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분류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음가에 대해 학위논문 이상 급의 자료가 근거로 제시되기 전까지 추정 음가 3개와 사용례 1개만 제시하기(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ㅎㅎ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초성체 이모티콘에 대한 내용은 문서
2번 문단을
ㅎ#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옛한글 자모
기본 자모
· · ·
중국어를 표기하기 위한 자모
ᄼ · ᄾ · ᅎ · ᅐ · ᅔ · ᅕ
겹자모
초성
각자병서
· · ᄽ · ᄿ · ᅏ · ᅑ · · ·
합용병서
ㅲ · ᄠ · ㅄ · ㅶ · ᄩ · ㅺ · ㅼ · ㅽ · ㅾ · ㅴ · ㅵ
연서
· ㆄ · ㅸ · ㅹ · ㅱ
중성
· · (ᆖ) · (ᆢ) ·
종성
· ·
기타
한글 초성 채움 문자
※ 문서가 없는 옛한글 자모는 옛한글 자모 문서 참고.
※ 일부 기기에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음.

한글 자모



1. 개요
2. 발음
3. 사용례




1. 개요[편집]


옛 한글 자음의 하나로 명칭은 '쌍히읗'이다. , 과 마찬가지로 세조 이후부터는 사용되지 않는다.


2. 발음[편집]


추정되는 음가는 다음 3가지가 있다.

  • ㅎ의 된소리
  • ㅎ이 구개음화된 소리 [ç\] 또는 [ʝ\]
  • ㅎ의 유성음 [ɦ\][1]


3. 사용례[편집]


'불을 켜다'의 '켜다'가 중세 한국어에서는 'ᅘᅧ다'로 발음된다. 이 쌍히읗은 근대 시기에 ㅎ으로 변하고 결국 ㅋ으로 변화했지만 '불현듯'에 이 ㅎ의 영향이 남아 있다. 동남방언에서는 ‘켜다’를 ‘쓰다’라고 하는데[2], 후술할 쌍히읗이 ㅆ으로 변화한 썰물과 비슷한 경우로 보인다.

비슷하게 '치키다'의 '키'가 '켜다'처럼 'ᅘᅧ'였는데 '켜다'와 달리 '키'로 바뀐 형태가 표준이 됐다. '켜다'도 '치키다'처럼 비표준인 '키다'로 쓰는 경우가 많다.

써다도 과거 'ᅘᅧ다'로 써는데 '밀다'의 반대말로 밀물, 썰물도 여기서 왔다. 현대에는 썰물이 나간다는 동사의 의미만 남았다.

동국정운에서 갑모(匣母)/ɣ/를 나타내기 위해 썼다. 예를 들면 훈민정음 해례본에서는 'ᅘᅩᇰ'으로 나오는데 반절이 광운에서 戸公切(ㅗ+ㄱ  ᅟᅩᆼ), 집운 및 정운에서 胡公切(ㅗ+ㄱ  ᅟᅩᆼ)이기 때문이다. 기타 동국정운에서 초성이 ㆅ으로 나타나는 한자들은 대부분 ㄱ이나 ㅎ으로 흡수되었다.

월인천강지곡월인석보에서 나오는 '내ᅘᅧ다'가 '끄집어내다'의 옛말이라고 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04:06:43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대 한국어에선 이 발음을 묵음으로 간주한다. 한편 이 발음은 중세 한국어에서 ''의 유성음으로 추측하기도 했다. 자세한 건 문서 참조.[2] 현재로서는 동남방언이 심한 어르신들에게서나 간간이 들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