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4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덤프버전 :

1. 개요
2. 예선
2.1. 아마추어 선발전
2.2. 통합 예선
2.2.1. 일반조
2.2.1.1. 전반조(A~G조, 2회전 7월 1일)
2.2.1.2. 후반조(H~N조, 2회전 7월 2일)
2.2.2. 시니어조
2.2.3. 월드조(Q조)
2.2.4. 여자조[1]
3. 본선
3.1. 진출자
3.2. 32강전
3.3. 16강전
3.4. 8강전
3.5. 준결승
3.6. 결승
4. 이야깃거리



1. 개요[편집]


24번째로 열리는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관련 정보.


2. 예선[편집]



2.1. 아마추어 선발전[편집]


5월 28일 선발전을 통해 선발한 9명(+ 연구생 시드 3명[2]) => 통합 예선 출전

9명 선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출자는 볼드 처리.
조 구분진출성공진출실패탈락 랭커(라운드구분/상대)
1조안용호강구홍 아마랭커김상윤 연구생랭커(조별준결/안용호)
2조금지우 연구생랭커정찬호 아마랭커없음
3조주치홍정우진 연구생랭커이성진 아마랭커(1R/방석호)
4조김민석김범서최윤상 연구생랭커(1R/박정헌)
박상준 아마랭커(1R/양민석)
5조곽원근 아마랭커송민혁 연구생랭커없음
6조임상규송홍석김다빈 연구생랭커(조별준결/임상규)
이재성 아마랭커(조별준결/송홍석)
7조강재우김윤태 연구생랭커허영락 아마랭커(조별준결/강재우)
8조박신영 연구생랭커김민서김동한 아마랭커(1R/김은지)
9조박종욱 아마랭커이의현 연구생랭커없음


2.2. 통합 예선[편집]


  • 날짜 : 6월 30일 ~ 7월 5일
  • 일반조 14명 / 시니어조 2명 / 여자조 2명 / 월드조 1명 선발
중계구분대국1대국2중계
1일차 중계최정-추커얼
<여자조>
박진솔-리샹위K바둑
강동윤-천정쉰[3]이민진-위리쥔
<여자조>
바둑TV
백현우(아마)-왕위안쥔김기용-히라타[4]오로수순
2일차 중계
- 일반조는 앞조만 2회전
최정-판양
<여자조>
오유진-리샤오시
<여자조>
K바둑
후위한-박상진박하민-리웨이칭바둑TV
오니시 겐야-강승민박종훈-자오천위오로수순
3일차 중계
- 월드조 1회전
-일반조는 뒷조만 2회전
- 나머지 조 휴식
투샤오위-박영훈이호승-정쉬K바둑
펑리야오-이창호이동훈-타오신란바둑TV
구쯔하오-문민종무츠우라 유타-이영구오로수순
4일차 중계
- 월드조 2회전
- 나머지 3회전
박진솔-저우루이양설현준-퉁멍청K바둑
김명훈-판팅위(9단)[5]오유진-저우홍위
<여자조>
바둑TV
왕레이-이세돌김채영-츠지 하나
<여자조>
오로수순
5일차 중계
-통합예선 준결
구리-김명훈나현-리쉬안하오K바둑
이세돌-왕쩌진위빈-서봉수
<시니어조>
바둑TV
라오위안허-금지우(아마)나카노 히로나리-유창혁
<시니어조>
오로수순
6일차 중계
-통합예선 결승
유창혁-서봉수
<시니어조>
이영구-판윈뤄K바둑
강동윤-펑리야오박진솔-한이저우바둑TV
리쉬안하오-허영호홍성지-자오천위오로수순


2.2.1. 일반조[편집]



2.2.1.1. 전반조(A~G조, 2회전 7월 1일)[편집]

A조스웨박정수친웨신장치룬뉴스터차이원신허양송태곤당이페이강재우박재근장리요우김세동김희수김동희小무라모토 와타루최철한린쥔옌이연신윤호
스웨허양박재근무라모토 와타루
스웨장치룬허양당이페이박재근김희수린쥔옌신윤호
스웨당이페이박재근린쥔옌
당이페이박재근

B조황진형윤준상허진김민석세키 고타로현유빈김민규궈신이구링이권효진男리웨이오병우송지훈미위팅천샤오췐이성재아다치 도시마랴오싱원박종욱이형진
윤준상현유빈오병우아다치 도시마
허진김민석궈신이권효진男송지훈미위팅랴오싱원이형진
허진궈신이송지훈랴오싱원
궈신이랴오싱원
중국선수 확정

