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목록/급수별/미배정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한자/목록/급수별

한자 목록 문서
[ 펼치기 · 접기 ]
부수별 목록음(音)별 목록획수별 목록
한국어문회 급수별 목록
초급중급
8급7급II7급6급II6급5급II5급4급II4급3급II3급
고급특급
2급1급특급II특급
부록
상대자상대어약자
※주의※ 초급, 중급, 고급, 특급은 한국어문회에서 분류한 것은 아니다.


1. 개요
2. 목록
2.1. ㄱ
2.2. ㄴ
2.3. ㄷ
2.4. ㄹ
2.5. ㅁ
2.6. ㅂ
2.7. ㅅ
2.8. ㅇ
2.9. ㅈ
2.10. ㅊ
2.11. ㅋ
2.12. ㅌ
2.13. ㅍ
2.14. ㅎ
2.15. 음 불명


1. 개요[편집]


한국어문회에 배정, 출제되지 않은 한자들의 목록이다.

  • 어문회 한검에서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상용하는 한자어를 구성하는 한자가 전부 출제된 것 같지만, 의의로 어문회 미배정 한자 중에서도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단어를 이루는 것이 꽤 있다.
    [ 예시 펼치기 · 접기 ]
    시간, 약, 자, 형, 창, 구산, 반암, 병, 보차, 치염, 식치아, 지벌레, 연, 발, 어, 곤, 즉, 시, 창, 요, 건염, 송매, 미, 금, 천석고, 빈자, 동운동 등등.

  • 일부 한문에도 어문회 미배정 한자가 들어간다. 예를 들어 이백이 지은 한시 '산중문답(山中問答)'의 세 번째 구절 '도화유수요연법(桃花流水窅然去)'의 움펑눈/한적할 요(), 천자문의 '여라독특(驢騾犢特)'에 쓰인 노새 라(), 사자성어 '줄탁동기(啐啄同機)'에 쓰인 빠는 소리 줄/맛볼 쵀(), '천석고황(泉石膏肓)'에 쓰인 명치끝 황() 등이 있다.

  • 어문회에 출제되지 않았지만, 일본어나 중국어에서는 심심찮게 쓰이는 한자, 일본의 한자검정시험인 칸켄에서는 출제되는 한자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서 불깐 양 갈(), 굼닐 동(), 담 병(), 찔 국(), 아이 다툴 파(), 삼갈 진()[1] 등이 있다.

  • 일부 부수들도 미배정 한자에 해당하는데, 예를 들어서 피리 약()이 있다.

  • 대한검정회나 한국한자실력평가원(구 진흥회) 사범에서 출제되는 한자 중 어문회 미배정 한자가 일부 있다.

2. 목록[편집]



2.1. ㄱ[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자/목록/급수별/미배정/ㄱ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자/목록/급수별/미배정/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 ㄷ[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자/목록/급수별/미배정/ㄷ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4. ㄹ[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자/목록/급수별/미배정/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5. ㅁ[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자/목록/급수별/미배정/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6. ㅂ[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자/목록/급수별/미배정/ㅂ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7. ㅅ[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자/목록/급수별/미배정/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8. ㅇ[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자/목록/급수별/미배정/ㅇ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9. ㅈ[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자/목록/급수별/미배정/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10. ㅊ[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자/목록/급수별/미배정/ㅊ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11. ㅋ[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자/목록/급수별/미배정/ㅋ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12. 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자/목록/급수별/미배정/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13. ㅍ[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자/목록/급수별/미배정/ㅍ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14. ㅎ[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자/목록/급수별/미배정/ㅎ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15. 음 불명[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자/목록/급수별/미배정/음 불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7:20:33에 나무위키 한자/목록/급수별/미배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흔히 알려진 '히메'가 이 한자를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