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롬 소프트웨어 마이너 갤러리

덤프버전 : r20230302

종류
디시인사이드/마이너 갤러리
개설일
2017-08-23

주소
바로가기

1. 개요
3. 용어/밈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프롬 소프트웨어의 게임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마이너 갤러리이다. 약칭은 프롬갤. 주로 엘든 링, 다크 소울 시리즈, 블러드본, 세키로: 섀도우 다이 트와이스[1]에 대한 이야기가 올라온다.

원류는 다크소울 마이너 갤러리이다. 완장이 실수로 승격 거부글을 작성하지 않았다가 정식 갤러리로 승격되는 바람에 단체로 새 마갤을 파서 탈주해 도착한 곳이 프롬갤.

엘든 링이 가장 지분이 높고 그 다음으로는 다크 소울 3, 다크 소울 2, 블러드본 이야기가 많다. 초기작인 다크 소울과 플5 독점작인 데몬즈 소울은 간간히 화제가 나오는 정도. 리메이크 이전 데몬즈 소울은 플스3 게임이라 인지도가 더 낮다. 엘든링이 공개되고 나서는 엘든 링의 지분이 가장 높고, 다크 소울 2의 비중도 늘어났다. 엘든링은 스꼴라다

세키로는 발매 당시에는 글 리젠이 활발했지만, 싱글 게임인 만큼 게임 공략이 다 끝난 시점에선 간간히 화제가 나오는 정도다. 앞서 말했듯 세키로 마이너 갤러리가 따로 있어서 프롬갤로 오는 유저와 세키로갤로 가는 유저로 양분되는 편.

신작이 나오면 신작에 대한 정보 공유와 공략이 주를 이루지만,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면 멀티플레이 교류가 주를 이룬다. 소울류 팬덤 이전에 있던 아머드 코어 팬덤은 따로 아머드 코어 마이너 갤러리가 있어서 화제가 나오지 않고 가끔 나오더라도 갤러들도 그쪽으로 유도하기도 한다. 킹스 필드, 섀도우 타워 같은 프롬의 고전 게임들은 팬덤이라고 부를 정도도 없어서 거의 언급이 되지 않는다.

프롬 소프트웨어 게임에 관한 새로운 소식들과 안정적인 갤러리 운영 덕에 접속 인원도 꽤나 많고 글 리젠률도 좋은 편이다. 2021년 3월 19일 기준 흥한 갤 55위. 어그로 및 분탕종자들에 대한 제재 또한 엄격한 편.

다크소울 시스템상 원하는 시간대에 멀티를 하려면[2] 게임 외적인 커뮤니티가 반필수인데, 프롬갤이 국내에서 꽤 사람이 많고 글 리젠율도 좋은 다크소울 커뮤니티이기에 디씨를 모르는 사람들도 프롬갤을 통해 처음 디씨를 접하는 경우도 많다.

엘든링 출시 하고 한동안 1위를 유지 하였으며, 30위권 안에 들어가는 흥갤이 되었으나, 엘든링의 정신나간 서버 상태와 PVP 밸런스, 회차를 돌기에 부적절한 시스템 등으로 대다수 유저들이 PVP나 코옵은 일절 하지 않고 1회차만 깔끔하게 한 뒤 게임을 접게 되어 다시 과거의 모습으로 회귀하고 있는 중이다.

8월 25일부로 다크 소울3 서버가 열려서 망자들이 성불하고 있다. 근데 9월 20일부로 다시 닫혔다.
그후 며칠뒤 다시 열렸지만 또 서버가 터지는등 많이 불안정한 상태다.

2. 역사[편집]


자세한 내용은 프롬 소프트웨어 마이너 갤러리/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용어/밈[편집]


