𨶠

덤프버전 :

𨶠}}}문지방 얼, 성씨 왁
부수
나머지 획수
, 11획
총 획수
19획
미배정
미배정
-
}}}
일본어 음독
ゲツ
일본어 훈독
-
-
}}}
표준 중국어
niè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기타
4.1. 유의자
4.2. 모양이 비슷한 한자
5. 여담




1. 개요[편집]


𨶠은 '문지방 얼' 또는 '성씨 왁'이라는 한자로, '문지방' 또는 성씨의 일종인 '왁씨(𨶠氏)'를 뜻한다.


2. 상세[편집]


유니코드에는 U+28DA0에 배당되어 있으며, (문 문)에 (새 조)가 합쳐진 한자이다. 창힐수입법으로는 門鳥로 입력한다.

출전은 강희자전 1341쪽으로, 설명은 이러하다.

【편해】 어와 열의 반절로, 음은 서자 얼.【자휘보】 문지방.

(【篇海】 魚列切,音孽。【字彙補】 門𨶠也。)


벽자 중 하나로, '문지방 얼'로서의 사용례는 없다시피 하며, 성씨 왁으로는 청장관전서에 사람 성씨로 사용되었다는 일례가 기록되어 있다. 조선시대 광주의 한 집안에서 성씨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청장관전서 이후 성씨 집계 당시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단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 왁(성씨): 조선시대 청장관전서에 광주에서 살았던 어느 집안의 성씨가 "왁"으로, 이 한자를 사용하였다고 전해진다.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4. 기타[편집]




4.1. 유의자[편집]


  • (문지방 곤)
  • 𠢷(문지방 곤)
  • 𣕋(문지방 설)
  • (문지방 얼)
  • (문지방 역)
  • 𨳺(문지방 절)
  • (문지방 질)
  • (문지방 탄)
  • /(문지방 한)
  • 𨴎(문지방 혁)


4.2.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문지방 얼)
  • (문지방 역)
  • 𨳺(문지방 절)
  • (문지방 탄)
  • (문지방 한)
  • 𨴎(문지방 혁)
  • 𨶇(성씨 오, 성씨 왁)


5.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9 04:45:32에 나무위키 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