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펼치기 · 접기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height=80><width=25%> {{{#000000,#FFFFFF '''강웅이'''}}}[br][[강원 FC|[[파일:강원 FC 엠블럼.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dd5828; font-size: 1.0em;"
[[강원 FC|{{{#ffffff '''강원'''}}}]]}}} ||<width=25%> [[보니#s-4|{{{#000000,#FFFFFF '''보니'''}}}]][br][[광주 FC|[[파일:광주 FC 엠블럼.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d24f; font-size: 1.0em;"
[[광주 FC|{{{#c41230 '''광주'''}}}]]}}} ||<width=25%>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5dbd1; font-size: 1.0em;"
{{{#4a5da9 '''부반장'''}}}}}}[br] [[리카(마스코트)|{{{#000000,#FFFFFF '''리카'''}}}]][br][[대구 FC|[[파일:대구 FC 엠블럼.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8fcff1; font-size: 1.0em;"
[[대구 FC|{{{#0072bc '''대구'''}}}]]}}} ||<width=25%> [[씨드(마스코트)|{{{#000000,#FFFFFF '''씨드'''}}}]][br][[FC 서울|[[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b5191a; font-size: 1.0em;"
[[FC 서울|{{{#ffffff '''서울'''}}}]]}}} ||
||<height=80> {{{#000000,#FFFFFF '''까오'''}}}[br][[성남 FC|[[파일:성남 FC 엠블럼.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1.0em;"
[[성남 FC|{{{#ffffff '''성남'''}}}]]}}}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5dbd1; font-size: 1.0em;"
{{{#e86a5c '''반장'''}}}}}}[br][[아길레온|{{{#000000,#FFFFFF '''아길레온'''}}}]][br][[수원 삼성 블루윙즈|[[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94996; font-size: 1.0em;"
[[수원 삼성 블루윙즈|{{{#ffffff '''수원'''}}}]]}}} || {{{#000000,#FFFFFF '''장안장군'''}}}[br][[수원 FC|[[파일:수원 FC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396f; font-size: 1.0em;"
[[수원 FC|{{{#eb0028 '''수원FC'''}}}]]}}} || [[미타#s-8|{{{#000000,#FFFFFF '''미타'''}}}]][br][[울산 현대|[[파일:울산 현대 엠블럼.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14099; font-size: 1.0em;"
[[울산 현대|{{{#fabe00 '''울산'''}}}]]}}} ||
||<height=80> [[유티|{{{#000000,#FFFFFF '''유티'''}}}]][br][[인천 유나이티드 FC|[[파일:인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2e57a6; font-size: 1.0em;"
[[인천 유나이티드 FC|{{{#000000 '''인천'''}}}]]}}} || [[전북 현대 모터스#s-22|{{{#000000,#FFFFFF '''나이티'''}}}]][br][[전북 현대 모터스|[[파일:전북 현대 모터스.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34f36; font-size: 1.0em;"
[[전북 현대 모터스|{{{#ffdd00 '''전북'''}}}]]}}} || {{{#000000,#FFFFFF '''감규리'''}}}[br][[제주 유나이티드|[[파일:제주 유나이티드 FC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58026; font-size: 1.0em"
[[제주 유나이티드 FC|{{{#ffffff '''제주'''}}}]]}}}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5dbd1; font-size: 1.0em;"
{{{#4a5da9 '''부반장'''}}}}}}[br][[쇠돌이|{{{#000000,#FFFFFF '''쇠돌이'''}}}]][br][[포항 스틸러스|[[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ad181d; font-size: 1.0em;"
[[포항 스틸러스|{{{#000000 '''포항'''}}}]]}}} ||
||<-4><bgcolor=#0068ac> [[틀:K리그2/마스코트|{{{#ffffff K리그2 클럽별 마스코트 보기 ▶}}}]] ||
|
|
인천 유나이티드 마스코트 No. 12
|
유티 Utee
|
나이
| 12세
|
성별
| 불명
|
종족
| 두루미[1] 2020년 마스코트 리브랜딩으로 '자신이 물범인 줄 아는 두루미'라는 설정이 추가됐다. 이유는 인천광역시의 마스코트와 맞추기 위해서.
