灼熱Beach Side Bunny

덤프버전 :

파일:external/p.eagate.573.jp/201508_sv_09.jpg
灼熱(しゃくねつBeach Side Bunny
작열Beach Side Bunny
<(╹ヮ╹)>

1. 개요
2.1. 원곡
2.1.1. 싱글 플레이
2.1.2. 더블 플레이
2.1.3. 기타
2.1.4. 아티스트 코멘트
2.2. Masayoshi Iimori Remix
2.2.1. 싱글 플레이
2.2.2. 더블 플레이
8. DANCERUSH STARDOM (STARDOM Remix)
9.1. EXTREME
9.2. ADVANCED
9.3. BASIC



1. 개요[편집]


<('ヮ')> Yo!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beatmania IIDX 18 Resort Anthem에 처음으로 수록되었다. 작곡은 DJ Mass MAD Izm*. IIDX에 투고한 그의 곡중 가장 장르가 이채로운 곡이기도 하며 RA의 휴양지 테마를 잘 묘사하였다.

DJ Mass의 첫번째 앨범 'I AM NOT A DJ'에 灼熱Beach-Side-Bunny (Extended ver.)가 수록되었다. 여기서는 하이픈 표기가 되어있어 이 표기(灼熱Beach-side-bunny)가 통용되기도 하나, 인게임에는 하이픈이 표기되지 않고, 전광판에서는 띄어쓰기가 더 들어가는 등 곡 제목이 오락가락한다.

후속작으로 灼熱 Pt.2 Long Train Running이 있다. 여기서는 灼熱과 Pt.2를 띄어쓴다.


2. beatmania IIDX[편집]



2.1. 원곡[편집]


beatmania IIDX 18 Resort Anthem 통상 엑스트라 시스템
EXTRA STAGE
ANTHEM LANDING
One More EXTRA STAGE
灼熱Beach Side Bunny

장르명
BROKEN SAMBA BREAKS
브로큰 삼바 브레익스
BPM
153
전광판 표기
SHAKUNETSU BEACH SIdE BUNNY[1][2]
beatmania IIDX 난이도 체계

비기너
노멀
하이퍼
어나더
싱글 플레이
3
296
7
564
10
1025
12
1719
더블 플레이
-
-
6
542
10
933
12
1692


18 Resort Anthem에서 엑스트라 룸 시스템이 삭제되면서 원 모어 엑스트라는 이 곡 하나뿐이었고, 이 때문인지 BGA가 꽤 성의있게 제작되었다(영상보기). 햇님 모양의 캐릭터도 인기가 높은 편인데 작열군(灼熱くん)이라고 불린다. 이모티콘으로는 <(╹ヮ╹)>[3] 이라고 표기하며, 경이로운 스크래치곡임을 과시하듯 작열군이 그려진 스크래치 스킨도 있다.

위의 자켓은 RA 당시의 원 모어 엑스트라 소환 일러스트를 잘라서 만들어졌다.


2.1.1. 싱글 플레이[편집]









SPH 영상


SPA 영상

전작 17 SIRIUS에서 큰 충격을 주었던 Red. by Full Metal Jacket보다 훨씬 어려운 스크래치를 보여주며 유저들을 경악케 했다. 이 위상은 현재도 변함이 없어서 명실공히 가장 어려운 스크래치곡 중 하나이다. 스크래치 수는 667개작열2가 등장하기 전까지 5년간 스크래치 수 1위를 유지했다.

파일:jaksc.gif

이 곡이 스크래치곡 중에서도 독보적으로 어려운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다.
① 대표적인 요소로 24분음표와 16분음표 스크래치가 섞여있는 구간이 있다(이미지의 왼쪽). 이 때문에 일반적인 감각으로 흔들면 개수가 맞지 않아 배드밀림이 일어나거나 몇 개를 놓쳐서 POOR가 발생하게 된다. 이 요소는 다음 작에서 Snake Stick이 부분적으로 계승하지만 작열 쪽이 훨씬 횟수가 많고 구간의 길이도 길며, BPM 역시 빠르다.
② 건반과 스크래치의 싱크가 맞지 않는 구간이 있다(이미지의 오른쪽). 다른 스크래치곡과 달리 스크래치와 건반이 모두 엇박자인 구간이다. 어느 한쪽이 정박이면 비교적 맞추기 쉽겠지만 이런 구조에서는 완전히 따로 놀아야 한다. 원핸드든 투핸드든 리듬감이 흐트러져 상당한 고역을 겪게 된다.
③ Red. by Full Metal Jacket와 달리 건반노트도 복잡하고 꼬여있다. 후살에서는 스크래치가 쏟아지는 와중 복합계단이 나오기도 한다.

