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커스(파이어 엠블렘 시리즈)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파이어 엠블렘 봉인의 검/등장인물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파이어 엠블렘 열화의 검/등장인물

파일:FEFT_Marcus.png파일:FERK_Marcus.png
봉인의 검열화의 검

1. 개요
2. 상세
3. 성능
3.1. 봉인의 검
3.2. 열화의 검



1. 개요[편집]


파이어 엠블렘 봉인의 검과 그 프리퀄격 작품인 파이어 엠블렘 열화의 검에 등장하는 캐릭터. 클래스는 두 작품 모두 팔라딘.

페레 기사단의 장군으로 엘버트, 엘리우드, 로이까지 3대에 걸쳐 페레기사단을 지탱해온 노장. 엄하지만 그만큼 주군에게도 부하들에게도 신뢰받고 있으며 그의 지원회화의 반절이상이 그가 젋은이들을 지도하는 모습을 그린것이 그 반증이라고 할 수 있다. 베른 동란이 끝난 후에는 현역에서 은퇴하지만 여전히 정력적인 모습으로 후임들의 지도역으로 남았다고.


2. 상세[편집]


백발이 성성한 노장이며 주군에게 충성을 다하는 기사라는 점, 후일 은퇴 후 지도역으로 남는다는 점등 뭘로 보나 초대 도우미 팔라딘인 제이건을 오마쥬한 캐릭터. 당연히 성장률도 처참해서 노멀모드에서는 쓸 일이 거의 없다. 하지만, 적이 패러미터 사기를 치는 하드모드에서는 그 없이는 진행이 불가능할 정도로 초반부의 핵심전력으로 발돋움하는데, 선봉에서 아군의 벽으로 쓰기에도 좋은데다가 적을 건드리면 죽일 정도로만 HP를 남겨주므로 다른 아군을 성장시키는데 매우 도움이 되어준다. 그 후 후배들이 충분히 강해지고 나면 전선에서 물러나는, 역대 팔라딘 중 가장 도우미라는 역할에 걸맞은 이상적인 도우미 유닛.

참고로 소설판에서는 신장기 알마스를 들어버린 덕에 나중에 로이를 감싸고 사망한다.

한편, 열화의 검에서도 등장한다는 소식 때문에 주목을 받았는데...

소셜 나이트로 등장해서 주전력으로 쓸 수 있을 거라는 예상을 깨고 여전히 팔라딘으로 등장. 충격과 실망을 주었...지만, 초기치가 엄청나게 높아지고 성장률도 봐줄만한 수준으로 상승하여 주전력감으로 신분이 상승하였다.

열화의 검 시절에도 이미 고참에 속하는 장군이며 지원회화도 그가 후임 기사단원들을 지도하는 이야기가 여전히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점을 보면 초기 팔라딘은 어쩔 수 없는 그의 숙명인 듯. 한편, 완벽한 제이건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던 봉인의 검 시절에 비해 맛에 까다로우며 특히 단 맛을 은근히 좋아라 하는 점 등 캐릭터적으로 볼만한 요소가 좀 더 가미되어 있기도 하다.


3. 성능[편집]



3.1. 봉인의 검[편집]


파일:파이어 엠블렘_봉인의 검_마커스.jpg

Lv.1속성빙(氷)
HP기술속도행운
32 (60%)9 (25%)14 (20%)11 (25%)10 (20%)
수비마방이동체격구출
9 (15%)8 (20%)81114

전통의 도우미 팔라딘답게 초반에는 강해서 모든 적을 혼자 쓸어버릴수 있지만 후반으로 갈수록 젊은이들이 훨씬 강해지므로 키우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그래도 위에 나온대로 하드모드 초반에는 적군 피를 아슬아슬하게 남겨주므로 원본인 제이건보다는 더 쓸모있다. 특히 봉인의 검은 하드모드의 적군 패러미터 사기질 때문에 오히려 마커스 없으면 게임이 진행이 안된다! 아군이 슬슬 안정적으로 전직을 하는 15장 정도까지 루트거, 필, 신 등과 함께 전력으로 사용하게 되는 캐릭터니 제이건과는 비교도 안된다.


3.2. 열화의 검[편집]


파일:파이어 엠블렘_열화의 검_마커스.jpg

Lv.1속성빙(氷)
HP기술속도행운
31 (65%)15 (30%)15 (50%)11 (25%)8 (30%)
수비마방이동체격구출
10 (15%)8 (35%)81114

일단 전성기인 중년 시절이라 초기 능력치는 봉인의 검 시절에 비해 높아서 봉인의 검에서도 하드 모드 기준으로는 초반 도우미 역할을 톡톡히 했던 시절에 비해 강해졌고 성장률도 증가한 특성상 초반 능력치와 육성 난이도를 순수 성장 잠재력보다 더 높게 치는 서양에서는 제트급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상급 평가를 받는다. 특히나 구출 메타와 무기 상성 메타에 대한 연구가 완성된 시점에서는 모든 무기 종류를 사용할 수 있어서 무기 상성에서 항상 이득을 보는 점, 육성 없이도 단순 깡스탯으로 당시 적을 압도하며 후반에도 좀 키웠으면 든든한 전력이 된다는 점 때문에 후한 평가를 받는다. 몇 안되는 단점이라면 15%라는 낮은 방어 성장률과 이미 승급한 특성상 키우는 게 좀 어렵다는 점. 서양에서는 최대한 빨리 승급을 시키는 메타가 성행하는 특성상 레벨 20찍고 승급하는 것은 오히려 바보짓으로 취급받아서[1] 그 성장력 잠재력 기대치가 좁아진 게 마커스에게는 유리하게 작용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마커스 문서의 r3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마커스 문서의 r3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02:09:55에 나무위키 마커스(파이어 엠블렘 시리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확히는 중반부에 불도저 역할을 해줄 캐릭터들은 저레벨에 전직하거나 상급직 유닛들을 적절히 활용하고, 최후반까지 굴려먹을 에이스들은 20렙 전직을 하는 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