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소학

덤프버전 :

번역소학(飜譯小學)
1. 개요
2. 이본 및 소장처
3. 참고 사이트



1. 개요[편집]


번역소학은 의 유자징이 편찬한 소학을 중종의 명을 받아 김전, 최숙생 등이 언해하여 1518년(중종 13년)에 간행한 책이다. 소학의 주석서 소학집성을 저본으로 했기에 권수는 10권으로 되어있다.

서민이나 아녀자, 아동 등의 교화를 목적으로 언해한 책이며 <입교(立敎)>, <명륜(明倫)>, <경신(敬身)>, <계고(稽古)>, <가언(嘉言)>, <선행(善行)>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을해자로 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원간본은 전해지지 않고 16세기 이후에 복각(復刻)된 중간본만이 전해진다

종전에 수립된 불경 직역의 전통을 따르지 않고 의역했다는게 큰 특징이다. 의역이 지나치다는 비판으로 후에 소학언해라는 직역 언해서가 간행되긴 했지만, 오히려 의역을 한 덕분에 고유어가 많이 실려 있어 국어사 연구에 큰 도움이 된 문헌이다.


2. 이본 및 소장처[편집]


이본 종류연도소장처
원간본(을해자본)1518년(중종 13)전하지 않음
중간본(복각본) 권3·416세기 중엽대구 개인 소장
중간본(복각본) 권6·716세기 중엽고려대 만송문고
중간본(복각본) 권816세기 중엽고려대 도서관
중간본(복각본) 권916세기 중엽서울대 규장각 가람문고
중간본(복각본) 권1016세기 중엽국립중앙도서관


3. 참고 사이트[편집]


디지털한글박물관-번역소학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10:19:10에 나무위키 번역소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