ヒーローヴァーサスレイナンジョー
덤프버전 : r20230302
히어로 버서스 레이 난죠
Hero Versus Reinanjō
곡의 분위기는 그야말로 츄메이 사운드가 폭발하는 정통파 히어로 송. 와타나베 츄메이 하면 떠올리는 스타일의 집대성이라고 할 수 있는 곡이다. MV역시 잔상 효과가 가미된 반복 슬로우 모션이라던지, 레이나와 난죠가 점프하더니 난데없이 장소가 채석장으로 순간이동 한다던지, 마지막에 두 사람의 배경에서 대폭발이 일어난다던지 등 7~80년대 특촬 히어로의 오마쥬로 가득하다. 또한 MV 재생시에는 SE버전이 존재하는데, 특촬스러운 각종 효과음을 즐길 수 있으니 On으로 하고 감상해보도록 하자.
여담으로 이벤트가 시작된 2020년 8월 19일은 와타나베 츄메이의 95번째 생일이기도 했다.
2020년 8월 재화 수집 이벤트 이벤트곡으로 등장했다.
MV는 여러므로 고전 특촬물에 대한 패러디로 가득하다. 고전 특촬물에서 자주 나오는 채석장부터 시작해서 폭발연출로 마무리가 특징. 도입부에 아이돌들에게 줌인처리가 들어가는데, 센터 히카루, 2번에 레이나가 아닌 경우엔 센터는 허리, 머리순으로, 2번은 목덜미, 정수리순으로 줌인 되며, 센터 히카루, 2번에 레이나인 경우엔 히카루는 옆쪽 흉부, 목덜미순으로, 레이나는 등, 팔 순으로 줌인 되는데 이는 각 1차 SSR의상에서 히카루의 자켓마크와 머플러뱃지, 레이나의더 엠페러 레이나님 포 무장과 완장을 강조하는 연출이다.
MASTER 패턴은 400 콤보째 안팎에서 나오는 짧은 플릭 19연발 등에서 인식 복불복이 발생할 수 있다. 공교롭게도 이 구간은 레이나의 파트이기도 하다.
레거시 MASTER+ 패턴은 코러스 구간에서 왼손 슬라이드 왕복을 포함한 복합 패턴에 주의하자. 간주 부분에서 히카루의 대사 파트와 레이나의 대사 파트에서 슬라이드를 처리하는 손과 플릭을 처리하는 손이 서로 반대가 된다는 것이 특징. 또한 중간에 55번째 마디에서 왼손이 1번에 고정되고 오른손의 위치가 변하는 8비트 축연타도 인상적이다.
2020년 11월 16일 정식 MASTER+ 패턴이 추가됐다. 열혈소녀A보다 노트수가 1 많아져 28레벨 최대 노트수를 경신했으나 슬라이드 특성상 체감 물량은 열혈소녀A보다 적다. 코러스에서 변화가 생겼는데, 공통적으로 23~24마디, 67~68마디에서 > 모양 슬라이드 앞에 롱노트가 하나씩 선행하게 되고, 이에 따라 25마디와 29마디에서 앞의 탭노트 2개가 옆으로 밀려났다. 특히 1차 코러스에서는 26마디에서 슬라이드가 플릭 3연타 중 첫 번째에 붙게 됐다.
2022년 5월 1일에 サラバ、愛しき悲しみたちよ가 추가됨에 따라 28레벨 MASTER+ 최대 노트수를 내주게 됐다.
참고로 CD에 수록된 레이나 솔로와 히카루 솔로에서는 가사가 전체적으로 바뀐다. 히카루 솔로는 정의의 전사 관련된 내용으로, 레이나 솔로는 빌런쪽 대사로. 서로 번갈아가면서 기술을 쓰는 부분은 혼자서 자기 기술만 난사하는 것으로 바뀌니 솔로버전을 들어보는 것도 재미있다.