특히 ①, ②는 후속작 작열 2보다도 더하다고 평가된다.[4] ③의 요인은 이후의 다른 스크래치곡도 하나 둘 탑재하기 시작했고 Plan 8이 상위호환 스러운 면모를 보여주기도 했지만 아직 작열이 높게 평가되는 이유가 이것이다. 비공식 난이도 상에서 개인차 부문 최상급인 S+에 랭크되어 있다. 후살도 있기 때문에 노멀 클리어도 S+이기는 하나, S+ 내의 다른 스크래치곡들은 최후반이 이 곡보다 더 답이 없는지라 노멀 게이지 S+ 내에서는 제일 쉬운 편이다.

RA 당시 이 곡이 통상해금으로 내려왔을 때 클리어레이트가 1%였다. 몇 달 후에 5%로 오르긴 했으나 여전히 최하위권의 클리어레이트를 보여주었다.

21 SPADA부터 어나더 패턴이 단위인정 싱글 개전 2스테이지에 배치되었다. 이는 매우 이례적인 것이었는데 싱글 개전에는 전작의 원모어나 이에 준하는 신곡이 최소 하나씩 들어간다는 전통이 깨짐과 동시에, 개인차를 매우 심하게 타는 스크래치곡 봉인이 처음으로 풀린 사례가 되었다. 당시에는 전작 20 tricoro의 보스곡들이 통상해금되지 않아서 그랬을 것이다 등으로 추측했지만 22 PENDUAL에서 역대 최초로 전작과 동일하게 개전이 구성되면서 다시 한 번 수록되었다. 23 copula에서도 작열이 또 수록됨으로써 사실상 의도적인 수록임이 확실시되었다.

이 때문에 스크래치에 약한 사람들은 건반 처리 실력이 아무리 출중해도 싱글 개전을 취득하기 매우 어렵게 되었다. 당시에는 이에 대한 불만이 매우 컸으나, 스크래치 처리력도 최상급 플레이어가 갖추어야 할 필수요소라는 의견이 대두되어 현재는 모두 수긍하는 모양새이다. 24 SINOBUZ에서도 또 수록되어 개전 레귤러의 지위에 올랐다.

싱글 하이퍼는 어나더에 있는 트릴 노트나, 중간 부분의 스크래치들이 모두 일반 노트로 바뀌는 부분이 생겼다. 이외에도 24비트 스크래치의 개수를 많이 줄이는 등으로 열화되었다. 여전히 개인차가 상당한 편이고, 후반부가 매우 쉬워진 편이라 첫 클리어로는 노멀 게이지가 추천된다.


2.1.2. 더블 플레이[편집]



DPA 영상

더블측의 스크래치 수는 660개로 싱글과 큰 차이 없다. 하지만 전형적인 스크래치곡 분할 패턴이기 때문에 체력적으로는 싱글에 비해 조금 더 수월하다. 또한 양쪽을 번갈아서 스크래치를 돌리기 때문에 싱글과 달리 배드날림이 나더라도 스크래치를 교차하면서 자동으로 배드말림 탈출이 되기 때문에 이런 점에서도 싱글보다 낫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싱글의 스크래치 박자를 꿰고 있다면 여기서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5] 싱글과 비교해서 어려운 부분은 역시 스크래치와 건반노트가 엄청나게 떨어져 있기 때문에 시야가 좁으면 처리하기 힘들다. 또한 제아무리 스크래치 처리에 자신이 있더라도 본 곡은 스크래치가 교차될때 24비트가 섞인 스크난사로 끝나거나 시작하는 구간이 있기 때문에 스크래치 사이드 교차가 느리거나 익숙하지 않은 플레이어들도 반대쪽 스크래치 난사에 진입할때 게이지를 많이 까먹을 수 있다.
또한 싱글의 후살이 16박 난타인 것에 비해 더블 어나더의 후살은 트릴형태로 바뀌었다. 이 부분에서 개인차가 갈리기는 하지만 여기까지 하드게이지로 올 정도라면 클리어에 지장을 줄 정도로 차이나지는 않는다는 것이 중론이다. 비공식 난이도(신서열표)로는 12.4이며, DP 스크래치곡 특성상 싱글 어나더가 개전에 수록될 정도로 극악의 곡인 것에 비해 DPA 패턴은 한 수 아래급으로 취급되지만 썩어도 준치라고 여전히 DP 스크래치곡 중에서는 작열 2 바로 밑의 상위권 난이도이다.

