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지(성씨)

덤프버전 :

일본어
(うぢ

1. 개요
2. 상세
3. 우지의 등급(다이카 개신 이전)
4. 고대 이후의 쓰임
5. 창작물



1. 개요[편집]


고대 일본에서 널리 쓰였던 성(). 고대의 문헌에서는 주로 씨()라고 쓴다. 묘지(苗字)와 구분하여 혼세(本姓, 본성)라고도 한다.


2. 상세[편집]


오늘날 일본의 성씨는 묘지(苗字)만 남아있으며, 우지는 묘지와 아주 다르다. 간단히 말해서 천황이나 종실 및 그에 준하는 다른 나라 종실이 내려준 성만 우지라고 부른다. 우지 가운데 타타라(多多良)는 천황이 아닌 쇼토쿠 태자가 하사한 우지라는 전승이 있고, 일본서기에 따르면 위덕왕관산성 전투에서 뛰어난 활솜씨로 자신을 살린 츠쿠시노쿠니노미야츠코((つく(しノ(くにノ(みやつこ)에게 쿠라지노키미((くら(じノ(きみ)를 내려주었다는데 백제왕에게 받은 우지도 인정해주는 걸로 추측된다.

우지는 카바네(姓)[1]와 더불어 고대/중세 일본의 씨성제를 이루는 핵심요소이다. 신적강하도 바로 종친에게 우지를 하사해서 이루어지는 것이고[2] 종친과 노비를 제외한 양인(良人) 모두가[3] 율령제 성립 이후에는 우지를 가지게 되었다. 그래서 헤이안 시대 초만 해도 우지는 일본에서 보편적인 성씨였다. 우지가 묘지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 성씨 뒤에 격조사 노()가 들어간다. 그래서 고대 인물 가운데 성씨가 후지와라, 미나모토, 타이라, 타치바나인 사람들은 성씨 뒤에 '노'가 들어간다. 어떻게 보면 유럽 귀족이 성 앞에 de나 von을 붙이는 것과 비슷하다.[4] 소가 우마코(((がノ (うま(), 카키노모토 히토마로(柿本(かきのもとノ(ひと((), 야마베 아카히토((やま(べノ(あか(ひと), 오토모 야카모치((おほ(ともノ(やか(もち), 오노 타카무라(((のノ(たかむら), 오시코치 미츠네((おほし河內(かふちノ((つね), 타치바나 모로에((たちばなノ (もろ(), 츠라유키((きノ(つら(ゆき), 후지와라 미치나가((ふぢ(はらノ (みち(なが), 키요하라 나기코((きよ(はらノ(なぎ(), 타이라 키요모리((たひらノ (きよ(もり), 미나모토 요리토모((みなもとノ (より(とも)의 성 뒤에 노(の)가 붙는 것도 이 이유이다.[5] 헤이안 시대 이후의 인물인 아시카가 요시미쓰,[6] 오다 노부나가,[7] 고노에 사키히사,[8] 도쿠가와 이에야스[9]의 성(姓) 뒤에 노()가 붙지 않는 것도 그것이 우지가 아닌 묘지이기 때문이다.
  • 오늘날 우리가 묘지라 부르는 일본의 성씨와 달리 한자문화권의 성씨처럼 모계 성 따르기가 원칙상 허용되지 않는다. 헤이안시대에 칙찬(勅撰)한 씨족지(氏族志)인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錄)에 따르면 모계 성 따르기를 사칭이라고 적시하였다.[10]일본후기 연력(延曆) 24년 11월 19일 갑신(서기 805년 12월 13일)자 기사에서 키요무라노스쿠네 신케이((きよ(むらノ宿(すく(晉卿(シンケイ)의[11] 외손자들이 고아가 되어 외조부 밑에서 자라며 양자까지 되어서 외가의 성을 쓰게 되었으나 간무 덴노에게 이것을 밝히고 하루시나노스쿠네((はる(しなノ宿(すく()를 받잡았는데 이 기사는 우지를 모계로 쓰는 것은 우지를 내려준 일본 황실무람없는 짓임을 시사한다.[12]
  • 묘지와 달리 함부로 바꿀 수 없었다. 우지를 바꾸려면 천황이나 종실이 새로운 우지를 하사하거나 자신이 원래 그 우지가 맞다는 근거를 대야 했다.
  • 종실에서 우지를 하사할 때는 대체로 카바네도 같이 하사해서 우지와 카바네는 붙여서 쓴다. 이때 격조사 노(の)는 우지와 카바네 사이에 붙는다. 가령, 후지와라, 미나모토, 타이라, 타치바나는 카바네가 아소미(朝臣)라서[13] 우지와 카바네를 같이 쓰면 후지와라노아소미(藤原朝臣), 미나모토노아소미(源朝臣), 타이라노아소미(平朝臣), 타치바나노아소미(橘朝臣)가 되며 여기에 이름을 그냥 붙여 쓴다. 콘((コン)이나 아구리((あぐり)나 도리(刀利(トリ)나 사자나미(樂浪(さざなみ)처럼 카바네가 없는 우지도 있다.