C조황스위안박승화이현욱백홍석장자환(臺)롄샤오문유빈안정기오타니 나오키전영규천위눙한우진김준석김범서차오샤오양[6]김진휘이링타오류민형오니시 겐야강승민
박승화문유빈천위눙이링타오
박승화백홍석문유빈전영규천위눙차오샤오양이링타오강승민
박승화문유빈차오샤오양이링타오
박승화차오샤오양

D조장웨이제최명훈린스쉰곽원근리쉬안하오황웨이후야오위배준희박시열나현최광호션페이란박정근누마다테 사키야한웅규이용수허영호윤예성사카이 다카시이원도
장웨이제후야오위최광호허영호
린스쉰리쉬안하오후야오위나현박정근한웅규허영호이원도
리쉬안하오나현박정근허영호
리쉬안하오허영호

E조츠루타 가즈시황윈쑹한상훈강우혁천웨이팅후위한테라타 슈타박상진유병용룽이이상헌천한치옌자이밍구리김강민양카이원라이쥔푸김명훈주치홍판팅위
황윈쑹후위한천한치라이쥔푸
황윈쑹강우혁후위한룽이천한치구리김명훈판팅위
황윈쑹룽이구리김명훈
황윈쑹구리
중국선수 확정

F조김현찬쉬한원린옌청박진영고이케 요시히로쉬징언박하민리웨이칭박건호한이저우임상규서중휘장쯔량아오키 히로타카왕타오리샹위박진솔오장욱저우루이양궈원차오
쉬한원박하민서중휘박진솔
쉬한원고이케 요시히로리웨이칭한이저우장쯔량아오키 히로타카박진솔저우루이양
쉬한원한이저우장쯔량박진솔
한이저우박진솔

G조다나카 고유김선호윤찬희김상천김선기판팅위(3단)우광야시바노 도라마루자오천위박종훈백현우왕위안쥔토리이 유타조인선쑨텅위송상훈홍성지신재원천츠젠전용수
다나카 고유우광야왕위안쥔홍성지
윤찬희김상천우광야자오천위왕위안쥔쑨텅위홍성지천츠젠
윤찬희자오천위쑨텅위홍성지
자오천위홍성지


2.2.1.2. 후반조(H~N조, 2회전 7월 2일)[편집]

H조이영구조성호무츠우라 유타한상조류수항탄샤오윤민중판인옌환천셴천치루이김경환김명완안형준양건최현재목진석오니시 류헤이[7]송규상판윈뤄
이영구탄샤오천치루이최현재
이영구류수항판인옌환천치루이안형준오니시 류헤이판윈뤄
이영구옌환천치루이판윈뤄
이영구판윈뤄

I조천정쉰강동윤이마분 다로최은규사카이 켄타로장창안용호홍무진간쓰양이현준퉈자시김형환김영도저우허시시다 다츠야루이취엔이창석김성진이창호펑리야오
강동윤장창퉈자시이창석
강동윤최은규홍무진이현준김영도저우허시이창석펑리야오
강동윤이현준김영도펑리야오
강동윤펑리야오

J조홍기표박신영리친청김동우강지훈후쯔하오원성진리위앙린지에한조완규하라 마사카즈쉬자양김기범리저지샹김지명츠지 시게히토한승주후쿠오카 코타로김형우
홍기표원성진쉬자양김지명
리친청김동우원성진조완규쉬자양지샹한승주김형우
리친청원성진쉬자양김형우
리친청쉬자양
중국선수 확정

K조강지범퉁멍청이춘규설현준주형욱심재익니시 다케노부위즈잉도요다 히로히토장타오정두호양유준젠징팅문종호이현호최홍윤투샤오위박영훈최재영와타나베 칸다이
퉁멍청심재익양유준투샤오위
퉁멍청설현준위즈잉장타오젠징팅이현호박영훈최재영
설현준장타오이현호박영훈
장타오이현호

L조정서준선승민금지우볜원카이이우람랴오위안허이호범우츠미 고키안조영정훈현차이텅웨이박경근왕레이루리옌이세돌천하오박영롱왕쩌진류동완유창주
정서준랴오위안허차이텅웨이박영롱
금지우이우람랴오위안허안조영왕레이이세돌왕쩌진류동완
금지우랴오위안허이세돌왕쩌진
랴오위안허왕쩌진
중국선수 확정

