家
(♥ 0)
1. 개요[편집]
家는 '집 가'라는 한자로, '집', '가족(家族)', '문벌' 등을 뜻한다.
2. 상세[편집]
유니코드에는 U+5BB6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JMSO(十一尸人)로 입력한다.
설문해자에서는 宀의 뜻을 취하고 豭(수퇘지 가)의 생략형인 豕의 소리를 취한 형성자라고 풀이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발견된 고문자(古文字) 중에 宀+豭의 형태를 가진 글자를 찾아 보기는 어렵다. 家랑 豭가 중고음은 물론 상고음도 동일했을 거라고 추정되기는 한다.
宀(집 면)와 豕(돼지 시)가 합쳐진 회의자다. 흔히 이것을 집에서 돝을 키우는 모습이라 하는데 고대에 개도 아니고 돝을 우리도 아닌 집에서 키운다고? 돝우리를 본뜬 圂(뒷간 혼)도 버젓이 있는데?
豕(시)도 마찬가지로 희생으로 삼는 일이 많았다. 집의 기초를 세울 때도 犮(발)이나 豖(축)을 사용했다. 家를 돼지 집이라고 풀이하는 것은 통속적인 해석이다. 옛날에는 개 희생의 형상을 덧붙인 글자였다. 능묘에도 이것을 사용했으므로, 그것을 冢(총, 무덤)이라고 했다.
『한자 - 기원과 그 배경 - 』, 시라카와 시즈카(白川靜) 지음, 심경호 옮김, 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2017, 74p.
시라카와 시즈카는 인용문처럼 家의 형상을 집에서 돼지를 키운 모습이라는 주장을 통속적인 주장이라며 집터에 묻은 희생을 본뜬 거라고 주장했다.
傢(가구 가)의 간체자로도 쓰인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 -가(-家)
- 가가(假家), 각본가(脚本家), 건축가(建築家), 국가(國家) 만화가(漫畫家), 미술가(美術家), 미식가(美食家), 사업가(事業家), 사진가(寫眞家), 성악가(聲樂家), 소설가(小說家), 예언가(豫言家), 예술가(藝術家), 음악가(音樂家), 자본가(資本家), 작가(作家), 작곡가(作曲家), 작사가(作詞家), 전문가(專門家), 정치가(政治家), 조각가(彫刻家), 평론가(評論家)
- 어떤 가문에 속해 있음을 뜻하기도 한다. 나아가 성씨를 지칭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엄밀히는 家가 아닌 哥로 써야 한다. 즉 '金家네'는 엄밀히 말하면 잘못된 용법이다.
- 가계(家計/家系)
- 가구(家具/家口)
- 가난(家難)[1] - 집안의 재난
- 가내수공업(家內手工業)
- 가묘(家廟)
- 가문(家門)
- 가부장제(家父長制)
- 가사노동(家事勞動)
- 가장(家長)
- 가족(家族)
- 가전(家電/家傳)
- 가정(家庭)
- 가정부(家政婦)
- 가택(家宅)
- 가풍(家風)
- 가축(家畜)
- 가출(家出)
- 국가(國家)
- 대가(大家)
- 도가(道家)
- 분가(分家)
- 생가(生家)
- 유가(儒家)
- 자가(自家)
- 종가(宗家)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 에도 막부 역대 쇼군의 통자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 가례혹문(家禮或問)
- 가족오락관(家族娛樂館)
- 농가집성(農家集成)
- 빈대가족 시리즈(貧垈家族)
- 스위트홈: 스위트홈의 중국어 제목이 '가'이다.
- 우리家: 김호중의 음반
- 家內手工業 (가내수공업)
- 屍家族-疆屍先生續集
- 素晴らしき国家の築き方(훌륭한 국가를 만드는 방법)
- 家政婦のブキミ(가정부 부키미)
- そんな家族なら捨てちゃえば?(그런 가족이라면 버리는 게 어때?)
3.6.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 閣(집 각)
- 館(집 관)
- 宮(집 궁)
- 堂(집 당)
- 舍(집 사)
- 室(집 실)
- 屋(집 옥)
- 宇(집 우)
- 院(집 원)
- 齋(재계할/집 재)
- 邸(집 저)
- 宅(집 택)
- 軒(집 헌)
- 戶(집 호)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𦊽[⿱罒豕](덮치기 몽)
- 㒸(따를 수)
- 𩭐[⿱髟豕](상투를튼머리 시)
- 䆥(구멍 천)
- 冢(클 총)
- 𩫕[⿱高豕](멧돼지 호)
- 豪(호걸 호)
- 𪔟[⿱鼓豕](가)
- 𡭷[⿱小豕](관)
- 𤛚[⿱牪豕](환)
- 𫯦[⿱大豕]
- 𰋎[⿱夂豕]
- 𪺏[⿱爫豕]
- 𫁾[⿱𥫗豕]
- 𱻌[⿱𦍌豕]
- 𬷓[⿱鳥豕]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6:16:30에 나무위키 家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文] A B 문독[白] A B 백독[1] poverty를 뜻하는 가난이 아니다. 그 '가난'은 본래 간난(艱難)으로 써야 하는데, ㄴ 받침이 탈락하면서 그리 된 것이다.[2] 架(시렁 가)의 속자[3] 類(무리 류)의 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