3. 우지의 등급(다이카 개신 이전)[편집]


당연한 말이지만 우지라고 다 똑같은 우지가 아니었으며, 그 씨족의 위세에 따라 등급이 나뉘었다. 이 문단에서는 지방 연합체 국가로서의 성격이 남아있던 다이카 개신 이전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 오미(): 대표적으로 소가씨족이 오미에 속하며, 카츠라기씨((かつら((うぢ)[14], 헤구리씨(平群(へぐり(うぢ), 코세씨((((うぢ), 카스가씨(春日(かすが(うぢ) 등이 속했다. 야마토 지방의 지명을 씨명으로 삼은 것으로 대부분 그 씨족이 전통적으로 지배하는 지명이었다. 말하자면 전통적인 야마토 호족으로 당대 일본의 귀족들 중 최고의 위세를 자랑했다. 쉽게 생각해서 전성기 때의 겐페이토키츠 가문들을 생각하면 편하다.

  • 무라지(): 오오토모씨((おほ(とも(うぢ), 모노노베씨(物部(もののべ(うぢ), 나카토미씨((なか(とみ(うぢ), 이미베씨((いみ((うぢ), 하지씨(土師(はにし(うぢ) 등이 이에 속한다. 오미 씨족들이 대왕가와 연합한 야마토 지역 호족들이었다면, 무라지 씨족은 대부분 야마토 내에서도 대왕가의 가신으로서 정권에서의 관위를 맡은 호족들이었다. 이론상으로 오미보다 낮지만 모노노베씨의 경우 불교를 두고 소가씨와 싸우기도 하는 등 반드시 아래라고 보긴 어렵다. 오토모 씨의 경우에도 6세기 신라의 전성기 당시 나라가 혼란해졌을 때 모노노베씨와 함께 무력을 배경으로 반란을 진압하는 등, 힘을 키우다가 가야신라에 항복하면서 세력이 급속도로 후퇴, 이후 한반도 도래인을 지배하는 소가 씨족이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다.

  • 토모노 미야츠코(伴造): 하는 일은 무라지와 비슷했지만 주로 특정한 직역(職役)을 맡은 조직을 거느리고 지휘하는 씨족이다. 유게씨((((うぢ), 야츠메씨(矢集(やつめ(うぢ), 하토리베씨(服部(はたおりべ(うぢ), 이누카이씨((いぬ(かひ(うぢ), 츠키시네씨(舂米(つきしね(うぢ), 시토리씨(倭文(しとり(うぢ) 등의 우지나 하타씨((はた(うぢ), 야마토노아야씨(東漢(やまとのあや(うぢ), 카와치노아야씨(西漢(かはちのあや(うぢ), 카와치노후미씨(西文(かはちのふみ(うぢ) 등 주로 도래인들에게 주어졌다. 무라치, 미야츠코(), 아타이(), 키미() 등의 성을 칭했다.

  • 모모아마리야소노토모(百八十部): 180부란 이름답게 지방 180 부에 있는 토모노미야츠코(伴造)

  • 쿠니노 미야츠코(國造): 지방 호족의 하나로, 오치씨(越智(をち(うぢ)가 유명하다. 대부분 키미(), 아타이(直)를 성을 칭했지만 그중에서 오미(臣)를 칭하는 경우도 있었다.