M조요코츠카 리키딩스슝이동휘문민종구쯔하오진시영김기원천샤오난이주형강창배문지환쉬하오훙리하오퉁김영광샤천쿤최기훈차부일이승준이지현男심준섭
요코츠카 리키진시영쉬하오훙최기훈
요코츠카 리키구쯔하오천샤오난이주형쉬하오훙샤천쿤이승준이지현男
구쯔하오이주형샤천쿤이지현男
구쯔하오샤천쿤
중국선수 확정

N조[8]황춘치(中)김창훈유재호양우석타오신란이동훈박준석천하오신박현수이호승정쉬최원용민상연린리샹셰커최영찬김기용히라타 도모야박주민딩하오정우진
김창훈타오신란천하오신민상연김기용
김창훈타오신란천하오신정쉬민상연최영찬김기용딩하오
타오신란정쉬최영찬김기용
타오신란김기용


2.2.2. 시니어조[편집]


O조[7]차수권양상국조선진(日)나종훈백성호이시다 아츠시서능욱정대상김준영오야 고이치유병호류시훈(日)황원준김동면양재호김일환이기섭김철중김수장
차수권이시다 아츠시류시훈(日)
조선진(日)나종훈이시다 아츠시오야 고이치류시훈(日)양재호김일환김수장
조선진(日)오야 고이치류시훈(日)김일환
조선진(日)류시훈(日)
일본선수 확정

P조[7]안관욱김종수박승문위빈이상훈[9]최규병문명근박영찬서봉수정수현조대현김승준한상열유창혁김기헌장수영나카노 히로나리팡제박종렬
안관욱최규병김승준
안관욱위빈박영찬서봉수김승준유창혁나카노 히로나리팡제
위빈서봉수유창혁나카노 히로나리
서봉수유창혁
한국선수 확정


2.2.3. 월드조(Q조)[편집]


이 조는 6월 5일부터 17일까지 한/중/일+대만을 제외한 국적 기사를 대상으로 받았는데, 신청자가 선발 대상인 4명을 넘을 경우 6월 26일에 선발전이 실시된다.
통합예선 월드조는 위 신청자 4명, 각 지역 초청자 (유럽4명, 미주4명, 아시아3명, 아프리카1명) 12명으로 구성된다. 시작 일자는 7월 2일.

UKR
안드리
THA
위크릭 카루에
USA
휴장
FRA
아리안[10]
INA
하림
FRA
탕구이 르카르베
ARG
데이비드 폴저
RUS
아나스타샤
USA
아론
POL
마테우스 수르마
FRA
제모르
SIN
지에후이
FRA
티바우드
ISR
알리 자바린
MAS
청카이용
USA
종시아자오
UKR
안드리
USA
휴장
FRA
탕구이 르카르베
RUS
아나스타샤
USA
아론
SIN
지에후이
ISR
알리 자바린
USA
종시아자오
UKR
안드리
FRA
탕구이 르카르베
SIN
지에후이
USA
종시아자오
FRA
탕구이 르카르베
USA
종시아자오


2.2.4. 여자조[11][편집]


R조[7]이도현권효진츠지 하나마리야뤄추야오이단비김채영권주리조연우조승아우이밍김노경차주혜송혜령김제나왕솽오정아모로 아리사김상인최동은이영주추커얼최정판양고토 마나허서현양쯔쉔하네 하야카
이도현츠지 하나뤄추야오권주리조승아차주혜왕솽오정아김상인최정판양허서현
츠지 하나김채영조승아송혜령오정아이영주최정허서현
김채영조승아오정아최정
조승아최정
한국 선수 확정

S조[7]김혜민루민취안바이신후이리허후지사와 리나쑹룽후이위리쥔이민진왕위보도은교루이나이웨이장혜령강지수팡뤄시자오이페이저우홍위정연우김민정이정원리샤오시김경은오유진천이밍김수진차오요우인김다영김미리우에노 아사미가오싱
루민취안리허후지사와 리나위리쥔왕위보루이나이웨이팡뤄시저우홍위김민정리샤오시김수진차오요우인우에노 아사미
루민취안후지사와 리나루이나이웨이팡뤄시저우홍위오유진김수진가오싱
후지사와 리나팡뤄시저우홍위가오싱
팡뤄시가오싱
중국선수 확정


3. 본선[편집]


대전 삼성화재 유성 연수원에서 32강전부터 시행 예정.


