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ᆢ, ㅣㆍ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에 대한 내용은 느낌표 문서
느낌표번 문단을
느낌표# 부분을
, 현대 한글 첫 번째 모음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s-번 문단을
ㅏ# 부분을
# 부분을
, 문장 부호에 대한 내용은 말줄임표 문서
말줄임표번 문단을
#s-번 문단을
말줄임표#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표제어를 'ᆝ'로 하기(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옛한글 자모
기본 자모
· · ·
중국어를 표기하기 위한 자모
ᄼ · ᄾ · ᅎ · ᅐ · ᅔ · ᅕ
겹자모
초성
각자병서
· · ᄽ · ᄿ · ᅏ · ᅑ · · ·
합용병서
ㅲ · ᄠ · ㅄ · ㅶ · ᄩ · ㅺ · ㅼ · ㅽ · ㅾ · ㅴ · ㅵ
연서
· ㆄ · ㅸ · ㅹ · ㅱ
중성
· · (ᆖ) · (ᆢ) ·
종성
· ·
기타
한글 초성 채움 문자
※ 문서가 없는 옛한글 자모는 옛한글 자모 문서 참고.
※ 일부 기기에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음.

한글 자모


1. 개요
2. 역사
3. 여담


1. 개요[편집]


ᆝ(ᆢ)

ᆝ(이아래아 혹은 아래야, U+119D) 또는 ᆢ(쌍아래아, U+11A2)는 아래아에 [j]가 붙은 모음이다. 아래아가 대개 오늘날 //[ʌ]와 유사했다고 추측되기에 지금의 //와 유사하리라고 여겨진다.


2. 역사[편집]


ㆍㅡ起ㅣ聲,於國語無用。兒童之言, 邊野之語, 或有之, 當合二字而用, 如ᄀᆝᄀᆜ之類, 其先縱後橫, 與他不同。

'ㆍ'와 'ㅡ'가 'ㅣ'소리에서 일어난 소리는 우리 나라말에서 쓰임이 없고, 어린아이의 말이나 시골 말에 간혹 있기도 하는데, 마땅히 두 글자를 어울려 쓸 것이니 'ᄀᆝ'나 'ᄀᆜ'와 같이 세로로 된 글자를 먼저 쓰고 가로로 된 글자를 나중에 쓴 글자는 다른 글자(가로로 된 글자를 먼저 쓰고, 세로로 된 글자를 나중에 쓴 글자)와 다르다.

《훈민정음》 합자해(合字解)

훈민정음》에서는 와 함께 방언과 아이들이 내는 소리를 표기하기 위해 아래아를 붙인 ᆝ(이아래아)로 처음 소개되었다.

다른 j계 상향 이중 모음은 ㆍ을 두 번 찍은 ㅛ, ㅑ, ㅠ, ㅕ이면서 아래아 앞에 j가 오는 상향 이중 모음에는 곧이곧대로 ᆝ를 쓰는 게 다소 자연스럽지 않기는 하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그리고 오늘날까지도) 이 발음이 중앙어에 없었기에 정식으로 재출의 원리를 적용하지 않고 '이런 것도 있더라' 정도로 언급만 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등장 위치도 중성해가 아니라 합자해인 것이 의미심장하다.

파일:훈민정음운해1.png
그래서 1750년 신경준은 《훈민정음 운해》(訓民正音韻解)에서 j계 상향 이중 모음에 적용되는 재출(再出)의 원리(을 두 번 찍는 원리)에 맞게 ᆢ를 소개했다(16b).[1] 이 책에는 ᆢ에 ㅣ가 결합한 ᆢㅣ도 나온다.[2]

조선 시대를 거치면서 이 발음은 대체로 'ㅕ'로 합류한 것으로 보인다. 모음조화에서 'ㅕ'는 'ㅣ+ㅓ'이므로 음성모음의 규칙을 따라야 할 텐데도 양성모음의 특징을 띨 때가 간혹 있는데, 이것이 'ㅕ'로 합류한 'ᆢ'의 흔적으로 보인다(김현 2015).[3]

오늘날에는 제주어 표기에 사용되며, 제주특별자치도 고시인 《제주어 표기법》에서도 이 표기를 사용하고 있다. 다만 제주어의 는 기원상으로는 조선 중기의 에서 온 것이 맞으나 오늘날 제주어에서의 음가는 15세기 추정음 [ʌ]가 아니라 원순 저모음/원순화한 [ɒ]/[ɔ]라는 것에 유의할 것.


3. 여담[편집]


천지인 자판에서 ㆍ를 두 번 눌러 ᆢ를 입력할 수 있다. 다만 앱 제조사에 따라 쌍아래아가 아닌 점 두 개가 있는 다른 문자가 입력되는 경우도 있는데 Gboard는 :(전각 쌍점)을 출력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6 21:44:57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편 위 이미지에서도 보듯 이 문헌에 ᆜ(ᆖ)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 20세기 초 지석영, 주시경 등의 국어학자들은 아예 《훈민정음》에 ᆜ가 있다는 사실조차도 모르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그나마 다른 방식으로 표기로라도 명맥이 이어진 ᆝ와는 달리 ᆜ는 중간에 완전히 잊혀진 시기가 있었던 것이다.[2] ᆢㅣ는 유니코드 옛한글/자모에 실려있지 않다.[3] 김현(2015). 中世 國語 ‘ㅕ’의 音韻論. 《어문연구》(語文硏究), 43(4), 99-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