싱글 어나더가 SPADA부터 스크래치 처리력을 시험하는 포지션으로 개전에 고정으로 수록된 것에 비해 더블 단위인정은 10단에 BLACK.by X-Cross Fade真 地獄超特急 -HELL or HELL- 정도가 수록되기는 했지만 중전 이상으로는 Dynamite 정도를 제외하면 스크래치곡이 수록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오히려 스크래치가 하나도 없는 天空の夜明け나 몇개 안 나오는 ピアノ協奏曲第1番 "蠍火" 등 지력만을 시험하는 채보 정도가 고정적으로 수록되어 싱글 어나더와 달리 DP 단위인정에는 수록된 적이 없었다가 PC판이긴 하지만 INFINITAS DP 중전 3스테이지에 배치되었다.

더블 하이퍼 패턴은 건반이 그렇게 어렵지도 않고, 스크래치 밀도도 낮은 편에 속하기에 스크래치에 비교적 자신있는 사람들은 이 곡으로 10레벨에 입문하기도 한다. 패턴의 난이도 자체도 무난하여 비공식 난이도는 9.6을 책정받았다.


2.1.3. 기타[편집]


  • 2011년 시작된 코나미 아케이드 챔피언쉽 IIDX 부문에서 자주 선곡되어 여러 플레이어들의 희비를 갈랐다. 개인차곡이라는 특성 때문에 중요하게 작용한다. MADOKA가 KAC 2011에서 처음 선곡하였으나 오히려 독이 되어 DOLCE.에게 우승을 빼앗겼다. KAC 2012에서는 작년에 DOLCE.에게 통한의 패배를 당한 MADOKA가 다시 이 곡을 선택하여 우승을 하며 복수에 성공했다. 그리고 그 다음 해 KAC 2013에서는 DOLCE.가 이 곡으로 우승을 탈환했다. The 4th KAC에서도 선곡되어 스크래치 특화 플레이어 TOKI가 이 곡과 Black.by X-Cross Fade에서 타 진출자들과의 압도적인 점수차를 내며 무난히 우승에 성공. The 5th KAC, The 6th KAC에서는 선곡 되지 않은 대신 후속곡 灼熱Pt.2 Long Train Running가 명맥을 이어나가고 있다.

  • 손배치가 포함된 영상 (플레이어는 DOLCE.)
  • 0.5배속 영상
  • 싱글 어나더 핸드클랩 공략. 작열의 초월적인 난이도 때문에 스크래치에 익숙하지 않던 고수들 사이에서는 그냥 스크래치를 외워서 깨는게 더 수월하다는 말이 돌았다. 이 영상은 이런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들 중 하나.
  • 이 곡 때문인지는 몰라도 차기작 19 Lincle에서 스크래치 입력 각도 요구값이 완화되었다. 이는 손목스크가 유행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2.1.4. 아티스트 코멘트[편집]


● Sound /DJ Mass MAD Izm*
처음해보는 연주 시스템(弾け系).
덥고 뜨거워 녹아버릴 정도의 말괄량이 걸
휘둘리고 휘둘리고 휘둘려도 마구 휘둘리면 좋잖아.

● Movie / Minako Endo
덥다! 여름이다! 바다다!! 작열이다! 라는 걸로 여러분 처음 뵙겠습니다.
Resort Anthem의 여름은 매우 덥고 감사하네요.
그런 더위를 꼭 담으면서도, 호스 끝을 으깰 때와 같은 기세의 물보라로 차가워지자!
그런 영상이 완성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소리, 영상 모두로 작열를 즐겨주십시오.
마지막으로 DJ Mass MAD Izm * "I AM NOT A DJ"발매 축하합니다!!