|
신체
| 178cm, 100kg
|
좋아하는 선수
| 임중용
|
좋아하는 음식
| 짜장면, 두루치기
|
고향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
특기
| 월미도에서 운동하기
|
취미
| 맛집 탐방
|
소속 및 경력
| 인천 유나이티드 마스코트 2020 K리그 마스코트 부반장
|
SNS
|
|
반장선거 페이지인천 유나이티드의
마스코트다.
인천광역시의
상징새인
두루미를 의인화한 형상으로 프로축구계의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려는 의지와 인천광역시, 인천시민, 인천 연고 기업이 화합할 수 있는 매개체로서의 친근한 이미지로 상징화했다. 붉은 머리털은 축구에 대한 강한 열정을, 큰 날개는 승리에 대한 강한 의지와 페어플레이의 스포츠 정신을 표현하고 있다고 한다.
K리그 팬들은 어째서인지
전현무[2] 부리 주변에 회색 부분이 수염이 난 전현무를 연상케 하는 것이 이유인듯하다.
,
뿌링클[3] 유티 리뉴얼이후 한 인천팬이 유티 인스타그램에 "유티 뿌링클로 몇마리 나옴?"이라고 쓴 댓글 때문에 이후로 뿌링클로 불리고 있다. 그냥 딱 봐도 치킨이다
이라 부르고 있다(...)
2021년
K리그 마스코트 반장선거가 진행되던 4월 28일
서울 이랜드 FC의 레울과 반장동맹을 맺었고 그 다음날 4월 29일 032 더비의
부천 FC 1995의 헤르와 032 동맹을 맺었다.
한편 4월 28일에는 같은 인천의 야구팀인
SSG 랜더스의 홈구장
인천 SSG 랜더스필드를 방문했으며 SSG 랜더스의 마스코트인 랜디와 친목을 다졌다. 하지만 결과는 14계단 하락한 17위를 기록했다.
[4] 이후 SSG의 랜디는 그 보답으로 2021년 5월 29일 K리그1 19라운드 인천축구전용경기장을 방문했다.
2022년 K리그 마스코트 반장선거를 앞두고 전현무의 인스타그램에 팔로우를 신청했다. 본인도 전현무와 닮았다는 밈을 아는 듯. 한편 반장선거 결과는 12계단 올라간 5위를 기록했다.
잼민이 컨셉으로 각종 최신 밈을 사용하고, 타구단 도발 콘텐츠를 올리는 공식 인스타그램(@iufc_utee) 활동이 꽤나 화제이다.
[5] 원래는 안 이랬는데 담당자가 바뀌면서 컨셉도 180도 바뀌었다.
팬들은 업보를 쌓는다고 하고 있다.
계속해서 선을 넘지 않고 타팀을 재미있게 풍자하고 놀리는 인스타그램이 인기를 얻었다. 하지만 2022시즌 대구와의 경기전에 인스타그램에 "징구"라는 팀 멸칭을 써서 대구 팬들에게 비판을 받았다. 불과 며칠 전에 정승원 선수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징구럽게 더운 대구" 라며 친정팀 멸칭을 사용해 분위기가 험악해진 와중에 이런 발언을 해서 불난집에 부채질 하는 상황이 되어 더욱 비난을 받았고 결국 글을 내리고 사과문을 올렸다.
과거 유티
현재 유티 인천광역시의 마스코트와 비슷하게 만들어졌다.
2022년 3월 13일 (구)유티와 (현)유티가 같이 나왔다.

특이사항으로는 (구)유티가
대전 시티즌 팬에게
폭행(!!!)당한 전력이 있다. 일명 '두루치기' 사건이라 불린다 (...) 자세한 내용은
인천 유나이티드 FC/2012년 참고.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12-09 00:33:04에 나무위키
유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