3.1. 진출자[편집]


국가별 구분시드권자진출 선수[12]
한국신진서 / 박정환 / 김지석 / 신민준 / 변상일허영호 / 이영구 / 강동윤 + 서봉수(시니어) / 최정(여자)
중국커제 (전기 우승) / 양딩신 / 셰얼하오 / 천야오예 / 탕웨이싱당이페이 / 궈신이 / 차오샤오양 / 황윈쑹 / 한이저우
자오천위 / 리친청 / 장타오 / 랴오위안허 / 구쯔하오 / 타오신란
+ 가오싱(여자)
일본이야마 유타 / 쉬자위안[13]조선진[14](시니어)
대만-위리쥔(와일드카드)
프랑스-탕귀[15] 르카르베(월드)


3.2. 32강전[편집]


8월 30일 11시~ (한국 시간)

신진서 vs 가오싱
박정환 vs 당이페이
김지석 vs 장타오
신민준 vs 차오샤오양
변상일 vs 양딩신
이영구 vs 커제
허영호 vs 구쯔하오
강동윤vs 한이저우
서봉수 vs 궈신이
조선진 vs 타오신란
최정 vs 천야오예
이야마 유타 vs 탕웨이싱
쉬자위안 vs 리친청
위리쥔 vs 랴오위안허
탕귀 르카르베 vs 황윈쑹
셰얼하오 vs 자오천위


3.3. 16강전[편집]


8월 31일

신진서 vs 천야오예
박정환 vs 셰얼하오
김지석 vs 양딩신
신민준 vs 리친청
강동윤 vs 탕웨이싱
서봉수 vs 구쯔하오
커제 vs 타오신란
랴오위안허 vs 황윈쑹


3.4. 8강전[편집]


9월 1일

유성 대참사[16]

신진서 vs 랴오위안허
박정환 vs 탕웨이싱
신민준 vs 구쯔하오
양딩신 vs 타오신란


3.5. 준결승[편집]


9월 2일

랴오위안허 vs 탕웨이싱
구쯔하오 vs 양딩신


3.6. 결승[편집]


탕웨이싱 vs 양딩신[17]

1국 (9월 4일) 탕웨이싱 승리

2국 (9월 5일) 양딩신 승리

3국 (9월 6일) 탕웨이싱 승리 = 우승


4. 이야깃거리[편집]


  • 몇 달 간격으로 쪼개서 진행하던 예전과 달리, 약 1주일 동안 한 장소에서 대회를 계속 진행해 마무리한다.
  • 32강전부터 준결승까지 단판 토너먼트로 변경, 대국 수를 크게 줄였다.
  • 전기 준우승자 안국현이 군 복무 상황으로 본선에 자동 진출하지 않았다.
  • 대회 사상 최초로 4강이 모두 중국 선수로 채워졌다. 5년 연속 중국의 우승.
  • 탕웨이싱은 6년 만에 삼성배에서 우승했다. 중간의 응씨배를 합하면 3년에 한 번씩 세계대회 우승 기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3:52:58에 나무위키 제24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조 구성이 맨 뒤에 있다(시니어 O, P조, 월드 Q조, 여자 R, S조)[2] 백현우 / 조성호 / 양유준[3] 1일차 중계 중 늦게 끝난 대국[4] 당일 오로 결과가 흑 0.5??집승(...)이라고 표기되어 있다[5] 동명이인 3단이 있다[6] 차오샤오_만 표기됨[7] A B C D E 오니시 류_만 표기됨[8] 조 대진 배치가 변경되었다[9] 큰 이상훈. 작은 이상훈은 미참가[10] 아리안 우지에로 추정[11] 조 구성이 맨 뒤에 있다(시니어 O, P조, 월드 Q조, 여자 R, S조)[12] 조별로 나열함[13] 대만 태생 일본기원 기사[14] 한국 태생 일본기원 소속 기사이다.[15] 또는 탕구이[16] 4강이 모두 중국으로 채워진 대회는 삼성화재배 역사상 최초다. 진짜 폐지각(...)[17] 탕웨이싱은 삼성화재배 결승만 벌써 4번째다. 이쯤되면 삼성배의 사나이(...), 양딩신은 2019년에만 벌써 세계대회 결승 2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