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망치 마

부수
나머지 획수


, 2획


총 획수


3획



미배정



미배정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


표준 중국어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설명
2.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설명[편집]


亇는 '망치 마'라는 한자이며 벽자이기도 하다. 亇는 현대 한국어한문에서 쓰이는 한자가 아니다. 한글이 만들어지기 전,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해 한자를 빌려 쓸 때 사용된 한자이다. 음은 '마'로 읽는다. 을 반으로 쪼갠 것 같은 모양이다.[1]

망치라는 뜻으로 쓰이는 것이 아니라, 땅의 이름을 나타낼 때 등등에 쓰이는 것이다. '마'라는 음절이 들어간 지명을 표기할 때 이 한자를 빌려 쓰는 것이다.

옛날 기득권층이 한글을 쓰려 하지 않고 억지로 한자를 쓰려고 '주걱'을 으로 쓰고, '치마'를 '亇'로 썼다는 이야기도 있다.[2]

이체자인 로 쓰기도 한다. 이것도 '망치 마'이다.

창힐수입법으로는 NN(弓弓)으로 입력하며, 우리나라에서 만든 한자이다 보니 강희자전에 수록되지도 않았다. 만약 수록한다면 85쪽에 수록해야 하겠다. 유니코드에서는 4E87로 배당되어 있다.


2.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갈고리 궐)
  • (마칠 료)
  • (망치 마)[3]
  • (창 모)
  • (나 여, 줄 여, 미리 예)
  • (아들 자)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08:50:58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진짜 竹의 반쪽은 個/箇의 속자이자 간체자인 个이다.[2] '赤亇'는 음으로 읽으면 원래 '치마'가 아니라 '적마'이지만 원 간섭기에 赤을 '치'로 읽는 용법이 들어왔다. 다루가치를 한자로 어떻게 쓰는지 보자. 정확히는 원나라 당시의 중국한자음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현대 중국어로도 赤은 chì라고 발음하는데 '치'에 가까운 발음이다.[3] 이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