2.2. Masayoshi Iimori Remix[편집]



앨범 버전

beatmania IIDX 20주년 기념 트리부트 베스트 앨범의 수록곡이다.

장르명
NRG
BPM
150
전광판 표기
SHAKUNETSU BEACH SIdE BUNNY <MASAYOSHI IIMORI REMIX>
beatmania IIDX 난이도 체계

노멀
하이퍼
어나더
싱글 플레이
4
336
7
583
10
933
CN

더블 플레이
4
335
7
594
10
941
CN



해당 앨범 발매 기념으로 라이트닝 모델에 한정하여 선행 수록되었다.


2.2.1. 싱글 플레이[편집]



SPA 영상

다른 두곡이 원판과 비슷하게 나온 것과 달리 이쪽은 원판과 비교하면 거의 난이도를 한단계씩 낮춘 정도라[6] 쨉도 안되는 채보로 나왔다. 스크래치 자체보다는 원핸드 강제 구간의 비중이 높다.


2.2.2. 더블 플레이[편집]



DPA 영상


3. 리플렉 비트 시리즈[편집]


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BPM
난이도
153
BASIC
MEDIUM
HARD
White Hard
7
10
13
15
스킬 레이트
28
46
71
86
오브젝트
302
458
843
1189
MAX COMBO
308
470
869
1209
JUST REFLEC
11
13
24
34
수록버전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
Rb+ 수록 팩
MUSIC PACK 48
BASIC : 오브젝트 16 증가 (VOLZZA)
White Hard : 보면 추가 (리플레시아)


하드 난이도 영상

초반의 STELLAR WIND스러운 TOP-일반+롱노트 패턴부터 시작해서 끊임없이 계속되는 TOP 노트와 일반 노트의 똥박자 연계 패턴에 놓치기 쉬운 TOP-일반 동시치기가 특징. 특히 곡 중간의 막대한 스크래치 구간의 건반부는 1/4박자 트릴로 다 메꿔버렸다!

까다로운 구간이 생각보다 없는 편이기 때문에 11레벨 중에서는 하위권정도에 속해있다는 의견이 많지만.. 처음부터 끝까지 트릴로 떡칠해놓은 패턴인 만큼 트릴에 약하다면 체감 난이도가 올라갈 수 있다. 상당히 개인차를 많이 타는 패턴. 이후 리플렉 비트 유구의 리플레시아에서 13레벨로 조정되어 적정 레벨이 되었다.

미디엄 패턴 역시 16비트 트릴 위주의 패턴이며, 후반부에 10초 정도 오브젝트 밀도가 급격히 높아지며 박자를 이해하기도 매우 힘든 발광 패턴이 나온다.

파일:attachment/acbshakureflec.jpg

2013년 8월 20일 A.N.C.B.(안쵸비)가 ALL JUST+회수를 달성했다.

2016년 1월 13일 베이직의 패턴이 약간 변경되어 오브젝트 수가 증가했다.



2017년 7월 6일 토벌 퀘스트를 통해 화이트 하드 보면이 추가되었다.

마치 투덱의 스크래치마냥 수시로 ON/OFF가 바뀌는 스위치 롱 오브젝트가 압권. 신식 터치스크린으로 느끼는 스크래치의 아날로그감성 여기에 반대쪽에서 원핸드로 처리해야 하는 트릴까지 합쳐져 판정을 내기가 상당히 까다롭다. 그나마 3TOP 오브젝트가 하나도 안 나오니 아래쪽 선에만 집중할 수 있다는 점은 다행. ON/OFF 전환지점이 하나의 오브젝트로 판정되는 시스템 특성으로 인해 최다 오브젝트 수를 갱신했지만 한편으로는 그 사이사이에 KEEP 판정이 들어갈 공간도 없다시피 해서 콤보 수가 뻥튀기되지는 않았다.

