 이원준, 이지영527쪽
20국역『동문휘고』범월 사료. 42012년옮긴이 : 배우성, 김창수,
박민수, 이원준, 이지영
908쪽
21사기 외국전 역주2009년동북아역사재단 편330쪽
22한서 외국전 역주.상, 하2009년동북아역사재단 편2권
23후한서 외국전 역주.상, 하2009년동북아역사재단 편2책
24삼국지·진서 외국전 역주2009년김유철, 하원수, 김호동,
문정희, 이근우, 최진열
240쪽
25송서 외국전 역주2010년동북아역사재단 편278쪽
26남제서·양서·남사 외국전 역주2010년동북아역사재단 편379쪽
27위서 외국전 역주2010년동북아역사재단 편370쪽
28주서·수서 외국전 역주2010년동북아역사재단 편404쪽
29북사 외국전 역주.상, 하2010년동북아역사재단 편2권
30구당서 외국전 역주.상, 하2011년엮은이: 동북아역사재단2권
31신당서 외국전 역주.상, 중, 하2011년엮은이: 동북아역사재단3권
32구오대사·신오대사 외국전 역주2011년엮은이: 동북아역사재단251쪽
33송사 외국전 역주.1, 외국전·상2011년동북아역사재단367쪽
33송사 외국전 역주.2, 외국전·하2012년동북아역사재단371-679쪽
33송사 외국전 역주.3, 만이전2013년동북아역사재단347쪽
34요사·금사·원사 외국전 역주2014년동북아역사재단344쪽
35명사 외국전 역주. 1-72011-13년동북아역사재단7권
36중국 정사 동이전 교감2018년엮은이: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
152쪽
37
38
39
40
41국역『청계중일한관계사료』. 1-22013년역 : 김형종, 이원준,
김창수, 하주형, 조병식
364, 433쪽
42울릉도·독도 일본 사료집.12012년역: 김강일, 윤유숙, 하혜정245쪽
42울릉도·독도 일본 사료집. 2, 죽도기하서·상2013년김강일, 윤유숙 역162쪽
43역주『통감부임시간도파출소기요』2013년동북아역사재단558쪽
43울릉도·독도 일본 사료집. 12012년김강일, 윤유숙, 하혜정 역245쪽
44러시아 국립 문서 보관소 소장 한·러 군사 관계 자료집2015년엮은이: 박종효269쪽
45사쿠마 진파치 보고서·죽도문담2018년윤유숙 편 ; 이해진225쪽
45근세 한일관계 사료집 : 야나가와 시게오키 구지 기록2015년김상준, 윤유숙역405쪽
46
47
48국역『동문휘고』칙유·범금·쇄환 사료2013년배우성, 김창수, 이원준, 정동훈, 박민수785쪽
49영토해양 국제판례 연구2017년동북아역사재단 독도연구소432쪽
50일본군'위안부' 자료 목록집.1-42018년동북아역사재단
일본군'위안부'연구센터 편
4권
51고대 동아시아 석각자료 연구2018년엮은이: 이성제 ; 집필진: 소현숙,
홍승현, 김성희, 권민균, 정재균,
양진성, 조재우, 이진선,
이성제
2권
52(역주) 한원2018년장초진 [지음] ;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 편 ;
집필진: 윤용구, 권순홍, 김지영, 나유정,
박인호, 백다해, 안정준, 위가야, 이규호,
이승호, 이여름, 이정빈, 이준성,
장미애, 정동준, 최현화
419, 87쪽
53
54
55
56
57
58
59
60
111근대한국외교문서.제1권, 제너럴 셔먼호 사건·병인양요2009년근대한국외교문서편찬위원회 편555쪽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122근대한국외교문서.제2권-제5권2009-2012년근대한국외교문서편찬위원회4권
120
121
122
123역주 일본서기. 12013년엮은이 : 연민수, 김은숙, 이근우,
정효운, 나행주, 서보경, 박재용
624쪽
124역주 일본서기. 22013년엮은이 : 연민수, 김은숙, 이근우,
정효운, 나행주, 서보경, 박재용
605쪽
125역주 일본서기. 32013년엮은이 : 연민수, 김은숙, 이근우,
정효운, 나행주, 서보경, 박재용
646쪽
126
127
128
129
130

4. 교양총서[편집]


권호제목발행
년도
저자쪽수
1윤영하 할아버지, 오사카에서 독도를 외치다2020년홍성근126쪽
2일본군'위안부'2019년조윤수282쪽
3고구려 고분벽화와 만나다2018년전호태201쪽
4연변 조선족 사회와 한반도 평화 통일2018년홍면기166쪽
5해동성국, 고구려를 품은 발해2019년김은국, 권은주, 김진광247쪽
6실학자들은 우리나라 역사지리를 어떻게 보았는가2021년박인호230쪽
7하늘의 자손 고구려의 왕과 왕자들2019년김현숙245쪽
8고구려를 이룬 다양한 사람들 고구려 남자, 고구려 여자2019년김현숙182쪽
9원치 않은 오랑캐와의 만남과 전쟁2020년한명기208쪽
10옥저와 읍루2020년강인욱235쪽
11허세와 타협-임진왜란을 둘러싼 삼국의 협상2019년김경태185쪽
12일본의 아시아태평양전쟁과 조선인 강제동원2019년정혜경231쪽
13메이지 유신 초기의 조선침략론2019년현명철163쪽
14평화를 향한 근대주의 해체2019년정태헌213쪽
15고대 한일관계와 『일본서기』2019년이재석242쪽
16백두산 자연과 역사가 살아 숨 쉬다2019년강석화211쪽
17중국내 한중 항일연대의 역사와 현장2019년김정현248쪽
18여신과 그 이미지2019년장석호263쪽
19유라시아를 품은 고구려 고분벽화2020년박아림192쪽
20부여의 얼굴2021년이종수224쪽
21조선의 역사 전문 외교관 유득공2021년임상선291쪽
22조선 후기 '왜관'의 세계2022년윤유숙180쪽
23조선통신사-평화외교의 길을 가다2022년손승철276쪽
24고려·몽골 관계 깊이 보기2022년이명미168쪽
25고려와 원 간섭 속의 항쟁과 개혁 그리고 그 유산2022년도현철270쪽
26한일회담2022년이원덕204쪽
27고구려와 수·당 70년 전쟁2022년임기환220쪽
28운요호 사건과 강화도조약2022년김흥수227쪽
29베이징에 온 서양인, 조선과 마주치다2022년손성욱240쪽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3:54:15에 나무위키 동북아역사재단/총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8권호까지는 전신인 고구려연구재단 명의로 출판되었다.[2] 7권호까지는 전신인 고구려연구재단 명의로 출판되었다.[3] 18권호까지는 전신인 고구려연구재단 명의로 출판되었다.[4] 7권호까지는 전신인 고구려연구재단 명의로 출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