  • 아가타노누시(縣主): 쿠니노 미야츠코나 토모노 미야츠코보다도 오래된, 지방 호족들 중 가장 오래되고 가장 작은 단위를 지배하는 호족들. 고훈 시대 초기인 3~4세기에 대부분 성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야마토 왕권의 행정단위이자 자연적으로 발생한 부락 단위인 현(아가타)를 지배했다. 일본서기에 진무동정 당시 동생 시키를 시키 아가타누시에 임명했다는 기사가 나올 정도다. 참고로 이런 아가타누시는 동일본보다 서일본에 더 압도적으로 많았는데, 동쪽에서 에미시를 상대하던 동일본보다 야마토 왕조의 국가 재편이 잘 먹힌 서일본에 더 많이 설치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은 율령제 반포 이후에도 존속했으며, 심지어는 현대에도 아가타노누시의 직함을 사용하는 곳이 있다.


4. 고대 이후의 쓰임[편집]


이렇게 고대 사회에서 널리 쓰이던 우지는 헤이안 시대를 지나면서 잘 쓰지 않게 되었다가 가마쿠라 시대에서는 거의 버리다시피 했다. 공가(公家)만 해도 후지와라노 다다미치가 죽고 아들들이 섭관가를 이루면서 모두 후지와라란 우지를 안 쓰게 되었으니 나머지 집안이야 말할 것도 없고 무가(武家)는 그래도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다른 무가와 달리 우지를 유지했으나 이마저도 미나모토노 사네토모가 죽고 대가 끊어지면서 무가조차 우지를 쓰지 않게 되었다. 다만 아주 버린 건 아니어서, 섭관가가 우지를 안 쓰게 된 뒤에도 후지와라노 요리츠네후지와라노 요리츠구는 여전히 우지로 불리며, 외교문서나 조칙에서는 묘지가 아니라 우지를 썼다.

외교문서의 예를 들자면 아시카가 요시미츠명나라에 보내는 국서에서 자신을 '미나모토노 요시미츠((みなもとノ(よし滿(みつ)'라고 썼다든가[15] 오닌의 난의 핵심 인물들인 야마나 소젠과 호소카와 카츠모토가 조선왕조실록에 각각 미나모토노 모치토요와 미나모토노 카츠모토로 기록된다든가 유즈야 야스히로가 조선의 문헌에서 '타치바나노 야스히로((たちばなノ(やす(ひろ)'라고 적혔다든가 징비록에서 소 요시토시가 '타이라노 요시토시((たひらノ(よし(とし)'[16]로 기록된 게 그런 까닭이다.

조칙을 예로 들자면 일본은 메이지 유신 이전까지 조서칙령을 비롯한 조정의 공문서에서는 이름을 쓸 적에는 우지와 카바네를 꼭 써야 했다. 다시 말해 천황에게 벼슬을 받으려면 벼슬에 임명한다는 선지(宣旨)에 대상자의 우지가 꼭 들어가야 했다.[17] 그래서 우지가 없는 하시바 히데요시는 처음에 타이라를 일컫다가 아무래도 구라인 게 뻔해서 고노에 사키히사양자가 되어서 후지와라를 일컬었으나 이것도 영 모양새가 안 살아서 나중에 고요제이 덴노에게 아예 도요토미노아소미((とよ(とみ朝臣(ノあそみ)라는 우지와 카바네를 받잡고 관백으로 제수되었다. 그렇기에 사실 도요토미노 히데요시라고 불러야 하지만, 아무래도 출신이 비천해서 그런지 아무도 그렇게 안 불러준다.[18] 한편 조선 말엽에 대마도에서 가바네인 아소미(朝臣)까지 적은 공문서를 보낸 적이 있는데, 조정에서는 이것이 가바네인 줄 모르고 그대로 조정의 신하라 해석하여 공문서의 하자로 인식하였다.[19]