  • 데리지널, 데리멬, 프투다, 리마, 꼴리지널, 꼴, 똥3, 근든링: 순서대로 데몬즈 소울, 데몬즈 소울 리메이크, 다크 소울 1, 다크 소울 1 리마스터, 다크 소울 2, 다크 소울 2 스콜라 오브 더 퍼스트 신, 다크 소울 3, 엘든 링을 뜻한다. 대충 각 작품 이름을 줄여서 부르거나 별칭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꼴불겐(스라, 사대, 붕이): 프롬갤의 3대 놀림거리이다.
    • 꼴, 스꼴, 스꼴라: 카미게 다크 소울 2의 확장팩이자 리마스터판인 스콜라 오브 더 퍼스트 신의 줄임말. 유일하게 미야자키 히데타카가 감독을 맡은 작품이 아니다보니 미야자키가 만든 작품들과는 방향성이 상당히 차이가 나서 그 독특함에 서자, 최고의 소울라이크 게임(...) 등등의 칭송 받는다. 엘든 링, 다크 소울 3 다음으로 유저층이 두터워서 글과 갤투도 활발하다. 2를 즐겨하는 유저를 두고 꼴맘이라 부른다.
    • 불사대: 다크 소울 3의 보스인 심연의 감시자와 인게임에서 불사대 풀셋+팔란의 대검 셋을 사용하는 유저들을 칭하는 말. 멋진 외형과 모션, 처음 만나는 장작의 왕과 (초회차 기준)그에 따른 상당한 난이도까지 갖춰 뭇 뉴비들의 마음을 울리는 간지보스지만, 회차가 지날수록 뒤잡 패링 앞잡 경직 다 먹는 호구로 위상이 추락하고 그렇다고 팔란의 대검이 성능이 좋은 것도 아니라 프롬갤에선 병신, 호구, 겉멋만 든 찐따를 지칭하는 용어로 쓰인다.
    • 겐붕이: 목숨까지 바쳐가며 몰락해가는 나라를 구하고자 했던 세키로의 보스 아시나 겐이치로를 가리키는 말. 인식이 워낙 좋아서 위의 불사대와 동급이라 봐도 무방하다. 가끔 겐붕이와 불사대중 어느쪽이 더 최고인지 논쟁이 벌어지기도 한다.

  • 주인공들 별명
    • 선불자: 다크 소울1의 주인공 선택받은 불사자를 줄인 말.
    • 짊: 다크 소울 2의 주인공 저주를 짊어진 자를 줄인 말. 놀림의 대상이자 동네북이지만 가끔 3의 주인공보다 어깨가 넓고 갑옷 핏이 멋지거나 점프력이 좋다고 칭찬받는다. 저주를 품은 거목이 되었다는 개드립 프롬뇌 때문에 부랄(...)이라고도 불린다. 가끔 쭀이나 삧과 같은 맥락으로 찖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 쭀: 다크 소울 3의 주인공 재의 귀인의 별명. 다른 주인공들과 달리 이름을 줄인 별명이 아닌 다른 별명으로 불리는가 하면, 갤러 대부분이 다크 소울 3로 입문하다보니 NPC를 죽이거나 먼저 비적대 NPC를 때려놓고 실수했다며 피해자 코스프레를 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때 주인공인 재의 귀인좆의 좆좆이라고 부르던 것이 시초이다. 좆좆을 축약하여 쭀이라고 한다. 다크 소울 1이나 세키로 등 타 작품에서 비슷한 짓을 하는 경우 선불자나 늑대를 까는 대신 '쭀이 왜 로드란에 있냐?', '아시나에 간 쭀'이라며 괜히 끌려나와서 얻어맞는다.
    • 훈타: 블러드본주인공 사냥꾼을 부르는 말. 인형이 주인공을 'good hunter'라고 칭하는 것에서 유래.
그런데 인형은 훈타가 아닌 '헌터'라고 확실한 영미권 발음을 구사한다. 몬스터 헌터 시리즈팬덤에서 주인공들인 '헌터'를 흔히 훈타라고 부르는데, 이쪽발 은어가 흘러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안그래도 프롬 팬덤과 몬헌 팬덤은 유저층이 꽤 겹치기 때문.
  • 늑대, 세키로: 세키로의 주인공. 원래도 이름이 짧아서 그냥 늑대 아니면 세키로라고 부르고 가끔 늑/셐이라고 줄여 부르기도 한다.
  • 슮: 데몬즈 소울의 주인공. 주인공의 영칭인 'slayer of demon'을 줄인 말이다.(레이어 오브 데→ 슬몬 → 슮)
  • 삧: 엘든 링의 주인공. 주인공를 가리키는 명칭 "빛바랜 자"를 줄인 말. 입에 착 붙지 않는다며 다른 별명을 짓자는 사람도 많지만 딱히 아이디어가 없어 삧이라는 애칭은 유지중이다.

  • 쌍왕자, 쌍게이: 다크 소울 3의 보스 로리안과 로스릭 형제를 지칭하는 말.


  • 설기장: 법왕 설리번 보스방 뒷쪽 넓은 무대를 가리키는 말. 설리번 투기장의 줄임말이다. 설기장이 다크 소울 3 유저들의 비공식 PVP 공간으로 각광받는 곳이기 때문에 붙은 별명으로 프롬갤러끼리 비번을 걸고 설기장을 여는 경우에는 갤기장이라고 한다.

  • 갤투: 프롬갤이 여는 투기장이라는 뜻으로 불사의 전투의 줄임말인 불투에서 따왔다. 유저들이 간헐적으로 불사의 전투를 열때 갤투라고 지칭한다.

