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씻을 세

부수
나머지 획수


, 6획


총 획수


9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セン


일본어 훈독


あら-う



-


표준 중국어


xǐ, xiǎ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편집]


洗는 '씻을 세'라는 한자로, '씻다'를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씻다·깨끗하다

세·선

중국어
표준어

광동어
sai2
객가어

민북어
sǎi
민동어
sā̤
민남어
[文] / sóe[白]
오어
xi (T2)

일본어
음독
セン
훈독
あら-う

베트남어
tẩy

유니코드에는 U+6D17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EHGU(水竹土山)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먼저 선)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사실 이 글자는 다음자(多音字)이다. 일반적으로는 齊운(sejX, 한국 한자음은 '세')으로 읽지만, 십이율 중 하나인 姑洗(고선)에서는 先운(senX, 한국 한자음은 '선')으로 읽는다. 한편 일본에서는 齊운에 해당하는 한자음(오음: サイ, 당음: セイ)을 사용하지 않고 先운에 해당하는 한자음(セン)만 살아남았다.

洒와는 동자 관계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3.6.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 (싱거울/씻을 감)
  • 𤄒[⿰氵⿱𥫗閒](씻을 간)
  • (씻을 개)
  • (씻을 민)
  • 𢱮[⿰扌⿱必皿](씻을 밀)
  • (씻을 세)
  • (씻을 쇄)
  • (씻을 식)
  • (씻을 전)
  • /(씻을 조)
  • (씻을 척)
  • (씻을 탁)
  • (씻을 탕)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대추나무 선)
  • 𧱀[⿰豕先](돼지 선)
  • (들불 선)
  • (말전할/많을 선)
  • (맨발 선)
  • (무쇠 선)
  • 𩶤[⿰魚先](물고기이름 선)
  • (뿔 선)
  • (비빌 선)
  • (아실 선)
  • (옥돌 선)
  • 𥑻[⿰石先](옥돌 선/손)
  • (죽으려하는모양 승)
  • (차가운모양 승, 성씨 선)
  • (걷는모양 신)
  • (나라이름 신, 옷날리는모양 선)
  • (나아갈 신)
  • (녹말 신)[1]
  • /𡖬[⿰多先](많을 신)
  • 𢓠[⿰彳先](오가는모양 신)
  • (음탕할 일)
  • 𩇜[⿰靑先](염탐할 정)[2]
  • 𠒛[⿰甲先]
  • 𱏯[⿰畧先]
  • 𢏡[⿰弓先]
  • 𫩱[⿰口先]
  • 𱛥[⿰山先]
  • 𫪕[⿰号先]
  • 𠸛[⿰名先]
  • 𢙝[⿰忄先]
  • 𤞓[⿰犭先]
  • 𰖅[⿰日先]
  • 𭦞[⿰早先]
  • 𬇶[⿰求先]
  • 𥙝[⿰示先]
  • 𥏌[⿰矢先]
  • 𭽧[⿰皮先]
  • 𰨥[⿰禾先]
  • 𰥅[⿰益先]
  • 𦀈[⿰糸先]
  • 𩛔[⿰𩙿先]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 (사람이름 선)
  • (솔 선)[3]
  • 𢱓[⿰扌洗]
  • 𢝚[⿰忄洗]
  • 𬈞[⿺洗心]
  • 𤀗[⿰洗呂]
  • 𱩘[⿱洗呂]
  • 𪷮[⿺洗舍]
  • 𤂩[⿰洗者]
  • 𰘁[⿰木洗]
  • 𱽽[⿱艹洗]
  • 𲃹[⿰𧾷洗]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00:09:53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文] 문독[白] 백독[1] (녹말 신)의 동자[2] (염탐할 정)의 동자[3] (솔 선)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