일본에서는 우지와 카바네를 쓰는 이름실명으로 여겼기에 이것을 본명으로 삼았다. 우삼동으로 알려진 아메노모리 호슈의 실명은 후지와라노아소미 노부키요((ふぢ(はら朝臣(ノあそみ(のぶ(きよ)고 야마가타 아리토모의 실명은 미나모토노아소미 아리토모((みなもと朝臣(ノあそみ(あり(とも)고 이토 히로부미의 실명은 오치노스쿠네 히로부미(越智(をち宿禰(ノすくね(ひろ(ふみ)고[20][22] 가쓰라 다로의 실명은 오오에노아소미 키요즈미((おほ(朝臣(ノあそみ(きよ(ずみ)고 오키타 소지의 실명은 후지와라노아소미 카네요시((ふぢ(はら朝臣(ノあそみ(かね(よし)고, 세리자와 카모의 실명은 타이라노아소미 미츠모토((たひら朝臣(ノあそみ(みつ(もと)고, 야마나미 케이스케의 실명은 후지와라노아소미 토모노부((ふぢ(はら朝臣(ノあそみ(とも(のぶ)고 오쿠마 시게노부의 실명은 스가와라노아소미 시게노부((すが(はら朝臣(ノあそみ(しげ(のぶ)다. 물론 이게 진짜냐고 묻는다면 선뜻 수긍하기는 그런 게 애초에 양자였던 이토 히로부미는 둘째 치고 나머지도 본인이나 본인의 조상족보를 위조하지 않았으리란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23]

현대에는 평상시에 쓰는 경우는 없지만, 몇몇 명문가에서 가문 내 문서에 기재할 때 사용하는 경우가 간혹 있다.

5. 창작물[편집]


동방 프로젝트히에다노 아큐, 후지와라노 모코우, 모노노베노 후토, 소가노 토지코, 하타노 코코로의 성 뒤에 노가 붙는 것도 성(姓)이 묘지(苗字)가 아닌 우지(氏)이기 때문이다. 와타츠키노 요리히메와타츠키노 토요히메도 마찬가진데 이들의 경우는 실존하는 우지가 아니라 창작한 우지다.