1979년에 방영한 특촬 드라마 배틀피버 J의 삽입곡 '내일의 전사들(明日の戦士たち)의 곡 일부가 이 노래와 매우 흡사하다. 작곡가는 동일인물인 와타나베 츄메이, 노래는 Mojo, 코오로기`73. 무려 40년 전의 곡과 흡사한 것이 작곡자 본인도 알고 그런 것인지 모르고 그런 것인지 알 길은 없으나, 비교해서 들어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이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17 17:21:04에 나무위키 ヒーローヴァーサスレイナンジョ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Hero Versus Reinanjō
1. 개요[편집]
지금까지 데레스테에 참가한 게스트 작곡가&작사가 중 가장 플레이어들을 놀라게 한 경악스러운 조합. 작곡의 와타나베 츄메이[2] 는 해당 문서에서 알 수 있지만 일본 애니메이션과 특촬물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레전드 중의 레전드 작곡가이며, 작사의 후지바야시 쇼코는 가면라이더 시리즈와 슈퍼 전대 시리즈에서 주옥같은 명곡의 가사를 담당했으며 애니송 쪽에서도 원피스의 We are!등 수많은 명곡을 작사한 레전드 작사가. 편곡의 오오이시 켄이치로 역시 애니송, 특촬송의 편곡에서 잔뼈가 굵은 베테랑이다. 작정하고 만든 특촬히어로송인 것이다. 아이돌마스터 음원의 레이블이 일본 콜롬비아인 덕을 톡톡히 보았다고도 할 수 있다.[3]
곡의 분위기는 그야말로 츄메이 사운드가 폭발하는 정통파 히어로 송. 와타나베 츄메이 하면 떠올리는 스타일의 집대성이라고 할 수 있는 곡이다. MV역시 잔상 효과가 가미된 반복 슬로우 모션이라던지, 레이나와 난죠가 점프하더니 난데없이 장소가 채석장으로 순간이동 한다던지, 마지막에 두 사람의 배경에서 대폭발이 일어난다던지 등 7~80년대 특촬 히어로의 오마쥬로 가득하다. 또한 MV 재생시에는 SE버전이 존재하는데, 특촬스러운 각종 효과음을 즐길 수 있으니 On으로 하고 감상해보도록 하자.
여담으로 이벤트가 시작된 2020년 8월 19일은 와타나베 츄메이의 95번째 생일이기도 했다.
2.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스타라이트 스테이지[편집]
2020년 8월 재화 수집 이벤트 이벤트곡으로 등장했다.
MV는 여러므로 고전 특촬물에 대한 패러디로 가득하다. 고전 특촬물에서 자주 나오는 채석장부터 시작해서 폭발연출로 마무리가 특징. 도입부에 아이돌들에게 줌인처리가 들어가는데, 센터 히카루, 2번에 레이나가 아닌 경우엔 센터는 허리, 머리순으로, 2번은 목덜미, 정수리순으로 줌인 되며, 센터 히카루, 2번에 레이나인 경우엔 히카루는 옆쪽 흉부, 목덜미순으로, 레이나는 등, 팔 순으로 줌인 되는데 이는 각 1차 SSR의상에서 히카루의 자켓마크와 머플러뱃지, 레이나의
MASTER 패턴은 400 콤보째 안팎에서 나오는 짧은 플릭 19연발 등에서 인식 복불복이 발생할 수 있다. 공교롭게도 이 구간은 레이나의 파트이기도 하다.
레거시 MASTER+ 패턴은 코러스 구간에서 왼손 슬라이드 왕복을 포함한 복합 패턴에 주의하자. 간주 부분에서 히카루의 대사 파트와 레이나의 대사 파트에서 슬라이드를 처리하는 손과 플릭을 처리하는 손이 서로 반대가 된다는 것이 특징. 또한 중간에 55번째 마디에서 왼손이 1번에 고정되고 오른손의 위치가 변하는 8비트 축연타도 인상적이다.
2020년 11월 16일 정식 MASTER+ 패턴이 추가됐다. 열혈소녀A보다 노트수가 1 많아져 28레벨 최대 노트수를 경신했으나 슬라이드 특성상 체감 물량은 열혈소녀A보다 적다. 코러스에서 변화가 생겼는데, 공통적으로 23~24마디, 67~68마디에서 > 모양 슬라이드 앞에 롱노트가 하나씩 선행하게 되고, 이에 따라 25마디와 29마디에서 앞의 탭노트 2개가 옆으로 밀려났다. 특히 1차 코러스에서는 26마디에서 슬라이드가 플릭 3연타 중 첫 번째에 붙게 됐다.
2022년 5월 1일에 サラバ、愛しき悲しみたちよ가 추가됨에 따라 28레벨 MASTER+ 최대 노트수를 내주게 됐다.
3. 가사[편집]
참고로 CD에 수록된 레이나 솔로와 히카루 솔로에서는 가사가 전체적으로 바뀐다. 히카루 솔로는 정의의 전사 관련된 내용으로, 레이나 솔로는 빌런쪽 대사로. 서로 번갈아가면서 기술을 쓰는 부분은 혼자서 자기 기술만 난사하는 것으로 바뀌니 솔로버전을 들어보는 것도 재미있다.
4. 여담[편집]
1979년에 방영한 특촬 드라마 배틀피버 J의 삽입곡 '내일의 전사들(明日の戦士たち)의 곡 일부가 이 노래와 매우 흡사하다. 작곡가는 동일인물인 와타나베 츄메이, 노래는 Mojo, 코오로기`73. 무려 40년 전의 곡과 흡사한 것이 작곡자 본인도 알고 그런 것인지 모르고 그런 것인지 알 길은 없으나, 비교해서 들어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이다.

[5] 데레스테 인게임판은 여기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