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숙원 (r3판)

편집일시 :

생원


1. 정의[편집]


조선 전기에 활동한 경상북도 영천 지역 출신의 문인.

고려 초기에 나라의 기틀의 튼튼히 한 서필(徐弼)이다. 이어 손자 서희(徐熙)와 증손자 서눌(徐訥) 서유걸(徐惟傑) 서유위(徐惟偉) 서주행(徐周行), 고손자 서정(徐靖) 서존(徐存),서균(徐鈞) 서린(徐璘), 서원(徐元) 서공(徐恭) 서성(徐成) 서순(徐淳),서숭조,서희찬,서능(徐稜),서효손,서신계, 서린(徐鱗),서성윤,서념,서원경,서충,서신,서윤,서후상,서윤현 등이 15대를 이어 재상이 되었다.


대구달성서씨(大丘達城徐氏)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주행(徐周行 달성군)-서한(徐閈 군기소윤 종3품.차관)-서신(徐愼 이부판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무질(徐無疾 밀직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진(徐晉 판도판서 정3품.장관)-서기준(徐奇俊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영(徐穎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균형(徐鈞衡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 서익진(徐益進 판전객시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침(徐沈 조봉대부 정3품.장관) 서의(徐義 호조전서 정3품.장관) 이다


2. 가족[편집]


시조: 서신일 (徐神逸 아간공. 종1품)
* 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필(徐弼)(종1품 내의령)
* 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머니 : 평양 황씨(平壤黃氏)
** 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희(徐熙)(종1품 내사령)
*** 큰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눌(徐訥)(종1품 문하시중)
*** 큰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유걸(徐惟傑)(정2품 좌복야)
*** 큰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유위(徐惟偉)(정3품 장야서령)
*** 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주행(徐周行)(달성군)
**** 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한(徐閈 정4품 군기소윤)
***** 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신(徐愼 정2품 이부판사)
****** 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무질(徐無疾 종2품 밀직사)
******* 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진(徐晉 정3품 판도판서)
******** 고고고조할아버지: 서기준(徐奇俊 정2품 문하시중찬성사)
********* 고고조할아버지: 서영(徐穎 정2품 문하시중찬성사)
********** 고조할아버지: 서균형(徐鈞衡 종2품 정당문학)
*********** 증조할아버지: 서침(徐沈 정3품 조봉대부)
************ 할아버지 : 서문한(徐文翰 현감)
************* 큰아버지 : 서제(徐濟, 현감공파(縣監公派)
************* 아버지 : 서도(徐渡, 학유공파(學諭公派)
************** 형: 서지원(徐智元 학자)
*************** 조카: 서윤(徐尹 참봉(參奉))
*************** 조카: 서괄(徐适 훈도(訓導))
*************** 조카: 서세(徐洗찰방(察訪))
*************** 조카: 서부(徐浮 목사(牧使))
************** 형: 서인원(徐仁元 목사)
************** 형: 서용원(徐勇元 생원)
************** 본인: 서숙원(徐叔元 생원)
************* 작은아버지 : 서섭(徐涉. 판서공파(判書公派)
************ 작은할아버지 : 서문간(徐文幹 현감)
************* 작은할아버지 : 서근중(徐近中, 감찰공파(監察公派)
************ 작은할아버지 :서문덕(徐文德 현감)
*********** 작은증조할아버지 : 서습(徐漝 생원)
*********** 작은증조할아버지 : 서환(徐渙 생원)
********** 작은고조할아버지: 서익진(徐益進 종2품 판전객시사)
*********** 작은증조할아버지: 서의(徐義 정3품 호조전서)
************ 작은할아버지:서미성(徐彌性 정3품 목사(牧使))
************* 작은아버지: 서거광 (徐居廣 언양현감)
************* 작은아버지: 서거정 (徐居正 좌찬성 종1품)
* 큰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목(徐穆)(종1품 문하시중.이천백)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매년 11월 첫째주 토요일 오전 10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21(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매년 11월 첫째주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에서 거행된다.


서씨일가연합회 https://band.us/@seosarang
https://open.kakao.com/o/gBQB1q6c



3. 가계[편집]


서숙원(徐叔元)의 본관은 달성. 자는 공계(公季), 호는 채운(採雲)이다. 고려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내고 달성군(達城君)에 봉군된 서진(徐晋)을 시조로 하는 달성 서씨(達城徐氏)의 후손이다. 고조는 봉정대부(奉政大夫) 정당문학(政堂文學)으로 정평(貞平)의 시호를 받은 서균형(徐鈞衡)으로 시조 서진의 증손이다.

증조는 귀계(龜溪) 서침(徐沉), 조부는 승사랑(丞仕郞) 광흥창(廣興倉) 부승(副丞) 서문한(徐文翰)이다. 부친은 성균관학유(成均館學諭) 서도(徐渡)이며, 모친은 월성 정씨(月城 鄭氏)로 목사(牧使) 정차온(鄭次溫)의 딸이다.

부인은 의인(宜人) 오천 정씨(烏川 鄭氏)로 슬하에 1남 1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형조참의(刑曹參議) 서우(徐佑)이며, 사위는 지득리(池得鯉)이다.


4. 활동 사항[편집]


서숙원은 1465년(세조 11)에 태어나 1529년(중종 24) 65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중종 때 진사(進士)가 되어 권벌(權橃)과 교유를 하였는데, 경상감사 김안국(金安國)이 “고향에 살면서 근신하고 절조가 있어 가히 백사(百事)를 맡을 만하다”며 조정에 천거하였고, 창녕 훈도(昌寧訓導)와 영천 군사(永川郡事)에 제수되었다.


5. 묘소[편집]


서숙원의 묘소는 영천시 금호읍(琴湖邑) 구암리(龜岩里) 청호제산(菁湖堤山)에 있으며, 권상규(權相圭)의 갈문(碣文)이 있다.

상훈과 추모
영천시 본촌동(本村洞)에 원모당(遠慕堂)이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