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다를 타

부수
나머지 획수


, 3획


총 획수


5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ほか, あだ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편집]


남, 다를 타(他). '다른', '다른 것', '남'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남, 다르다



중국어
표준어

광동어
taa1
객가어
thâ
민동어

민남어
tho[文] / thaⁿ[白]
오어
ta (T1)

일본어
음독

훈독
ほか

베트남어
tha

유니코드에는 U+4ED6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PD(人心木)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사람 인)과 소리를 나타내는 (어조사 야)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他의 '다르다'는 같지 않다는 뜻이 아니라 '다른 사람'과 같이 '그밖의 것'이라는 뜻이다. 이러한 뜻의 '다르다'는 '같지 않다'로 바꾸어 쓸 수 없다.

他는 현재 표준중국어에서 3인칭 대명사, 즉 '그'라는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쓰인다. 이 글자는 춘추전국시대 때부터 쓰인 글자로, 원래 무정대사로서 '다른'이라는 의미를 나타냈다. 그러다 한나라 말에서 남북조시대에 이르면 他는 '다른'에서 파생되어 '다른 사람'이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다. 당나라 초기에는 여기서 더 나아가 3인칭 대명사로서 사용되다가 완전히 정착했다.

원래 이 글자는 근대 이전에는 남녀 구분 없이 쓸 수 있는 대명사였다. 그러나 1920년에 중국의 언어학자 류반농(劉半農)이 '教我如何不想(내가 어찌 그녀를 생각하지 않을 수 있는가)'라는 시를 발표하면서, 여성 3인칭 대명사로서의 她를 새로 만들어 널리 퍼뜨렸다. 그 이후 他는 주로 남성을, 她는 여성을 나타내는 데 쓰여 용법이 분리되었다. 이런 양상은 한국어의 '그'와 '그녀'에서도 똑같이 나타나며, 양국 모두 서양권에서의 3인칭 구별(he/she)을 모방한 것이다. 여기에 중국의 경우 한술 더 떠서, 남성(他), 여성(她), 사물(它), 동물(牠), 신적 존재(祂)를 모두 구별해서 표현한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 아시타비()[1] :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과 같은 말.
  • 자타공인()
  • 타산지석(他)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4. 유의자[편집]


  • (다를 별)
  • (다를 타)


5. 상대자[편집]


  • (몸 기)
  • (스스로 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𥝀[⿰禹也](뱀 사)
  • (불똥 사/타)
  • (긴뱀 사)[2]
  • 𤜣[⿰犭也](이리 시, 뱀 사)
  • (짧은창 시)
  • (음역자 야)
  • (흙탕물 야)
  • /𥃸(거듭할 이)
  • 𤖪[⿰片也](국 이)
  • (기장술 이)
  • (나무이름 이, 쪼갤 치)
  • /𧿇[⿰𧾷也](늦출 이)
  • (옷선 이)
  • (옮길 이)[3]
  • (자랑할 이, 방탕할 탄)
  • (찢을 이/치)[4]
  • 𤕮[⿰爿也](횃대 이)[5]
  • (어머니 자/저)
  • (아가씨 저)
  • (땅 지)
  • (못 지)
  • 𩚉[⿰𩙿也](엿 지)
  • 𦧇(핥을 지)[6]
  • (함지 지)
  • (쇠고삐 진)[7]
  • (달릴 치)
  • (드러날 치)
  • (비탈 치, 허물어질 타/시, 경사질 이)
  • 𦏸(제비나는모양 치)
  • (끌 타)[8]
  • 𩵔[⿰魚也](문절망둑 타)
  • (뿔없는소 타)
  • (편안하게걸을 타)
  • (속일 혜/나)
  • 𡖐[⿰多也](다)
  • 𬺼[⿰丁也]
  • 𬼨[⿰名也]
  • 𬼭[⿰亨也]
  • 𬼩[⿰幷也]
  • 𬼮[⿰⿱田廾也]
  • 𬼰[⿰底也]
  • 𬾍[⿰企也]
  • 𭆰[⿰⿳⺕冖又也]
  • 𭅤[⿰卑也]
  • 𬽓[⿰亭也]
  • 𭀍[⿰儞也]
  • 𪨥[⿰山也]
  • 𭕗[⿰尼也]
  • 𭇠[⿰吉也]
  • 𭕟[⿰尾也]
  • 𭔳[⿰㝵也]
  • 𭘬[⿰帝也]
  • 𭔞[⿰寧也]
  • 𭰿[⿰波也]
  • 𭞱[⿰惹也]
  • 𭢽[⿰摩也]
  • 𮏡[⿰苾也]
  • 𮟉[⿰達也]
  • 𥐨[⿰石也]
  • 𤱡[⿰⿱龴田也]
  • 𭻠[⿰畢也]
  • 𦍔[⿰羊也]
  • 𫂴[⿰米也]
  • 𮋭[⿰耳也]
  • 𮌊[⿰肉也]
  • 𨤤[⿰里也]
  • 𮜮[⿰身也]
  • 𮮶[⿰鼻也]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 𧦭[⿰言他](자랑할 이, 방탕할 탄)[9]
  • (갖출 타)
  • (그분 탄)
  • 𫴞[⿰寧他]
  • 𢫌[⿰扌他]
  • 𭰃[⿰氵他]
  • 𭩬[⿰木他]
  • 𦭟[⿱艹他]
  • 𥅂[⿰目他]
  • 𤵩[⿸疒他]
  • 𰨢[⿰禾他]
  • 𱲬[⿱罒他]
  • 𮕴[⿰衤他]
  • 𥿞[⿰糸他]
  • 𮅅[⿱𥫗他]
  • 𱄕[⿰馬他]
  • 𱌝[⿰齒他]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09:17:21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文] 문독[白] 백독[1] 유래가 불분명하나 2020년 올해의 사자성어에 채택되었다.[2] (긴뱀 사)의 속자[3] (옮길 이)의 속자[4] (찢을 이/치)의 동자[5] (횃대 이)의 동자[6] (핥을 지)의 본자[7] (쇠고삐 진)의 동자[8] (끌 타)의 동자[9] (자랑할 이, 방탕할 탄)의 속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