닌자 핫토리군에서 주인공인 핫토리 칸조는 주요 인물들의 이름에 이 우지를 붙이는 경우가 있다. 예시로 켄이치 우지, 케무마키 우지 등.
[1] 덴노가 왕권 강화를 목적으로 유력 호족들에게 우지와 함께 하사하던 성으로, 집안의 유래와 씨족의 등급 등을 나타내는 역할을 했다. '카바네'라는 단어의 어원은 불분명하나, 고대 일본어 카부네(株根, '혈통의 뿌리') 혹은 카바네(, '')와 연관이 있으리라고 보는 학자들의 추측이 존재한다. 고구려 출신 인물들의 가바네는 '우카라' 혹은 '야카라'로 따로 일컬었다.[2] 다시 말해 종친에게 너는 천황과 다른 겨레로 갈라졌으니 종친도 아니고 제위 계승은 더더욱 안 된다고 선포하는 것이다.[3] 그러니까 귀족 뿐만 아니라 평민도 모두 포함한다.[4] de나 von처럼 귀족의 출신을 나타내는 조사를 귀족성씨조사(Nobiliary Particle/Prefix)라고 부른다.영문 위키백과네이버 영어사전 참고[5] 일본어 위키백과에서는 の가 한자의 발음이 아니고 우지 뒤에 붙는 격조사임을 뚜렷하게 나타내기 위해 아예 띄어 쓴다.[6] 우지는 미나모토[7] 우지는 타이라. 다만 자칭이다.[8] 우지는 후지와라.[9] 우지는 미나모토. 다만 실제로 미나모토의 후손은 아니고 자칭이다.[10] "어머니의 씨성에 붙어서 츠키모토노키미를 사칭했다".(附母氏姓槻本公.) 링크에서 084번 참고 무릅쓸 모()에는 사칭한다는 뜻도 있으며 특히 모성(冒姓)이라고 하면 성을 사칭한다는 뜻이 되니 묘지와 달리 우지는 모계 성 따르기가 안 되는 걸 알 수 있다. 이렇게 신찬성씨록에 적힌 대로 모계 성 따르기로 성을 사칭한 츠키모토노키미 이와레((つき(もとノ(きみ石村(いはれ)의 경우 손자인 나데마로(奈弖麻呂(なでまろ)·토요나리(豐成(とよなり)·토요히토(豐人(とよひと)가 연력 22년(803년)에 간무 덴노에게 사카타노스쿠네(坂田(さかたノ宿禰(すくね)라는 우지와 카바네를 받잡고 신찬성씨록에 따르면 홍인 4년(813년)에 사가 덴노가 카바네를 아소미(朝臣(あそみ)로 올려줬다. 그리고 또 나데마로의 아들들은 홍인 14년(823년)에 성을 바꿀 것을 윤허받아 미나부치노아소미((みな(ふちノ朝臣(あそみ)를 받잡았다.[11] 본명은 원진경(袁晉卿)으로 718년 또는 719년 생으로 추정되며 여남원씨(汝南袁氏)라는 얘기가 있다. 견당사를 따라 일본으로 이민을 가서 음박사(音博士)라 하여 한자음을 가르치는 일을 맡다가 당악을 연주한 공으로 승진하고 사또며 오오츠카사노카미(大學頭(おほつかさノかみ)와 호오시마로오도노카미(玄蕃頭(ハウシまらひとノかみ)를 지내고 간무 덴노에게 키요무라노스쿠네((きよ(むらノ宿(すく(, 으로도 쓴다.)를 받잡았다.[12] 아직도 모계를 역성혁명이라며 거부하는 일본 황실이 내려준 성이 모계로 전해지면 일본 황실의 체통이 뭐가 될까?[13] '아손(あそん)'이라고도 한다.[14] 다른 가문과 마찬가지로 타케우치노 스쿠네의 후손이며, 전통적으로 카츠라기의 지배 씨족이다. 특이한 점은 카츠라기가 기기신화의 타카마가하라의 배경으로 지목된기도 한다는 점인데, 주로 카츠라기씨가 국혼(國婚)이 많았다는 점을 증거로 든다.[15] 아시카가미나모토에서 비롯한 가문이다.[16] 왜냐하면 소씨가 타이라노아소미((たひらノ朝臣(あそみ)를 모성(冒姓)해서 그런 것으로 실제로 소씨는 코레무네노아소미((これ(むぬノ朝臣(あそみ)에서 비롯한 집안으로 알려졌다.[17] 상술했듯이 귀족과 평민에게 모두 내려줬으니 우지는 주민등록증처럼 공민이란 징표고 공민만이 공직을 맡을 수 있는 건 오늘날에도 상식이다.[18] 도요토미는 권력을 잡은 이후에도 본인의 출신을 아시가루라고 말하고 다녔다. 아시가루도 무사에 속하기는 했지만 말이 좋아 무사지 일반 병사와 다를 바 없었다. 그래도 체면 상하니까 최대한 높은 신분이라고 말해야 해서 구라를 친 게 고작 아시가루이니 도요토미의 출신이 얼마나 비천했는지 알 수 있다. 이렇게 도요토미가 아무튼 출신이 영 아니라는 것은 조선에도 알려졌는지 잘못 기록된 것이기는 하나 징비록에서는 도요토미가 중국인으로 일본으로 건너와 주군에 들어 출세했다는 이야기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19] 당연히 제 나라의 독특한 성씨제도를 설명도 안 하고 무턱대고 쓴 일본의 과오다. 외교란 기본적으로 쌍방 합의가 필수다. 그리고 여태까지 일본은 조선에 보내는 외교문서에서 가바네는 빼고 적었다.[20] 양자지만 법적으로 무사의 아들이었으니까.[21] 본래 성씨는 미즈이(水井).[22] 정확히는 그의 양조부인 이토 다케베[21]가 이토 씨의 양자로 입적이 되면서 이토 히로부미 본인도 이토 가문의 일원이 된 것이다.[23] 아마도 한국의 족보는 90%가 위조라는 주장의 근원은 경제학자로 한국사를 연구한 시카타 히로시(四方博)이고 근거는 바로 일본의 상황이지만 일본과 달리 조선이 우지를 버리고 묘지를 쓰는 상황이 온 것도 아니고 집성촌 문서를 보면 시카타 히로시의 주장은 의문이 든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
, 2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2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
, 2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4:31:01에 나무위키 우지(성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