유저들의 평가는 수시로 바뀌는 스위치 롱노트와 섞인 원핸드 트릴 때문에 거의 Tortura 등과 동급인 최상위권에 위치해 있다는 말이 많다. 하지만 클리어 자체는 3TOP 오브젝트의 부재로 쉬울 수 있다. [7]


4. 팝픈뮤직[편집]


파일:external/remywiki.com/SP_BROKEN_SAMBA_BREAK.png
BPM
153
곡명
灼熱Beach Side Bunny
激アツサンバトラックに重なる灼熱のスクラッチにもうボルテージは最高潮!
격렬한 삼바 트랙에 겹쳐진 작열의 스크래치에 다시 열기는 최고조!
아티스트 명의
DJ Mass MAD Izm*
장르명
BROKEN SAMBA BREAK
브로큰 삼바 브레이크
담당 캐릭터
HAPPPY
해피
수록된 버전
pop'n music Sunny Park
난이도
EASY
NORMAL
HYPER
EX
50단계
11
28
40
48
노트 수
171
452
822
1456



EX 영상

쿠프로·미미냐미·파스텔군의 다함께 우주전쟁!!이벤트를 통해 팝픈뮤직 Sunny Park에 이식되었다. IIDX에서 건반부 트릴+스크래치 구간으로 나왔던 부분이 여기서는 복합트릴과 발광으로 구현되었다. 발광패턴의 좌우이동이 상당히 심하니 요주의. 마지막의 발광배치도 주의해야 한다. 48에선 중상급에 위치하며, 투덱과 비교하면 한참 쉬운 수준이다.


5. 미라이다갓키[편집]


2013년 8월 16일에 이식수록되었다. 수록 당시에는 도야지 은행에서 해금했어야 됐으나 2014년 2월 26일에 e-AMUSEMENT PASS 해금곡으로 전환되었다.


6. DanceDanceRevolution[편집]


<#0ff,navy> DanceDanceRevolution 난이도 체계

BEGINNER
BASIC
DIFFICULT
EXPERT
CHALLENGE
싱글 플레이
3
7
11
15
18
152
0
253
42
415
8
586
27
756
5
더블 플레이
-
7
12
15
18
248
8
386
7
583
13
751
5
BPM
153
아케이드 버전 분류
DanceDanceRevolution(2014)


'한여름의 EXTRA ATTACK'으로 2014년 8월 14일 Dance Dance Revolution(2014)에 이식 수록되었다. IIDX에서의 BGA를 받아왔으며 풀스크린으로 재생된다.


싱글 플레이 전난이도 영상

대부분의 채보가 동난이도 대비 동시치기가 많다. 즉 뛰어야 하는 체력곡.
익스퍼트의 경우엔 상당한 체력/후살곡. 동시치기가 많아서 계속 뛰어야 하며, 중간중간의 16비트 나선 트릴, 최후반 돌입 직전의 엇박이 꼬인 폭타와 최후반 동시치기+8분박+계단트릴이라는 흉악한 배치가 사람잡는다. 15중에선 상위권.


EDP 채보확인 영상


CDP PFC 영상

2022년 8월 10일 업데이트로 챌린지 채보가 추가되었다. 싱글과 더블 모두 18레벨로, 연타때문에 호불호가 갈린다. 특히 곡 중간에 16비트 5연타 동시밟기가 튀어나오는데 북미 탑랭커 Harujun의 아버지는 그가 더블 겹발 처리 시도를 하자 이건 Rock the House가 아니라고라는 트윗을 남기기도 했다. # 어쨌든 해당 파트는 더블은 겹발 꽁수가 통하지만 싱글은 해당 부분이 ←→ 5연타로 되어 있어서 꽁수가 통하지 않고 제대로 5연타를 해야 한다.

2022년 8월 12일 FEFEMZ가 더블 챌린지의 퍼펙트 풀콤보를 달성하였다.

2022년 12월 9일 O4MA가 싱글 챌린지의 퍼펙트 풀콤보를 달성하였다.


7. 사운드 볼텍스[편집]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난이도
NOVICE
ADVANCED
EXHAUST
자켓
파일:external/p.eagate.573.jp/201508_sv_09.jpg
파일:external/p.eagate.573.jp/201508_sv_09.jpg
파일:external/p.eagate.573.jp/201508_sv_09.jpg
레벨
06
12
18
체인 수
0717
1291
1984[8]
일러스트 담당
Minako Endo
이펙터
ねちっこく堂
수록 시기
POLICY BREAK
BPM
153
2015년 8월 7일 POLICY BREAK를 통해 수록되었다. 사운드 볼텍스의 난이도 인플레이션이 격해지자 작열이 사운드 볼텍스에 이식되면 어떻게 나올까 하는 유저들의 기대가 매우 커서 이식되자 매우 큰 환호를 불러왔다. beatmania IIDX에서 스크래치곡 최강자 자리를 맡고 있는 만큼, 사운드 볼텍스에서도 노브곡 자리를 맡고 있다. 하지만 투덱의 위엄에 비해서는 살짝 모자라다는 의견이 중론이다.


