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현대 가나 오십음도
[ 펼치기 · 접기 ]
탁점 · 요음 · 촉음 · ·
}}}


1. 개요
2. あ행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3. え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4. 발음
5. 모양
6. 한글 표기
7. 한자
7.1. 음독
8. 외래어 표기시 다른 가나와의 조합


1. 개요[편집]


히라가나
가타카나
'''{{{#!html
<span style="font-family: Hiragino Sans, Meiryo, sans-serif; font-size: 60px;">え</span>}}}'''
'''{{{#!html
<span style="font-family: Hiragino Sans, Meiryo, sans-serif; font-size: 60px;">エ</span>}}}'''

국립국어원 표기법

라틴 문자 표기
e
IPA
\[e̞\]
히라가나 자원
초서
가타카나 자원
의 방
일본어 통화표
[ruby(英語, ruby=えいご)]のエ(에이고노 에)
유니코드
U+304(A)8
일본어 모스 부호
-・---
あ행 え단 글자이다.

2. あ행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편집]


あ행의 글자들은 모음만 있는 글자들답게 글자를 작게 써서 다른 글자와 조합할 수 있다. 조합 부분은 후술.


3. え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편집]


え단의 모음은 전설 평순 중모음. 원칙적으로 위치를 따지면 한국어의 ㅐ(/ɛ/)와 ㅔ(/e/)의 중간 정도의 발음이지만 현재 한국어에서 ㅐ와 ㅔ가 구분조차 안 되며 설령 정확한 구분이 남아있다고 해도 일본어는 /ɛ/(ㅐ)발음이 없기 때문에 관계없이 エ단으로 표기된다.

え단 모음의 장음은 히라가나에서는 え를 쓰기도 하지만 주로 를 써서 표현한다. 가타카나로는 다른 모음과 마찬가지로 장음 기호 ー를 쓴다. 자세한 설명은 일본어 장음 판별법의 '기본' 부분 참고


4. 발음[편집]


현재는 한글 와 유사한 /e̞/이다.

역사적으로는 조금 복잡하다. 나라 시대 이전까지는 /e/와 /je/가 구별되었으나 가나가 정착되기 이전에 /je/로 합쳐졌다. 즉, 에도 시대 이전까지 이 글자는 /e/가 아닌 /je/였다.

파일:external/s9.postimg.org/portujape.png

1604년 포르투갈인 주앙 호드리그스(João Rodrigues)가 편찬한 일본 대문전(日本大文典;Arte da lingoa de Iapam)351쪽에서는 あ행에 알파벳으로 A. I. V[1]. Ye. Vo로 적혀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일본 엔의 현 발음이 /en/인데도 Yen으로 적는 것도 그 영향이다.

그리고 그와는 별도로 가 12~13세기 경에 순음퇴화로 /w/ 발음을 상실하면서 /je/에 합류했다. 위 사진을 보면 わ행에도 깨알같이 'ye'라고 적혀져있는 걸 볼 수 있다(..). 저 책이 쓰여진 게 1600년대니까... 조선시대에 편찬된 일본어 교과서에서도 ゑ가 '예'라고 표시된걸 볼 수 있다.

그 후 에도 시대를 거치면서 /je/ 발음이 /e/로 변하면서[2] え와 ゑ가 가리키는 발음도 /e/로 바뀌었다. 오랜 세월 동안 일본어에서 쓰였던 음인 /je/는 이제 외래어에만 쓰이는 음이 된 것이다. 그 점은 구한말 한국어의 이 어떤 모음과 붙어도 /ɕ/로 소리가 났지만 지금은 /ㅅ/가 /i, j/ 앞에 왔을 때 나는 변이음을 제외하고는[3] 외래어에만 쓰이는 발음이 된 것과 유사하다.


5. 모양[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81%88-bw.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82%A8-bw.png

가타카나는 江의 뜻에서 따왔다. 江을 エ로 읽는 경우 중에 가장 유명한 건 江戸(えど;에도)를 들 수 있다. 한자 工과 모양이 같은데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江이라는 글자의 오른쪽 부분은 실제로도 工이기 때문. 한자에서는 工의 소리를 땄다. 지금은 한국어/중국어에선 江과 工의 발음이 다르고 일본어에서만 동일하지만(こう). 뜻에서 따 왔기 때문에 工과 음으로는 상관이 없다.

히라가나 え는 衣의 음에서 따왔다. 원래 근대 이전에는 원래 e와 je 중에서 경쟁에서 승리했던 모음은 je였던 관계로 江의 초서체(𛀁)[4] 사용빈도가 훨씬 높았다. 가타카나에도 원래 e를 나타내기 위해 만들어진, 衣에서 비롯된 가타카나(ラ같이 생긴 𛀀)가 있지만 도태되어 채택되지 않았다. 그 대신 je의 가타카나인 エ가 채택되었다. 반대로 히라가나는 江의 초서체 𛀁가 경쟁에서 패배하면서 헨타이가나 취급을 받고 있다. 즉 히라가나에서는 e 가나가, 가타카나에서는 je 가나가 통합된 e를 담당하고 있다.

언뜻 보면 갈 지(之)를 흘려쓴 것처럼 생겼지만 무관하다. 진짜 之에서 딴 글자는 이다. 물론 한글 과도 무관.

6. 한글 표기[편집]


한글로는 늘 '에'라고 적는다.


7. 한자[편집]



7.1. 음독[편집]




한자

한자
특수


絵会


[5]

エイ

永泳英映栄
営詠影


예(鋭)
위(衛)

エキ

易疫駅役


익(益)
액(液)

エツ

悦閲


월(越)
알(謁)

エン

延沿宴煙鉛
演縁

炎塩艶


円怨媛援園
猿遠




8. 외래어 표기시 다른 가나와의 조합[편집]


아래 네 글자는 ェ 이외에도 ァィォ와도 결합할 수 있다.

  • ェ /we̞/: 이 경우엔 ウァ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ワ를 놔두고 굳이 쓸 필요가 없기 때문이며, 가끔 고유명사에서 예스러운 느낌을 줄 때나 사용된다.
  • ェ /βe̞/
  • ェ /ɸe̞/
  • ェ /t͡se̞/
  • ェ(グェ) /kwe̞/(/ɡwe̞/)

다음 글자들은 ェ와 작은 や행(ャュョ)과 결합할 수 있다.

  • イェ /je̞/
  • ェ(ジェ) /ɕe̞/(/ʑe̞/, /d͡ʑe̞/)
  • ェ /t͡ɕe̞/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6 23:06:33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여기서는 U의 의미로 쓰였다.[2] 에도벤의 영향으로 변했다는 설이 있다.[3] /ㅅ/는 /j/ 앞에서 [ɕ\]로 발음되며, 이때 /j/는 탈락된다. 즉 '샤'는 [ɕa\]로 발음된다.[4] 대부분의 일본어 전용 폰트에는 헨타이가나를 표기할 수 없으면서도 히라가나 je인 '𛀁'와 카타카나 본래의 e인 '𛀀'를 나타낼 수 있도록 폰트가 있다. 한국어 폰트에선 몇몇을 제외하고 대부분 안 보인다.[5] 세 한자 모두 오음이 エ이며, 한음은 絵会가 カイ, 恵가 ケイ로 [k\] 계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