  • fromgall: 프롬갤에서 코옵을 할때 통일시킨 매칭 비밀번호. 매칭 비밀번호는 무조건 fromgall이다.[3] 가끔 분탕들이 프롬갤 유저에게 아이템 복지를 받으려고 비번만 싹 바꿔서 먹튀하는 경우가 있다. 보통 로스릭의 높은 벽에서 거래가 이루어지나 다른 멀티로 인해 혼잡하므로 복지센터는 다른 장소에서 여는경우도 있다.

  • 복지: 다크 소울 시리즈에서 한 유저가 다른 유저에게 그 유저가 필요로 하는 아이템을 기부하는 것. 때때로 보ㄱ지이라고 일부러 늘려서 말한다. 단 라프셋, 조제된 용을 가르는 도끼, 포로의 사슬, 말벌의 반지는 제초유저의 필수픔이나 다름없어 복지해주는 걸 꺼리거나 하지 않는 편이다. 나눔이라고 하면 근첩으로 낙인찍힌다.

  • 밴픽 : PVP에서 사용하면 강퇴당하거나 심하면 갤에 프로필이 박제당하고 완장 주도하에 차단까지 당할 수 있는 기피무기나 빌드를 가리킨다.
    • 기류, 번화, 말벌 : 다크 소울 3의 주문인 화염기류와 번개의 화살. 반지인 말벌의 반지를 지칭하는 말. 악명높은 닼3 pvp중에서도 특히나 사기급인 세팅. 쓰는 순간 상대방은 스트레스, 구경꾼들은 노잼, 갤투장이 (긍정적 의미의) 친목도모회에서 승리만을 위한 진흙탕 싸움으로 변질되기 때문에 갤러리 PVP에서는 절대 금지시킨다. 물론 공식적으로 써도된다 쓰지말라 한 건 아니지만... 이외에도 암묵적 금지 장비들은 라프의 투구/갑옷/장갑/각반, 반엽의 대도, 까마귀 인간의 대형 단도, 녹슨 낫, 법왕 기사의 곡검, 쇠스랑(전기강공 제외) 등이 있다.
    • 시산, 산양, 바레뚝: 엘든 링의 방어구인 산양 세트와 흰 가면, 무기인 도 : 시산혈하를 가리키는 말. 엘든 링의 악명 높은 PVP 세팅 중 하나로, 하나만 입어도 좋은 시선을 받기 힘든데 만약 셋 다 착용한다면 거의 반드시 갤에 프로필이 박제되는 그야말로 제초의 대명사로 불리는, 유저들이 치를 떠는 개사기 세팅이다. 엘든 링의 PVP 밸런스는 다크 소울 3보다 더 개판이라 저 빌드들을 잘못 만나면 심할 경우 전투 기술 콤보 한번에 문자 그대로 갈려버린다. 따라서 야생은 몰라도 갤에서 주최하는 PVP에서 이딴 세팅을 들고오면 그 날로 갤은 얼씬도 못한다고 보면 된다.


  • 선무희: 차가운 골짜기의 무희를 장작의 왕 3명을 잡기도 전에 먼저 깨는 것. 고회차면 몰라도 1회차부터 시도하면 상당히 죽을 맛이다. 프롬갤에선 선무희를 깨고 저렙에 고성능 무기나 에스트를 만들어 제초를 하는 유저를 경계해 선무희 코옵을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 갈리브: 다크소울2에서 나오는 신의 이름으로, 이름반지에 명시되어있다. 명칭은 병의 신 갈리브, 줄여서 병신 갈리브로 불리다가 결국 갈리브 = 병신 이라는 용어로 고정되었다.

  • 레임: 다크소울2의 2번째 DLC <철의 옛 왕의 왕관> 의 최종보스인 연기의 기사 레임에서 따온 용어. 엘든링이 2월 25일로 연기된 것에 빗대어 레임이라고 칭함.

  • 레망호: 다크소울2의 2번째 DLC <철의 옛 왕의 왕관> 의 최종보스인 연기의 기사 레임 코옵을 말한다. 원래 디씨에서 사용하던 망호에 레임을 붙인것, 난이도가 높은 보스다 보니 꼴맘들 사이에서는 인기가 높다.

  • 삼인귀: 심연의 감시자, 겐이치로, 저주를 짊어지는 자를 의미한다. 갤러리에 어그로,분탕,뇌절이 발생할 때 마다 출연하는 불사대, 겐이치로, 스꼴라의 뻘글을 의미하며, 갤러리 정상화를 요구 할 때 마다 3명의 짤방을 사용하며 어그로를 끈다.