EXH PUC 영상

손교차와 원핸드 위주 채보를 뺀 순수 노브발광 패턴 중에서는 Firestorm, Pet Peeve과 더불어서 가장 어렵다는 것이 중론으로, 앞선 두 곡에 비해 노브 배치가 직관적인 편이라 개인차보다 처리력에 의존한다는 평이 많다. 곡선 노브가 주가 되었던 기존의 노브곡들과는 달리 스크래치 박자에 맞추어 직각 노브와 지그재그 노브가 줄곧 내려오는데, 박자 자체가 빠르고 난해한 데다가 지그재그 노브의 비중이 매우 커 콤보를 잇기조차 힘들다. 또한 노브들 사이에 노트 패턴까지 제법 등장해 높은 수준의 처리력을 요구하며, 난해한 박자와 맞물려 니어를 내기도 쉽다. 클리어 난이도는 물론, 상기한 이유들과 노브곡치고는 많지 않은 체인수로 인해 노브곡임에도 스코어링 난이도까지 상당한 편이다. 개인차를 배제하면 15레벨 최상위권.

EXH 채보 기준으로 직각 노브의 갯수는 무려 383개. 기존 1위였던 HYENA의 기록(308개)을 무려 75개 차이로 탈환하였으나, HYENA XCD 패턴이 무려 451개를 기록함으로써 1위를 넘겨주었다. 직각으로 판정되지 않는 지그재그 노브까지 합하면 역대 사볼 수록곡 중 2번째로 노브에 많은 부담을 주는 곡.

첫 PUC는 업데이트된 지 하루 정도 지나서 나왔다. 참고로 달성자는 2013년 태고의 달인 시리즈 세계대회 준우승자인 ぼるちゃん인데, 사볼을 플레이할 때는 1008.BOT 명의로 플레이한다. 그리고 The 5th KAC 사볼 부문에서 우승했다. 우승에 큰 기여를 한 곡도 역시 노브곡인 Firestorm. 기기를 가리지 않는 굇수들

헤븐리 헤이븐 이후 시점에서는 구 15레벨 상위~최상위 곡들이 배정받는 레벨인 18레벨로 책정되었다. 클리어 난이도는 18레벨 내에서 하위권이라는 평이 많으나, 탈선하기 쉬우면서도 체인수가 적은 지그재그 노브의 특성상 스코어링 난이도는 클리어 레벨에 비해 급상승한다. 사실 이보다 더한 노브곡들이 자주 쏟아져 나온 것 때문이지 특별히 작열의 위상이 떨어지거나 하진 않았다.


ADV PUC 영상

ADV 패턴 역시 12렙이라고는 볼 수 없는 고난이도 채보이다. 전반적으로 노브를 중심으로 한 채보에 열화되었지만 THUNDERCRACK에서 볼 수 있었던 번개노브 및 중후반부터 계속 나오는 동시노브는 노브난민들의 혼을 쏙 빼놓을 수 있으므로 주의하는 것이 좋다.


8. DANCERUSH STARDOM (STARDOM Remix)[편집]






DANCERUSH
난이도 체계

곡명
灼熱Beach Side Bunny (STARDOM Remix)
아티스트
BEMANI Sound Team "SYUNN"
촬영

장르
EDM / BEMANI
BPM
138
버전

난이도 및 노트 수

파일:댄스러쉬_icn_easy.png
파일:댄스러쉬_icn_normal.png
1인용
7
10
359
411
2인용
7
10
?(?/?)
?(?/?)
해금 조건 및 할인 미션
200
해금조건
灼熱Beach Side Bunny (STARDOM Remix)를 EXTRA STAGE에서 클리어한다.
미션
A
BEYOND THE EARTH (STARDOM Remix)의 잠금을 해제한다.
B
EXTRA STAGE를 5번 플레이한다.
C
임의의 곡을 플레이해서, 스코어를 합계 1400점 이상 누적한다.



