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

평평할 평
부수
나머지 획수
, 2획
총 획수
5획
중학교
[A]
일본어 음독
ヘイ, ビョウ
일본어 훈독
たい-ら, ひら
[A]
표준 중국어
pí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평평할 평(平). '평평하다', '고르다', '정리되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평평하다
중국어표준어píng
광동어ping4[文] / peng4[白]
객가어phìn[文] / phiàng[白]
민북어běng[文] / bia̿ng[白]
민동어bìng[文] / bàng[白]
민남어pêng[文] / piâⁿ[白]
오어bin (T3)
일본어음독ヘイ, ビョウ
훈독たい-ら, ひら, ひら-める
베트남어bình, biền

'평' 음의 한자들은 대부분 이 글자를 포함하고 있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지하철역[편집]




3.6. 창작물[편집]




3.7. 기타[편집]


  • 국평오(
  • 탕핑족/당평족()
  • 평공(平): '평발 공익'의 준말
  • 평냉(平)
  • 평백(平): '평균 백분위'의 준말
  • 평자(平), 평자책(平)
  • 평잔(平): '평균 잔액'의 준말[1]
  • 평타(平)

4. 유의자[편집]


  • (평평할 견)
  • (평평할 노)
  • (평평할 만)
  • 𣱈(평평할 민)
  • (오랑캐 이) - '오랑캐' 이외에 '평평하다'라는 뜻이 있다.
  • (평평할 척)
  • (평평할 피)


5. 상대자[편집]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반 반)
  • (가질 압)
  • (어조사 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8-14 04:14:44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A B (평평할 평)의 八 부분이 丷의 형태이다.[文] A B C D E 문독[白] A B C D E 백독[1] 신용카드 발급 조건의 일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