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버스 240

덤프버전 :

>
제주특별자치도
[[틀:제주특별자치도 공항리무진|

공항
]]ㆍ[[틀:제주특별자치도 급행버스|

급행
]]ㆍ[[틀:제주특별자치도 간선버스|

간선
]]ㆍ[[틀:제주특별자치도 지선버스|

지선
]]ㆍ[[틀:제주특별자치도 순환버스|

순환
]]ㆍ[[틀:제주특별자치도 심야버스|

심야
]]ㆍ[[틀:제주특별자치도 임시 노선|

임시
]]
[ 300번대 · 제주시 ]
[ 500번대 · 서귀포시 ]



파일:240초상권보호.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5. 주요 관광지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일반간선버스 24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제주버스240 노선도.png
기점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라일동(제주버스터미널)종점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문동(제주국제컨벤션센터)
종점행첫차하절기 06:30
동절기 07:30[1]
기점행첫차하절기 08:10
동절기 09:10
막차하절기 17:10
동절기 15:20
막차하절기 18:50
동절기 17:00
하절기배차1일 12회동절기배차1일 9회
운수사명삼화여객인가대수4대
노선제주버스터미널 - 한라병원 - 한라수목원 - 제주도립미술관입구 - 국립제주호국원[2] - 어리목입구 - 1100고지휴게소 - 영실매표소 - 서귀포자연휴양림 - 회수삼거리 - 중문사거리 - 제주국제컨벤션센터


2. 개요[편집]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주버스터미널에서 한라산 어리목, 영실 휴게소를 거쳐 서귀포시 중문동 제주국제컨벤션센터까지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 거리는 88.8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1975년 6월 28일 1100도로 노선 신설

  • 2013년 9월 1일 제주 시외버스 노선번호 부여 정책에 따라 740번을 부여받았다.

  • 2017년 8월 26일 대중교통 체계 개편으로 간선버스 240번으로 변경되며, 삼화여객이 단독으로 운행한다. 배차간격은 기존과 비해 큰 변화는 없으나, 노선의 종점이 기존 중문사거리에서 제주국제컨벤션센터로 연장되었다.



4. 특징[편집]


  • 1100도로 버스로 잘 알려져 있으며, 길이 굉장히 험한 노선으로 유명하다.

  • 말 그대로 해발고도 1,100m에 있는 1100고지 정류소를 경유하므로, 연중 상시적으로 운행되는 시내버스 노선 중에서는 국내에서 가장 높은 곳까지 올라가는 버스이다.[3] 이 버스는 영실 휴게소까지 올라가지 않으며 해발고도 약 1,020m의 영실 매표소까지만 운행한다. 영실매표소-영실휴게소 구간 도로는 15인승 이하의 차량만 통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형 버스는 당연히 진입할 수 없다. 등산로 시작점은 영실휴게소이기 때문에 이 버스를 이용하여 한라산을 오르려는 등산객은 매표소-휴게소 구간을 도보로 오르거나, 매표소 앞에 대기하고 있는 택시를 이용하여야 한다.

  • 남한에서 제일 높은 산인 한라산의 서쪽 어리목 코스와 영실 코스로 등반하는 산행객 수요가 대부분인데 다만 어리목, 영실 코스는 한라산 백록담까지 못 올라가고 윗세오름 대피소까지만 등반이 가능하며, 그 이외의 수요는 거의 없기 때문에 따라서 시간표를 잘 보고 타야 한다.[4] 버스 시간표 자체가 한라산국립공원 등산 및 하산 시간에 맞춰져 있다. 그 이후 시간대에는 택시 외엔 답이 없다.

  • 제주버스터미널에서 승차할 경우 7번 승차장에서 탑승하면 된다.

  • 생각보다 단독구간[5]이 긴데다가 어리목이나 영실로 가는 유일한 버스 노선이기도 하지만 운행횟수는 적어서 항상 터져나간다.[6] 이 노선을 이용하려면 입석은 어느정도 각오해야 한다.

  • 매년 1~2월 주말 및 공휴일마다 제주터미널~영실매표소 구간을 임시로 증회운행한다. 임시 운행 시에는 타 회사 차량이 운행하기도 한다.

  • 1100도로 통제시 제주버스터미널 - 남녕고 구간은 정상적으로 운행하지만, 그 이후 구멍물 정류장까지 무정차로 평화로를 운행한다.

  • 간혹 가다가 노루를 마주칠 수 있다!

4.1. 시간표[편집]


240번 노선 시간표


5. 주요 관광지[편집]


한라수목원, 신비의도로, 제주도립미술관, 제주러브랜드, 천왕사, 어리목 코스, 어승생악, 람사르습지, 1100고지 휴게소, 영실 코스, 서귀포 자연휴양림, 거린사슴전망대, 법정사, 중문관광단지가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22:59:14에 나무위키 제주 버스 24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동절기는 매년 11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다.[2] 1일 5회 경유[3] 구례여객의 구례터미널-성삼재 버스가 해발 1,102m의 성삼재휴게소까지 올라가지만, 이 버스는 11월~4월 동절기에는 운행하지 않는다.[4] 제주시와 중문을 잇는 노선이지만 일반적으로 제주시와 중문을 오갈 때는 282번를 이용한다. 선형이 매우 좋은 평화로를 따라 달리고 배차간격 또한 압도적으로 촘촘하기 때문이다.[5] 단독구간: 노루생이삼거리-회수동[6] 특히 가을 단풍철에 그렇다. 게다가 영실코스는 봄철 철쭉으로 유명하기 때문에 이 시기에도 주말에는 붐비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