간단 영상


보통 영상

2019년 7월 24일, 업데이트를 통해 새로 등장한 EXTRA STAGE 악곡이다. 원곡보다 BPM이 낮아졌으며, 댄스러시의 분위기에 맞게 어레인지 되어 수록되었다. 작곡은 원 작곡가 DJ Mass MAD Izm*이 아닌, SYUNN이 담당하였다. 레이블은 TROP.

작열의 한자 부분의 글씨 주변이 불타면서 그을려져 있는 묘사가 존재한다.


9. 유비트 시리즈[편집]


jubeat 난이도 체계
레벨
BASIC
ADVANCED
EXTREME
6
9.6
10.7
노트수
535(12)
846(44)
1606(667)
BPM
153
아케이드 수록버전 및
jubeat plus 수록 pack
아케이드 수록
유비트 페스토 (2020. 09. 23 ~ )
iOS
festo pack 23
Android

  • 관련 칭호
    • 유비트 페스토 ~
      • 灼熱の夏男(작열의 여름사나이): 모든 보면 클리어
      • Beach Side Bunny: 모든 보면 풀콤보


2020년 9월 23일, 매주! 이치카의 초 BEMANI 러시 2020을 통해 이식되었다.


9.1. EXTREME[편집]






EXT 채보 영상


짧은 홀드를 제거한 EXT 채보 영상


EXT EXC 영상


EXT STEALTH EXC 영상

IIDX 싱글 어나더 보면의 스크래치 노트 수 667개를 그대로 홀드 수로 때려박는 만행[9]을 저질러서 유저들을 충격과 공포에 빠뜨렸다. 그 결과 기존 최대 노트수랑 최대 홀드 노트수 1위에 등극하면서 1116의 최대 노트 수와 トリカゴノ鳳凰[2]의 최대 홀드 노트수 타이틀을 압도적인 차이로 갱신했다.

클리어 난이도는 엄청난 노트 수로 인해 적정 난이도라는 평을 받으나, 스코어링 난이도는 10.7 이상, 특히 엑설런트 난이도는 10.9를 넘어 아예 11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홀드의 길이가 굉장히 짧아[10] 단타를 치듯이 처리해도 퍼펙트로 넘길 수 있지만 후술할 판정 오류 때문에 올바른 타이밍에 누른 것 같아도 그렛이 나는 경우가 있어 체감 난이도가 높다. 덤으로 홀드 노트의 화살표까지 많아져 시각적인 혼란을 유발한다. 그리고 위의 채보확인 영상의 우측에 있는 메모를 잘 보면 알겠지만 이 채보에는 전례없던 24비트 고밀도 홀드도 들어있다. 이로 인해 유저 채보 제작툴로 제작된 채보 영상에는 동그라미 안에 숫자가 들어간 기호를 넣는데 한계가 생겨 전각 알파벳까지 넣은 모습을 볼 수 있다.

일단 순 노트수 기준 홀드의 비중이 이 채보의 41%가량을 차지한다. 실질적인 타수는 릴리즈 마커를 뺀 939개인데, 타수로 계산하면 단타는 고작 272개 뿐이란 얘기다. 타수로 비율을 매기면 홀드의 비중은 약 71%가 된다.

홀드 노트의 끝 노트는 판정이 홀드의 길이마다 달라지는데, 이 때문에 홀드 노트의 판정에 문제가 생긴다는 이야기가 있다. # 요약하자면, 뒷쪽의 홀드 노트는 -범위 내에서만 판정을 가지는데, 처음 홀드 노트의 판정 범위는 ±42ms고, 홀드 노트의 끝 판정 이후(그레이트가 나는 시점)가 처음 홀드 노트의 + 퍼펙트 범위 내에 있어서 판정이 달라지게 된다는 것. 이후 유비트 애비뉴에 업데이트 된 판정 오차 표시 기능을 통해 -16 이후의 수치에서 홀드 노트의 끝부분이 GREAT 판정으로 나는 것이 확인되어 검증되었다. 즉, 이 곡의 단타 홀드 판정은 판정 오차 표시 기준 +40 ~ -16 사이에 들어가야 PERFECT 판정이 된다. 평균을 내서 수치상으로 따지자면 대략 ±28ms의 느낌으로 쳐야 된다는 뜻이며, 이 수치는 팝픈뮤직의 COOL(±25ms)보다 아주 살짝 후한 정도이다. 사실상 노멀 모드에서 준 하드 모드 판정으로 게임하는 셈.