  • 모판의 저주: 핵으로 생성한 25강 시산혈하나 20강 팔란의 대검같은 템들을 의미한다. 유래는 대변 먹는 자이며 모판을 심어두면 얼마 안 가 다 함께 밴되기 때문이다. 이 때는 보통 '모든 유저가 핵으로 밴 되면 밴은 밴이 아니게 된다. 모든 핵에 축복 있으라.' 라는 말이 덤으로 딸려온다. 이 역시 대변 먹는 자의 대사가 유래.

  • 엘든 링스꼴라다.:유래는 금가면 경의 퀘스트 진행 내용중 하나인 "라다곤???다."에서 따왔으며 엘든 링의 여러 요소나 문제점들이 스꼴라에서도 유사하게 등장하는 것을 얘기한다.

  • 실수: 아이템을 얻기 위해, 또는 그냥 거슬려서 NPC를 죽이는 행위를 일컫는다. 보통 '실수로 그소양잡강공을 날렸는데 죽어버렸다.' 이런 식으로 사용하며 이런 사람이 있다면 상술한 쭀 밈과 연계되어 '쭀이 왜 OOO에[4]'와 같은 식으로 답해준다.

  • 전통: 은기사 귀떼기 노가다를 끝내고 독이 잔뜩 오른 플레이어가 요르시카를 때려잡는(...) 것. 특유의 노가다성 때문에 념글치트키로 통한다. 그런데 이게 뜬금없이 여성 혐오라고 저격을 당했다.[5]

  • 엘든 링 캐릭터 지지 파벌
    • 적사자군: 엘든 링라단을 옹호하는 파벌을 일컫는 말이다.
    • 귀부기사: 엘든 링말레니아를 옹호하는 파벌을 일컫는 말이다.[6]
    • 흉선족: 엘든 링모르고트를 옹호하는 파벌을 일컫는 말이다.
    • 퐁퐁단: 엘든 링라니를 옹호하는 파벌을 일컫는 말이다.
    • 고드릭의 군병: 엘든 링접목의 고드릭을 옹호하는 파벌을 일컫는 말이다. 줄여서 고드릭군으로도 불린다.[7]

4.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12-09 18:47:58에 나무위키 프롬 소프트웨어 마이너 갤러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러나 완전 싱글을 지향하는 세키로 이야기는 잘 올라오지 않아서 세키로 마이너 갤러리가 따로 있다.[2] 랜덤매칭이 아닌 경우. 다크소울은 사인이라는 시스템을 통해 멀티를 하는데 다른사람이 사인을 그어놓은게 아닌이상 멀티를 하고싶어도 할 수가 없다. 물론 사인을 긋는 본인도 언제까지고 기다리고있을 순 없으니...[3] 예외로 비번매칭이 없는 스꼴라는 이름을 새기는 반지에 병의 신 갈리브의 이름을 새기는 것을 가리켜 "병신 갈리브"라고 따로 지칭한다.[4] 해당 게임의 지역 이름이 들어간다. 가령 세키로면 쭀이 왜 아시나에[5] 자세히 서술하자면, 흔히 귀떼기라고 불리는 약정의 증표라는 아이템을 총 30개를 모아 요르시카에게 바치면 120렙대 PVP에서 가장 좋은 인챈트 주문인 암월의 검을 얻을 수 있다. 다만 귀떼기를 PVP로 얻는 방법은 매칭 방식이 상당히 제한적이라 얻기 힘들어 싱글로 노가다를 하는 경우가 많다. 근데 이 귀떼기를 드랍하는 아노르론도 은기사들은 온갖 방법으로 발견력(드랍율)을 높이더라도 나올 확률이 3% 내외에 약간의 실수만으로 역으로 플레이어가 순식간에 죽어버리는 높은 스펙의 몬스터라 모으는데 최소 몇시간은 거뜬히 소모된다. 대부분의 NPC를 죽일 수 있는 게임 특성상 이 몇시간의 노가다로 인해 빡친 유저가 요르시카에게 귀떼기를 바쳐 암월의 검을 받은 후 죽여버리는 경우가 많은데, 프롬갤에서는 이를 전통이라고 부른다. 심지어 요르시카는 죽을 때 다크 소울 3에서 최강의 기적 촉매로 불리는 요르시카의 성령을 드랍하여 남성이든 여성이든, 더 나아가 사람형태든 동물이든 상관 없이 암월의 검을 얻은 후 맞아죽을 확률이 다분한데, 이를 여성 캐릭터를 죽인다는 것에만 집중하여 여혐이라고 글을 쓴 것.[6] 특히나 악질적인 경우 귀부기사의 자격조차 없다고 아예 부패의 권속이라 칭하기도 한다.[7] 다른 파벌과는 다르게 고드릭군은 고드릭 자체가 딱히 옹호할 행보가 없어서 아예 대놓고 뻔뻔하게 왜곡하는 것이 특징이다. 부하를 자기 몸처럼 아낀다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