이로 인해 엑설런트 난이도는, 비공식 난이도 12+를 꿰찬 RAISE YOUR HEADS UP, Hopeful Frontier!!!, Prayer와 페스토 기준 최고난도곡인 XENOViA조차도 능가하는 수준으로, 유저들 사이에서 엑설런트 난이도를 기반으로 제작된 비공식 서열표에서는 13을 넘어 아예 '작열'이라는 항목이 신설될 정도였다. 개편 이후에는 그냥 논외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정되는 건 덤. 이식된 버전 중에서 투덱의 위상에 전혀 꿇리지 않는것도 모자라서, 투덱보다 위상이 조금 더 높다.

공개 3일째에 첫 번째 엑설런트가 나왔다. 소서~소서 풀필 당시에나 많았던 공개 ○일 엑설런트가 이미 유저들의 상향평준화가 극에 달한 페스토에서, 그것도 해금 난이도가 낮은 쪽에서 튀어나왔다는 것부터가 이 곡의 위상을 단편적으로 말해준다. 달성자는 The 4tk KAC, The 6th KAC 개인/단체 우승자인 4156. 2번째 엑설런트는 3일이 더 지난 후에야 나왔다. 나온 지 2년이 지났음에도 엑설런트 달성 인원은 고작 27명뿐이다.[11]


유비트 모바일 EXT EXC 영상

이후에 유비트 모바일에도 수록되었다. 그런데 모바일판의 경우 아케이드 버전의 홀드 판정 문제가 없어서 난이도가 아케이드보다 상대적으로 쉬운 편이다. 이는 아케이드와 모바일의 게임 엔진이 달라[12] 홀드 마커의 인식 방식 역시 본가와는 다르기 때문이다. 그 영향으로 모바일판에서 고득점 달성자 및 엑설런트 달성자가 실제로 많이 나오고 있다.


9.2. ADVANCED[편집]



ADV 채보 영상


ADV EXC 영상

ADV는 EXT 패턴보다는 아니지만 낮지 않은 롱잡의 비중이나 스크래치에 맞춘 긁기 패턴 등 레벨에 비해 난이도가 어려운 편이다.


9.3. BASIC[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02:03:25에 나무위키 灼熱Beach Side Bunny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ONE MORE EXTRA 출현 당시 ONE MORE EXTRA STAGE!!![2] 여기서는 작열과 비치를 띄어서 쓴다. 의도한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이 덕분에 선곡 리스트에서 후속작 작열2의 위에 정렬된다.[3] 국내에서는 <('ㄱ')>.[4] 한편, 작열 2는 이런 기술적인 요소가 덜한데도 BPM과 스크래치 개수로 우직하게 밀어붙인 나머지 체력 소모가 극심해 작열 1보다 클리어 난이도가 높다.[5] 작열2는 이것이 불가능하다.[6] 리믹 어나더가 원곡 하이퍼와, 리믹 하이퍼가 원곡 노멀과 레벨이 같을만큼[7] 극단적으로는 13, 14를 못 깨는데 15 작열만 깨는 경우도 있을 정도로 개인차가 있다.[8] 비비드 웨이브까지는 1880.[9] 단타를 무시하고 홀드노트만 찍으면 1334라는 수치의 콤보가 나오는데, 이 수치는 현재 최다 노트 수인 Crackpot Evangelist(1252개)를 포함한 유비트 시리즈의 모든 곡보다 압도적으로 높은 콤보 수다.[10] 유비트 플러스의 채보 제작 기능으로 확인한 결과 단타 홀드 노트는 약 1024비트의 간격으로 찍혀있는 것이 확인되었다.[11] 한국 8명, 일본 19명. 참고로 22년 2월에 나온 10.9레벨 XENOViA가 엑설 인원이 36명이다.[12] 자체 엔진을 쓰던 3.9.11까지는 아케이드와 동일한 길이 기준 판정이었으나, 유니티 엔진을 사용한 4.0.0 이상 버전부터 홀드 노트의 판정식이 절대시간 판정으로 변경되었다.